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서독인 讀書讀人 - 독서는 인간을 어떻게 단련시키는가
박홍규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4년 1월
절판
최근 독서 기피 현상이 인터넷이나 소비문화 때문이라고들 하나, 그전부터도 책을 많이 읽지 않았다. 가령 흔히들 책과 함께 산다고 하는 나 같은 교수도 그렇다. 물론 교수의 연구실이나 집에는 책이 많으나, 그 대부분은 기증 받은 전공 분야의 교과서나 잡지다. 요컨대 직업적인 이유 외에 교수들은 책을 사지도 읽지도 않는다. 그런 교수에게 배우는 대학생 중에는 교과서조차 사지 않고 취직에 필요한 문제집 정도만 사는 경우가 많다. 초중고 학생들에게는 교과서 구입이 강요되므로 교과서라도 사고, 수험을 위해 참고서까지 사지만, 아마 대학처럼 자유롭게 한다면 마찬가지로 그것조차 사지 않을지 모른다. 여하튼 초중고 학생들은 교과서 이외의 책은 읽지 못하거나 읽을 수가 없다. - 339-340쪽
그리고 대학에 들어오면 책읽기와 철저히 무관한 군대를 거쳐 오직 취직 공부에 몰두하기 때문에 취직을 위한 문제집 외에 역시 다른 책을 읽지 못하거나 읽지 않는다. 그 뒤에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신문이나 잡지를 포함하여 가구당 책값에 투자하는 비용이 한 달 1만원 정도로, 그런 교과서나 취직준비서나 소위 베스트셀러라는 가벼운 실용서 이외의 책을 살 수 없다. 그러니 인문사회과학 서적이 팔리지 않는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닐까?- 340쪽
대학은 물론 초중고 시절에 고전을 비롯하여 다양한 책을 읽고 생각하며 토론하는 교육으로 바뀌지 않으면 우리 국민이 책을 읽지 않는 습성은 더욱 강화될 것이다. 이는 단순히 책 읽는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고의 다양성과 민주성에 관련되는 문제다. 사고의 다양성과 민주성이 없는 곳에 독서 혐오의 문제는 끝없이 악순환한다. 사고의 다양성과 민주성을 부정하는 일부 언론도 교과서와 같은 절대적 권위의 괴물로 국민의 판단력을 획일적으로 몰아가는 원흉일지 모른다. 참된 교육을 받을 인권의 내용으로 국정 교과서 제도를 폐지하고 다양한 책읽기를 하자는 주장을 다시 강조하고 싶다. - 341쪽
무책임하게 게바라 같은 혁명가가 되리라고는 도저히 말할 수 없지만, 적어도 그와 같은 독서가는 되라고 말하고 싶다. 나쁜 세상은 독서가 없는 세상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 계속 강조하듯이 진정한 혁명가는 진정한 독서가이기 때문이다. 적어도 히틀러나 스탈린, 폴 포트나 박정희가 아닌, 톨스토이나 마르크스나 간디나 게바라나 모두 그렇다. 물론 그 반대는 아니다. 즉, 독서가가 혁명가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진정한 독서가는 혁명가다. 적어도 진정한 독서가는 혁명적이다. 독서는 바르게 살기 위해 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실의 변화를 위한 것이다. 그 변화 앞에 비판이 있다. 현실에 대한 비판이 있다. 그 비판 앞에 스스로 생각할 줄 아는 사고능력이 있다. - 343-344쪽
독서는 생각하기 위한 것이다. 독서는 생각하는 사람을 만들기 위해 필요하다. 인간이 생각하는 존재라면 독서가 필요하다. 그처럼 참된 독서를 하면 혁명가가 된다. 제대로 된 책들은 현실을 혁명하라고 가르치기 때문이다. 그렇게 가르치지 않아도 책을 읽다보면 현실이 잘못되었음을 알기 마련이고 책은 잘못을 고치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게바라가 혁명과 독서를 함께한 것도 독서를 통해 혁명의 바른 길을 찾기 위해서였지 무슨 멋으로 한 것이 아니었다. - 34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