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들은 안녕하십니까? - 흔들리는 부모들을 위한 교육학
현병호 지음 / 양철북 / 2013년 12월
절판


인문학적 통찰력을 기르는 데는 무엇보다 책읽기와 글쓰기가 주효하다. 책읽기 능력은 모든 학습의 기초라고 할 수 있다. 책을 제대로 읽을 줄 알면 웬만한 공부는 혼자서 할 수 있다. 박사학위란 것도 따지고 보면 혼자 공부할 수 있음을 인정받는 것일 따름이다. 굳이 대학에서 박사과정을 밟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갖출 수 있다. 책을 읽어 가다보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책을 만나게 되면서 관심의 넓이와 깊이가 더해진다. 아름다운 글, 통찰력이 번득이는 글을 읽다보면 글의 힘에 매료되어 글을 쓰고 싶은 마음도 생겨난다. 글을 쓰다보면 생각이 정리되면서 사고력이 자란다. 다른 사람이 쓴 글을 이해하는 독해력도 커진다. 문장력과 독해력, 사고력은 서로 맞물려 있다.-138쪽

지금 이 땅의 청소년들 대부분이 중고등학교 시절 6년을 오로지 시험공부에 쏟고 있는데, 사실 입시 공부에 그렇게 많은 시간을 쏟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에너지 낭비이지만 개인적으로도 그렇다.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갖춘 아이라면 대학 입시를 위해서는 2년 정도만 투자하면 충분하다. 진짜 책을 보는 데 익숙한 아이들이라면 교과서는 너무 시시해서 보고 싶지도 않겠지만, 그래도 시험을 위해 필요하다면 시간을 투자할 수 있을 것이다. 토인비의 <역사의 연구>, 아니면 슈펭글러의 <서구의 몰락>이라도 읽어 본 아이라면, 세계사 교과서가 얼마나 빈약하고 시시한 책인지 알게 된다. 그런 가짜 책을 '진도'라는 이름으로 일 년씩이나 질질 끌면서 보는 일은 고역일 따름이다. 진짜 책을 보면서 진짜 공부를 한 아이들에게 입시 공부는 그다지 어려운 공부가 아니다. 물론 십여 년 동안 입시 준비만 한 아이보다 시험 점수가 좀 낮을 수는 있겠지만, 그래도 웬만한 대학은 충분히 갈 수 있다고 본다. 이후에는 입시 공부만 해온 아이들이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성취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13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