연이어 책 홍보만 되는 듯싶어서 별로 끼어들고 싶지 않지만 새움판 <이방인>에 대해서 한마디만 보탠다. 어제 경향신문 기자와 전화 인터뷰한 것이 기사화됐기 때문이다(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4152119195&code=960205). 기사 내 사진은 오마이뉴스에서 가져왔다.

 

 

카뮈의 <이방인> 번역을 둘러싸고 번역자의 도덕성 논란이 일고 있다. 익명으로 원문 번역자를 과도하게 비판해 노이즈 마케팅이란 지적을 받기도 했던 <이방인>(새움출판사·사진)의 번역자 이정서(익명)가 책을 출간한 새움출판사의 이대식 대표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 프랑스어 원문의 오독과 오역을 비판해온 이 대표가 정작 자신은 영어판 <이방인>을 갖고 번역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대식 대표는 15일 새움출판사 블로그에 글을 올려 “이정서와 새움출판사 대표 이대식이 동일인인 것이 맞다”고 인정했다. 그는 “필명을 써서 번역서를 낸 일을 두고 언론이 ‘도덕적 해이’라고 하는 이유를 정말이지 이해하기 힘들다”며 “같은 출판일을 하는 사람으로서 다른 출판사의 번역서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일이 독자들에게 어떻게 보일까 우려스러워서였다”고 해명했다.

 

그는 또 “(필명을 사용한 이유는) 모든 선입관을 버리고, 이 책 <이방인>이 제대로 번역되었는지 아닌지 전문가들이 살펴달라는 취지였다”며 “우리 사회 문화계에 음으로 양으로 큰일을 해주신 김화영 교수님을 욕보인 결과가 되었고, 교수님을 진심으로 존경하고 따르던 많은 후학들의 가슴에도 상처를 드리게 되었다. 그 점에 대해 진심으로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썼다. ‘김화영의 <이방인>은 카뮈의 <이방인>이 아니다’라고 했던 기존 태도와는 달리 “김화영 교수님의 <이방인> 번역이 없었다면 정말이지 이러한 미묘한 차이들을 찾아내면서까지 재번역을 할 수는 없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번역자가 실명을 밝혔지만 도덕성 논란은 더 커지는 분위기다. 이 대표가 번역 과정에서 프랑스어판이 아니라 영어판을 번역했다는 주장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 대표는 새움출판사 블로그 연재와 이를 묶은 <이방인> ‘역자노트’에서 프랑스어 원문을 제시하며 김화영 교수의 오독과 오역을 비판해왔다. 그러나 복수의 출판계 관계자들은 이날 경향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이 대표가 영어판을 기본 텍스트로 삼아 번역을 한 다음 새움출판사 편집자들이 프랑스어판과 대조하는 작업을 했다”고 주장했다. 서평가 이현우씨는 “같은 이야기를 들었는데, 사실이라면 사기 번역”이라며 “언제까지 비밀이 유지될 것이라고 생각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편집자들의 도움을 받았다는 점은 이 대표도 인정한 부분이다.

 

 

이 대표는 지난해 8월부터 6개월 동안 이정서라는 필명으로 김화영 교수의 <이방인> 번역을 비판하는 연재글(경향신문 1월25일자 17면 보도)을 올렸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진 후 문학계에서는 출판사의 노이즈 마케팅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어났다. 최근에는 이 출판사가 기존 번역들을 “왜곡과 난삽”이라고 매도하는 출간 기념 고사를 지낸 사실까지 알려지며 논란이 증폭됐다. 급기야 서평가 이현우씨가 13일 밤 자신의 블로그에 이 대표의 정체를 폭로하며 논란은 정점에 달했다. 한기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소장은 “책 판매를 위해 원로학자를 공격한 것”이라며 “상식에서 벗어난 마케팅”이라고 말했다. 새움출판사의 <이방인>은 알라딘 고전분야 베스트셀러 순위에서 2주 연속 2위를 지키고 있다.(경향신문)

다른 건 차치하고, 번역자를 자임한 이정서는 자신이 영어판도 참조했지만 그것도 일개 '번역판'에 불과하기에 그에 따르지 않았다고 하면서 영어판의 오류들까지 들먹였었다. 영어판을 같이 껴서 판매한 '더클래식'판에 대해서는 "한마디로 난센스"라고 일갈하면서 영어판 중역의 문제를 이렇게 꼬집었다(http://saeumbook.tistory.com/429).

