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 고전 가운데 하나가 번역돼 나왔다. 피터 버거와 토마스 루크만의 <실재의 사회적 구성>(문학과지성사, 2014). 26년 전에 들은 사회학 개론 시간에 책 이름을 처음 접한 듯싶으니까(피터 버거란 이름도 그때 알았지만) 정말 오래 되긴 했다. 원서는 1966년에 나왔다('실재' reality'의 번역이다). 부제는 '지식사회학 논고'. 간단한 소개는 이렇다.

 

20세기 가장 중요한 사회사상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피터 버거와 현상학을 통해 사회학을 재정립하고자 했던 토마스 루크만이 지식사회학을 재정립하고 나아가 사회학을 보는 시각을 뒤바꿀 야심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현상학적 접근법을 기반으로 기존의 사상, 이데올로기, 세계관을 대상으로 삼던 지식사회학을 혁신하고, 일상생활의 지식에 기대어 사회와 인간 정체성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리고 1966년 그 결실이 한 권의 책으로 묶여 나왔다. 20세기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사회학 고전이자, 18개국에 번역되어 가장 많이 읽힌 사회학 서적 중 하나로 꼽힌다.

 

피터 버거의 책으론 <사회학에의 초대>(문예출판사, 1995)와 <어쩌다 사회학자가 되어>(책세상, 2012)와 함께 사회학 입문 3종 세트로 묶음직하다. 예비사회과학도들이 입학을 앞두고 읽어볼 만하겠다(좀 어려우려나?) 원서는 펭귄판으로도 나와 있다.

 

 

한편 토마스 루크만의 또다른 주저는 알프레드 슈츠와 공저한 <생활세계의 구조>다. 제목에서부터 후설 현상학의 영향을 강하게 드러내주는데, 슈츠는 현상학적 사회학 연구의 가장 대표적인 학자다. <사회세계의 현상학> 같은 주자가 아직 소개되지 않았지만, 사회학이론서에서 자주 접하던 이름이다.

 

이번주 신간 중에는 국제정치학자 한스 모겐소(<국가 간의 정치>)나 인류학자 클리포드 기어츠(<저자로서의 인류학자>) 등의 책도 보인다. 내주에 다룰 '이주의 고전' 후보들이다...

 

14. 01. 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