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노예 12년>은 아직 보지 못했지만 영화를 계기로 한꺼번에 5종의 번역서가 나옴으로써 미국의 노예제에 다시금 관심을 갖게 됐는데, 관련서가 생각보다 많지는 않다. 그중 가장 중량감 있는 책이 에드먼드 모건의 <미국의 노예제도와 미국의 자유>(비봉출판사, 1997)인데, 이미 절판된 책이라 '사라진 책들'에 넣어둔다. 책은 두 주 전에 헌책방에 주문해서 구했다(2008년에 쓴 페이퍼에서도 한번 다뤘지만 확인해보니 그때는 구입하지 않았었다).
거기에 보탠다면 디스커버리 총서의 <흑인노예와 노예상인>(시공사, 1998)도 유익한 참고도서다. 디스커버리 총서가 프랑스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펴내는 총서인데, 역시나 갈리마르에서 나온 '인물 역사 발자취' 시리즈의 <노예>(종이비행기, 2006)도 나왔었다. 지금은 절판된 상태(이 시리즈는 전 20권 가운데 <알라딘>만 살아있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 걸까?)
다시 <미국의 노예제도와 미국의 자유>로 돌아오면 "미국 초창기 신대륙 식민지의 생생한 이야기. 미국 역사의 가장 큰 모순은 노예제도와 자유가 동시에 발전했다는 사실. 초창기 버지니아 식민지를 중심으로 탐험가, 인디언, 식민지 지사, 대농장주 등을 통해 노예제를 기반으로 건설된 미국의 모순을 파헤쳤다."
새삼 미국사에서 가장 흥미로운 사실을 간과하고 있었다는 느낌이 드는데, 바로 노예제도와 민주주의의 병행발전이다(그리스 민주정과 비교해보고픈 생각이 들지 않는지). 저자인 에드먼드 모건은 예일대의 미국사 교수로 재직했으며 식민지 시기와 미국혁명이 전공 분야다. 특히 18세기 버지니아인들에 관한 연구가 유명하다고 하는데, <미국의 노예제도와 미국의 자유>는 바로 그 연구를 집약하고 있다. 역자는 이렇게 소개한다.
미국역사에서 가장 모순된 점은 바로 노예제도와 민주주의가 병행하여 발전했다는 점일 것이다. 이 모순을 이해하려면 모건의 버지니아 식민지에 관한 연구를 이해해야만 한다. 미국혁명에서 자유와 평등을 가장 힘차게 주장한 사람들이 바로 버지니아 사람들이었기 때문이다. 영국의 억압에 항거하여 싸운 조지 워싱턴과 독립선언서를 기초한 토마스 제퍼슨이 버지니아 출신이었고, 헌법에 권리장전을 처음 첨부한 주도 버지니아였다. 그리고 신생공화국 초기 36년 중에서 32년 동안 버지니아 출신이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그들 모두가 노예를 소유한 농장주들이었다. 따라서 노예제도와 자유의 기이한 결합을 이해하는 첫걸음은 바로 버지니아 식민지의 이해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모건의 저서 <미국의 노예제도와 미국의 자유>는 바로 이러한 기이한 결합에 관한 이야기이다.
흠, <노예12년>만 앞다투어 낼 게 아니라 이런 기본적인 역사서라도 다시 내면 좋겠다. 원서는 1975년에 나온 것이니 거의 40년 전 책이다. 그 사이에 나온 역저들이 분명 없지 않을 것이다.
아쉬운 대로 마조리 간, 재닛 월렛의 <끝나지 않은 노예의 역사>(스마트주니어, 2012)도 구입했는데, 이건 청소년용으로 노예제도 5쳔년의 역사를 개관한 책이다. 간략한 서술과 화보로 구성돼 있는데, 전체를 일람하는 데 요긴하다...
14. 03.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