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발견'은 신경진의 <고찰명: 중국 도시 이야기>(문학동네, 2013)이다. 최근 이중톈의 신간 <이중톈 중국사>(글항아리, 2013)의 1권이 나오기도 해서 다시 검색하다가 그의 <독성기>(에버리치홀딩스, 2010)를 주문할까 말까 망설인 터였다. 이중톈의 책을 대부분 갖고 있는데, 아마도 유일하게 빠진 게 <독성기>이다. 그의 '중국 도시 읽기'다. <중국 도시, 중국 사람>(풀빛, 2002)이란 제목으로 번역된 적이 있는, 이중톈의 책으론 국내에 제일 처음 소개된 것이기도 하다.
<독성기>에서 이중톈은 "동서남북을 대표할 만한 도시(베이징은 북, 상하이는 동, 샤먼, 광저우, 선전은 남, 청두는 서, 우한은 중국의 중심), 성·시·탄·도·부·진·특구 등 중국 도시의 성격(베이징성, 광저우시, 상하이탄, 샤먼도, 청두부, 우한 삼진, 선전 특구), 그리고 독특하고 기발한 문화를 가진 가장 특색 있는 7개 도시를 선정"해서 다룬다. 아무래도 <독성기>와 비교해서 읽을 수밖에 없는 <고찰명>은 어떤가. 소개는 이렇다.
중국의 25개 도시를 3장으로 나누어, 중국의 과거, 현재, 미래를 이해하는 발판으로 삼았다. 1장 ‘顧, 5000년 돌아보기’에서는 먼저 동양의 로마였던 시안을 필두로 중국의 5000년 역사를 되돌아볼 수 있는 도시들을 묶었다. 난징, 뤄양, 베이징, 항저우, 지난, 하얼빈, 창춘을 소개한다. 중국의 1인자 시진핑 주석은 중국공산당을 창당한 1921년으로부터 100년이 되는 2021년과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한 1949년부터 100년이 되는 2049년 중국의 꿈을 이룩하겠다고 13억 중국인과 약속했다. 시진핑의 ‘두 개의 100년’을 읽을 수 있는 근대 도시들은 2장 ‘察, 100년 살펴보기’에 모았다. 우한, 창사, 톈진, 광저우, 충칭, 선양, 구이린, 하이커우, 홍콩으로, 신산한 근대 중국인들의 삶이 녹아 있는 현장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3장 ‘明, 20년 내다보기’에서는 상하이, 선전, 다롄, 청두, 우루무치, 라싸, 쿤밍, 타이베이를 다루고 중국의 미래를 전망했다. 그 속에 중국인들이 그리는 미래 중국이 녹아 있다.
그래서 책의 부제가 '중국을 보는 세 가지 방법'이다.
중국 도시에 관한 책으론 <중국 개항도시를 걷다>(현암사, 2013)처럼 '개항도시'들에 초점을 맞춘 보고서도 있고, 이하라 히로시의 <중국 중세 도시 기행>(학고방, 2012)처럼 도시의 역사적 흔적에 초점을 맞춘 책도 있다. "쑤저우蘇州와 카이펑開封, 항저우杭州" 세 곳을 다루는데, 나도 짧은 여행을 다녀온 적이 있는 도시들이어서 눈길을 끈다. 덧붙여 <중국의 도시 노동시장과 사회>(한울, 2011/2002)와 같은 학술서도 나와 있다. 상하시를 중심으로 중국 노동시장을 분석한 책이다. 노동시장에 대한 분석까지는 아니더라도 다른 책들은 모두 교양서로 읽어봄 직하다. 한데 모아서 읽어봐야겠다...
13. 11. 28.
P.S. 중국의 도시들과 비교해봄직하기에 유럽의 도시들에 관한 책도 찾아봤다. <도시로 보는 유럽통합사>(책과함께, 2013)이 가장 최근에 나온 것으로, "도시라는 주제를 통해 유럽과 유럽통합에 접근함으로써, 다양하고 특색 있는 유럽의 도시들이 어떻게 유럽의 핵심을 형성하고 유럽통합을 이루어냈는지를 그려내고자 기획된 책"이다. <유럽 도시와 문화>(동아대출판부, 2012)는 유럽의 도시들을 여러 범주로 나누어서 다뤘는데, 간명한 소개가 될 법한 책이지만 벌써 절판됐다. 반면에 에디트 엔넨의 <도시로 본 중세유럽>(한울, 1997)은 아직 절판되지 않은 책인데, 중세사 참고문헌으로도 활용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