그건 원본 번역이랄 수 없습니다. 그건 아마 역자가 자신이 번역에 정확성을 기했다는 걸 내세우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한 것일 수도 있고, 불어를 모르는 독자들이 더 많을 테니 영어 원본이라도 참고하라는 좋은 의도일 수도 있습니다. 하긴 내가 번역을 잘 몰랐을 때는 그것이 전혀 이상해 보이지 않았는데 실제 번역의 세계를 들여다보게 되니 그건 아닌 것 같습니다. 불어 소설은 불어 원본을, 독어 소설은 독어 원본을 실어줘야 그나마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닐까요? (...) 다만 불어 번역을 말하면서 그에 실린 영어 문장을 가져다 설명하려다 보면 낭패를 볼 수 있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자신은 영어본을 대본으로 번역했지만 편집자들이 불어본과 대조했기 때문에 '원본 번역'이라고 할 수 있으며 '낭패'에서 벗어낫다는 뜻으로 이해해야 할까?

 

 

 

그리고 이휘영본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덧붙이자면, 일전에 <이방인> 마지막 대목에서 사이렌 소리와 뱃고동 소리, 두 가지로 번역된 걸 제시하자(http://blog.aladin.co.kr/mramor/6966576) 이렇게 반응했다.

김화영의 이 오역의 시발은 어디서부터일까? 사실 나는 알고 있다. 그건 로쟈도 알고 있었을지 모른다. 그러나 나는 말을 하지 않았을 뿐이다. 왜냐하면 나는 이휘영 교수의 번역을 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무슨 소린가, 하면 김화영 교수 역시 자신의 스승인 이휘영 교수의 번역을 무시할 수 없었던 것이라는 점을 말이다. 나는 정말이지 보고 싶지 않았다. 언급하고 싶지도 않았다. 거기까지 가면, 정말이지 이 나라의 도제 시스템이 만들어낸 학문 체계라는 것이 얼마나 허약한지 밝히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렇듯  로쟈라는 젊은 후학이 나로 하여금 그렇게 보고 싶지 않았던, 의식적으로 외면했던 이휘영 교수의 <이방인>을 끝내 보게 하고 말았다.

이런 반응에서 나는 역자가 얼마나 자기도취적 세계에서 살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방인>의 최초 번역자인 이휘영본이 문제의 시발점이라면 애초에 김화영본이 아니라 이휘영본을 문제삼았어야 논리에 맞다. 도제 시스템을 벗어날 수 없기에 김화영본도 이휘영본을 벗어날 수 없었다는 게 하고 싶은 말 아닌가(지나는 김에 말하자면 나는 이정서라는 선학을 둔 적이 없다). 그런데 이전 페이퍼에서 내가 인용한 대로 사이렌 대목은 이휘영본과 김화영본이 다르다.

그때 밤의 저 끝에서 사이렌이 울렸다. 그것은 이제 나에게는 영원히 관계없는 세계로의 출발을 알리고 있는 것이었다.(이휘영본, 문예출판사)

 

그때 밤의 저 끝에서 뱃고동 소리가 크게 울렸다. 그것은 이제 나와는 영원히 관계가 없어진 한 세계로의 출발을 알리고 있었다.(김화영본, 민음사)

이정서의 근거 없는 예단에 어긋나게도 이 대목에서 김화영은 스승의 번역을 무시하고 감히 반역을 시도하고 있다. 내 식으로 분류하면 '사이렌파'와 '뱃고동파'가 그렇게 갈라졌던 것이다. 이정서가 이 대목의 '뱃고동 소리'를 '사이렌'으로 다시 번역한 건 사실 전혀 새롭지 않다. 맨 처음 번역으로 다시 돌아가면서 거기에 얹어 '밤의 경계'라는 어색한 말로 얼버무린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한데, 이 문제 제기에 답하면서 이정서는 엉뚱하게도 거기에 이어지는 '참으로 오래간만에 처음으로 나는 엄마를 생각했다'(김화영)는 문장에 대한 시비로 넘어갔다. 그러면서 내가 그 대목을 빼먹었다고 말했다. 자신이 서문(역자의 말)에 무얼 적어놓았는지도 확인하지 않은 걸까? 그가 8-9쪽에서 문제삼은 건 "그때 밤의 저 끝에서 뱃고동 소리가 크게 울렸다. 그것은 이제 나와는 영원히 관계가 없어진 한 세계로의 출발을 알리고 있었다." 두 문장이다. 반복이지만, 그러면서 이렇게 말했다.

