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을 먹기 전 막간에 '이주의 고전'을 골라놓는다. 거리가 될 만한 책은 더 있지만 일단 알베르 카뮈의 <시시포스 신화>(연암서가, 2014)와 니체의 <안티크리스트>(아카넷, 2013) 새 번역본에 대해 적는다.

 

 

 

<시시포스 신화>(1943)는 <시지프 신화>나 <시지프의 신화> 등의 제목으로 번역돼 왔던 책. 사실은 지난해에 나왔어야 하는 책이다.

 

 

출간 70주년, 탄생 100주년, 다시 읽는 카뮈의 <시시포스 신화>. 오늘날 카뮈의 전매특허가 되어버린 '부조리'라는 키워드는 인간 실존이 처한 기묘한 상황을 규정하기 위한 철학적 전문용어이기 이전에, 한 인간이 체득하고 감당해야 했던 삶의 무게를 묘사하기 위한 일상적 개인어의 차원에서 이해될 때, 공감의 폭은 넓어지고 그 울림은 깊어질 것이다.

명징하다고는 하지만 사실 카뮈의 에세이들이 아주 잘 읽히는 건 아니다. 개인적으로 영역본을 포함해서 여러 번역본을 구한 이유인데, 엊그제 새로 나온 번역본과 비교해서 읽어보려고 했으나 몇 권이나 되는 책을 방에서 찾지 못했다. 어이없긴 하지만 요즘은 익숙해지고 있는 형편이다. 카뮈에 대해선 일련의 강의도 했고, 따로 책도 쓸 예정이어서 <시시포스 신화>도 다시 정독할 기회가 있을 것이다.

 



<비극의 탄생>(아카넷, 2007)에 이어서 박찬국 교수가 옮긴 <안티크리스트>도 새로운 읽을 거리. 책세상 전집판과 청하 전집판(<반그리스도>)과 함께 읽어봄직하다. 개인적으론 아주 오래 전에 청하판으로 읽고 다시 보지 않은 텍스트라 새로 관심을 갖게 된다. 소개는 이렇다.

니체의 최종적인 사상을 담은 결정체. 니체는 이 책을 2년 내에 유럽의 주요 언어로 번역하고 대규모로 발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누이동생에 의해 네 군데가 삭제된 상태로 출간되었다. 삭제된 부분은 1955년 니체전집에서 복원되었고, 1969년 고증본에서는 ‘그리스도교 탄압법’이 덧붙여져 출간되었다. 본 한국어판 번역은 이 고증본을 텍스트로 삼았다.

 

 

니체에 관해서는 최근에 정동호 교수의 <니체>(책세상, 2014), 강영계 교수의 <아티스트 니체>(텍스트, 2014) 등이 출간돼 읽을 거리는 부족하지 않다. 입문 독자라면 고명섭의 <니체 극장>(김영사, 2012)이 두툼하면서 충실한 안내서다.

 

여하튼 견물생심이어서 새로 나온 책을 보면 읽을 욕심이 생긴다. 이달엔 시시포스와 안티크리스트를 독서의 한 가지 주제로 삼아도 좋겠다...

 

14. 02. 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