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문학계 소식은 두 가지다. 문학동네에서 한국문학전집이 나오기 시작했다는 것(1차분으로 20권이 먼저 나왔다)과 제롬 샐린저의 평전이 나왔다는 것. 한국문학전집은 실물이 나오게 되면 다루기로 하고(눈으로만 몇 권 찜해놓았다) '이주의 발견'에 값하는 케니스 슬라웬스키의 <샐린저 평전>(민음사, 2014)만 먼저 언급한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533/30/cover150/893748837x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149/55/cover150/0812982592_1.jpg)
'발견'이라고 했지만 책은 구면이다. 슬라웬스키의 원저를 몇달 전에 데이비드 쉴즈의 <샐린저>와 함께 구입했기 때문이다. 작가들의 평전을 좋아하기도 하고 강의상의 필요 때문이기도 하지만, 은둔 작가의 대명사였기에 샐린저 평전은 더욱 구미가 당긴다. 미국에서도 결정판 전기가 연이어 나온 배경이기도 할 것이다. 슬라웬스키 판에 대한 소개는 이렇다.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91년의 생애를 가로지르는 광대한 자료 조사, 엄밀한 작품 분석과 끈질긴 인터뷰 끝에 완성된 결정판. 샐린저 사후 최초로 발표된 전기로, <호밀밭의 파수꾼>, <아홉 개의 이야기>, <프래니와 주이> 등 그의 대표작이 탄생한 배경을 망라했을 뿐 아니라, 이제껏 알려지지 않은 샐린저의 미발표 작품과 초기 단편들까지 모두 소개한다. 또한 샐린저의 2차 세계대전 참전 경험, 유진 오닐의 딸 우나 오닐과의 사랑과 파경, 비밀에 부쳐진 첫 결혼, 출판사 및 언론과의 마찰, 그가 접한 동양철학과 신비주의 영향 등 베일에 싸인 샐린저의 사생활까지 전부 공개한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27/97/cover150/8937460475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3/46/cover150/8982819053_1.jpg)
대표작이 많지 않아서 번역된 샐린저의 책은 모두 구비해놓고 있는데, 평전을 읽게 되면 가닥을 <호밀밭의 파수꾼> 이외의 작품들에 대해서도 가닥을 잡을 수 있을 듯싶다. 당장은 아니고 여름 독서 목록이다. 한 겨울에 꾸리는 여름 독서배낭이랄까.
![](http://image.aladin.co.kr/product/1798/83/cover150/898218174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84/60/cover150/074326245x_1.jpg)
<샐린저 평전>이 떠올리게 해준 책은 역시나 레이먼드 카버 전기의 결정판 <레이먼드 카버: 어느 작가의 생>(강, 2012)이다. "십 년이 넘는 자료조사, 수백 명과의 인터뷰를 통해 완성된 거대한 '카버 연대기'. 소설가이자 에세이스트 캐롤 스클레니카가 집필한 책으로, 흡사 세밀화처럼 카버의 생애를 그려내고 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01/96/cover150/8954604412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4/49/cover150/8982817239_1.jpg)
'미국의 체호프'로 불리는 카버의 단편들은 주로 집사재판과 문학동네판으로 나와 있었는데, 집사재판은 모두 절판된 상태이고 <대성당>(문학동네, 2007)도 품절이다. 판갈이를 하는지 모르겠지만, (<숏컷>도 그렇고) 카버의 대표작을 지금 독자들이 구해볼 수 없다는 건 넌센스다.
샐린저나 카버나 강의에서 다뤄본 작가들이다(둘다 작품이 그렇게 많지는 않다는 점도 공통적이군). 두 작가에 대해 나대로 갖고 있는 이해가 없지 않은 셈인데, 평전을 읽으며 새로 업그레드해봐야겠다. 여름까지는 카버의 책도 새로 단장된 모습으로 만날 수 있었으면 싶다. 이제, 공항으로 가봐야겠다...
14. 0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