보다시피 김화영은 여기서 limite를 '끝'으로, sirènes를 '뱃고동'으로 보고 저렇게 번역을 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limite는 '경계'를, sirènes는 '사이렌'을 가리킨다. 하여 "밤의 저 끝에서 뱃고동 소리가 울린" 게 아니라, "한밤의 경계선에서 (감옥의) 사이렌 소리가 울린" 것이다.(...) 따라서 이 문장은 김화영이 이 소설을 처음부터 끝까지 얼마나 오해하고 번역했는지를 확인시켜주는 마지막 문장이라 할 것이다.(새움판, 8-9쪽)

이정서의 주장에 따르면 이 대목이 김화영 오역의 화룡점정이자 피날레다. 애초에 내가 이 대목을 문제삼은 건 그 때문이었다. 멀리 갈 것도 없이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고 했다. 결정적인 오역이라고 서문에서부터 표나게 윽박지르고 있는 이 대목이 사실은 오역이 아니라는 것. 마무리에서 이렇게 적었다.

정리하자. 새움판 새 번역 <이방인>에서 역자는 "그때 밤의 저 끝에서 뱃고동 소리가 크게 울렸다."는 문장을 근거로 "이 문장은 김화영이 이 소설을 처음부터 끝까지 얼마나 오해하고 번역했는지를 확인시켜주는 마지막 문장이라 할 것"이라고 '탄핵'했지만, 나는 '사이렌 소리' 대신에 '뱃고동 소리'라고 옮길 만한 근거도 있으며 그렇게 옮긴 번역본도 적지 않다는 걸 말하고 싶다. 그리고 어느 편이냐를 묻는다면, 적어도 이 대목에서만큼은 '뱃고동파'의 편을 들어주고 싶다. 번역은 "여기서 limite는 '경계'를, sirènes는 '사이렌'을 가리킨다"고 단언할 만큼 단순한 작업이 아니다(그런 번역이라면 구글이 더 잘할 수 있다). <이방인>의 인용 준거가 되려는 번역이라면, 좀더 많은 걸 살펴야 하지 않을까 싶다.

나더러 불어와 전공인 러시아어판을 비교해보라고 충고까지 했지만(하지만 그의 기대와 달리 이런 거 비교한다고 '세계적인 대학자'의 반열에 오르거나 하지 않는다. 매우 단순한 일이라서), 그 페이퍼는 이미 러시아어판 외에 몇 개 국어판을 살펴본 다음에 쓴 것이다. 러시아어판에서도 '뱃고동 소리'(пароходные гудки)라고 옮기고 있어서 더 확신을 갖고 말한 것이다. 그렇게 옮긴 영어판이나 러시아어판 모두 엉터리이며 "이 소설을 처음부터 끝까지 얼마나 오해하고 번역했는지를 확인시켜주는" 사례일까? 하긴 <이방인>을 유일무이하게 제대로 이해하고 있다고 자임하는 역자에게 이런 식의 방증이 통할지는 의문이지만, 다른 이들이 그런 신앙을 공유하지 않는다고 해서 비하하거나 모욕할 권리는 없다...

 

 

 

단순한 역자이기를 넘어서 야심찬 출판사의 대표이기도 하니까 이 정도 '스캔들'은 이미 예상하고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스캔들은 언제나 매출에 도움이 되므로 손해는 아니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고. 하지만 독자도 한 번 속지 두 번 속지는 않는다. 이번 번역에 잔뜩 고무돼 <마담 보바리>까지 손봐주려는 듯한데, 이번 일로 마음이 약해지지 않았다면, 건투를 빈다! <이방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간의 허접한 엉터리 번역본들을 '싹쓸이'해줄 명번역을 기대한다...

 

14. 04. 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