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은 귀가길에 들고온 책 한 권은 이번에 나온 <한국 작가가 읽은 세계문학>(문학동네, 2013)이다.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을 110권까지 끊어서 그에 버금가는 수의 시인, 작가, 비평가들이 각자의 '읽기'를 보탰다. 그래서 부제가 '나의 읽기, 당신의 읽기'다. 내가 쓴 건 <안나 카레니나>와 <코틀로반> 두 권에 대한 독후감이다. 공저에 몇번 참여해본 적이 있지만, 100여명의 저자와 함께할 줄은 몰랐다.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에 한정된 독후감이긴 하나 유익한 가이드북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듯싶다. 기념삼아, 도정일 교수가 붙인 '들어가는 말'의 한 대목과 내가 쓴 독후감에서 한 문단씩을 옮겨놓는다.  

 

 

문학공동체의 사람들은 함께, 그러나 서로 다른 눈으로, 문학읽기에 참여한다는 것이 인생 경험을 심화하고 인간 이해와 공감의 가능성을 확장시킨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삶을 기쁘고 즐거운 것이게 하는 비결의 하나는 바로 이런 종류의 심화와 확장의 경험이다. 읽는다는 것은 삶 그 자체이고 우리네 인생이며 이 지상에 살아 숨쉬는 동안 우리가 누릴 수 있는 짧은 영광의 순간이 아닌가. 이 책은 바로 그런 즐거움과 영광을 위해 이런저런 방식으로 이런저런 작품들을 읽어낸 이런저런 독자들의 작은, 그러나 값진 기여다.(도정일)

톨스토이에게 인생의 진리와 함께하지 않는 행복이란 가능하지 않으며, 설사 존재한다 하더라도 기만에 불과하다. 그리고 가정은 그런 진정한 행복의 공간이 아니었다. 그래서 톨스토이는 『참회록』에서 예술과 함께 가정을 삶의 진리를 은폐하는 기만으로 간주한다. 『안나 카레니나』를 떠나면서 톨스토이는 예술로부터, 그리고 가정으로부터 떠난다. ‘죽음’이라는 인생의 진리 앞에서 완벽한 예술도 행복한 가정도 모두가 기만에 불과하다. ‘위대함의 허무’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안나 카레니나』는 한번 더 위대한 소설이다.

 

보셰프는 이렇게 말한다. “슬픔이란 건 별게 아니오. 뭐가 슬픈 거냐 하면 온 세상을 지각하는 거는 우리 계급인데 행복은 여전히 부르주아의 몫이라는 거요. 행복은 수치심으로 이어질 뿐이오.” 곧 사회주의자를 위한 행복은 아직 발명되지 않았다. 그것은 미래의 몫이다. 고아 소녀 나스탸는 바로 그 미래 사회주의의 상징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코틀로반』은 비극적이게도 나스탸의 죽음으로 끝난다. “그는 공산주의가 아이들의 느낌 속에, 또렷한 인상 속에 있지 않다면 이 세상 천지 어디에 있다는 것인지 도무지 알 수 없었다. 진리가 곧 기쁨이며 약동인 작고 순진한 아이가 없다면 삶의 의미와 전 세계의 기원에 관한 진리가 무엇 때문에 그에게 필요하단 말인가?”라고 플라토노프는 보셰프의 눈을 빌려 묻는다. 유감스럽게도 현실 사회주의는 이 질문에 답할 수 없었다.
13. 12. 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