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여행에서 돌아와 커피 한잔 마시며 밀린 페이퍼를 적는다. 오늘내일 여러 편 써야 할 것 같다. 알라딘을 비운 게 날짜로는 삼일인데, 꽤 오래 전처럼 여겨진다(설마 적응이 필요할까?). 휴가중에 택배가 세 개 와 있었는데, 그 정도면 양호한 편이다. 곧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일단, 주말과 오늘자 신문까지 올라온 <로쟈의 러시아문학 강의>에 대한 리뷰기사 몇 편 가운데, 일부를 옮겨놓는다. 반응이 나쁜 건 아니어서 다행스럽다.

 

 

필명 로쟈로 활동해온 서평가이자 러시아 문학 전공자인 지은이 이현우씨는 “푸시킨이 ‘인생의 소설을 다 읽기도 전에 떠난 사람은 행복하다’고 했듯이 우리도 이 인생의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을 읽지 않고 덮었더라면 더 행복했을 것”이라고 썼다. 그러나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밝은 슬픔’에서 시작해 도스토옙스키의 ‘정신병동’을 지나 레프 톨스토이의 불화의 세계와 맞닥뜨리노라면 문득 청년기로 다시 돌아가고 싶을 수도, 러시아 고전을 하나하나 다시 꺼내들고 싶을 수도 있다.(한겨레)
이 시대 타고난 이야기꾼 로쟈가 러시아 문학 강의를 펴냈다. 저자는 작정하고 러시아 문학을 파고드는 듯하다. 러시아의 역사와 지리적 특성, 문학사 전반의 특징을 차근차근 설명하며, 러시아 문학 거장의 삶과 작품 세계를 해설한다. 하지만 저자의 타고난 입담은 단순히 러시아의 문학을 소개하는 데만 그치지 않는다. 국민 시인으로 칭송받은 푸시킨이 원고지 매수를 세어가며 글을 쓰는 강박증세를 보였고, 세계적인 문호 톨스토이는 그 시대 모든 작가와 사이가 나빴다는 점 등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은 러시아 대문호들의 기행을 들려준다. 그들의 작품 세계를 살펴보는 동시에 은밀한 내면까지 들여다볼 수 있다.(국제신문)
책은 푸슈킨에서 시작해 19세기를 마감하는 체호프로 끝난다. 무라카미 하루키와 레이먼드 카버의 공통분모가 체호프다. 하루키의 소설 '1Q84'에 체호프가 쓴 사할린 섬 이야기가 나오고, 카버는 마지막 작품 '심부름'의 주인공을 체호프로 삼았다. 그러면 왜 체호프일까. 지난해 노벨문학상을 탄 앨리스 먼로가 '캐나다의 체호프'로 불리듯, 그는 단편의 절대지존이다. 이른바 '등신들'만 데리고도 4막 희곡을 끌어간다. '잘난 놈들'의 이념이 아니라 '못난 놈들'의 무능으로 위대한 문학을 창조했다. 한국 독자에게는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로만 알려진 푸슈킨은 러시아 문학의 핵심이다. 키가 작았지만 유머와 글재주로 유혹한 여성이 결혼 전에만 100명을 넘었다고 한다. 도대체 얼마나 잘 썼을까. 1강 '예브게니 오네긴'을 읽어 보시라. 저절로 고개가 끄덕여지게 된다.(조선일보)
러시아 문학을 전공한 저자의 강의실을 책 속에 옮겨 놓았다. 책장을 펼치면 19세기 러시아 문학의 황금시대를 빛낸 문호들의 삶과 대표작을 누비는 장대한 여정에 동행할 수 있다. 러시아 작가의 계보는 푸시킨에서 시작한다. 푸시킨과 더불어 고골, 레르몬토프까지 이 3대 작가들이 1820∼1840년대 러시아 근대 문학의 토대를 쌓았다. 이후 1856∼1880년 활동한 투르게네프, 톨스토이, 도스토옙스키는 러시아 사실주의 문학의 3대 작가로 꼽힌다. 19세기의 문을 닫은 작가는 체호프였다. 푸시킨은 러시아 최초의 ‘전업 작가’였다. 기울어진 귀족 가문 출신이었던 그는 자기가 쓴 원고 매수까지 꼬박꼬박 기록해뒀다. 부유한 귀족 작가인 톨스토이나 투르게네프는 작품을 쓰지 않아도 생계에 지장이 없었지만 푸시킨은 달랐다. 푸시킨 문학은 기본적으로 슬픔을 다루지만 밝고 경쾌하다. 오네긴과 타티아나의 엇갈린 사랑을 그린 ‘예브게니 오네긴’에도 푸시킨 특유의 ‘밝은 슬픔’이 관통한다.(동아일보)
서평가 ‘로쟈’이자 러시아문학 연구자 ‘이현우’인 저자가 자신의 전공인 19세기 러시아 문학의 세계로 안내한다. 학생이 아니라 일반 독자를 위한 러시아문학 입문인 이 책은 푸슈킨에서 시작해 레르몬토프, 고골, 투르게네프, 도스토예프스키, 톨스토이를 거쳐 체호프에서 끝난다. 투르게네프와 도스토예프스키는 2편, 나머지 작가는 1편의 대표작을 중심으로 이들의 문학세계를 설명한다.18세기 표트르 대제 이전까지 러시아는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문명이랄 게 없었다. 몽골의 침입과 지배로 인해 르네상스를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럽 문화를 수입하면서 문화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인텔리겐차 계급이 형성된다. 인텔리겐차는 전문 지식인을 뜻하는 영어 인텔렉추얼과 달리 비판적 지식인을 뜻하는데 이들이 러시아문학의 전성기를 이끈 독자층으로 자리 잡는다.(경향신문)  

14. 01. 20.

 

P.S. 가장 의외의 평은 '이 시대 타고난 이야기꾼'이란 호명이다. 담당기자가 누군가와 혼동한 게 아닌가 싶다. 서평꾼과 이야기꾼은 종류가 좀 다르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