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정 무렵에 케이크 한쪽을 먹은 탓에 취침 시간이 늦어지고 있다(는 건 맞지 않는 말이고 평소대로 늦어지고 있다). 해가 바뀔 때 보통 느껴지는 약간의 들뜬 기분을 가라앉히고 올해 첫 주문서를 골라봤다(이런 습성은 해가 바뀌어도 안 바뀌는군). 날짜로는 11월에 나온 걸로 돼 있는 츠베탕 토도로프의 <환상문학서설>(일월서각, 2013)이 내가 고른 책이다.

 

 

많지 않은 분량이지만 환상문학에 대한 최초의 시학적 접근으로서 유용한 통찰을 제시하는 이론서다. 문학 강의 때 곧잘 인용하기도 하는데, 내가 읽은 건 토도로프 저작집 가운데 하나로 나왔던 <환상문학 서설>(한국문화사, 1996)로 <덧없는 행복>과 합본이었다. 물론 지금은 절판된 상태인데, 이전 번역본이 일어 중역본으로 짐작되는데 반해서(일어본 제목은 <환상문학론 서설>이다. 영어본 제목은 <환상적인 것>) 이번에 나온 건 불어본을 직접 옮긴 거라 다시 주문해서 읽어본다고 해도 욕심은 아니다(불어본 제목은 <환상문학 입문>이다).

 

 

불가리아 출신으로 러시아 형식주의를 프랑스에 전파한 중개자이면서 그 자신 구조주의 문학이론의 주요 대표자 가운데 한 명이기도 한 토도로프의 책은 <구조시학>(문학과지성사, 1987)을 필두로 하여 한때 많이 소개됐었지만, 지금은 상당수가 절판된 상태다. <환상문학 서설>도 그렇게 잊혀진 책이었는데, 이렇게 다시 나온 건 뜻밖이다.

 

 

 

후기 토도로프는 관심을 더 확장하여 타자의 문제, 전체주의와 기억의 문제 등을 다룬 책들을 여럿 내놓았다. 국내에는 재작년에 소개된 <민주주의 내부의 적>(반비, 2012)이 정치체제에 대한 그의 인문적 성찰을 담은 책이었다. 거기에 더 얹어서 20세기에 대한 성찰로서 <희망과 기억>, <전체주의 경험> 등도 소개됨직하다는 생각이다. 나는 어디에선가 인용된 걸 보고 <희망과 기억>을 구입한 기억이 난다.

 

 

1939년생이라 토도로프는 올해로 75세가 됐다. <환상문학서설>은 1970년에 나왔으니 그가 아직 생생하던 31세 때 펴낸 책이다. 그리고 어느덧 이젠 원로 비평가이자 인문학자다. 아직 정정하다면 그의 '만년의 양식'은 어떤 것이 될지 궁금하다...

 

14. 01. 01.

 

 

P.S. 참고로 토도로로프가 환상문학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면서 가장 유력한 전거로 삼은 작품이 푸슈킨의 <스페이드의 여왕>이다(토도로프는 이 작품에 대한 도스토예프스키의 경탄을 인용하면서 환상문학에 대한 정의를 시도한다). 말하자면, 무엇이 환상문학인가란 질문에 답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