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담 보바리>의 새 번역본이 나왔다. 펭귄클래식판이다. <아주 사적인 독서>(웅진지식하우스, 2013)에 실린 첫 강의가 <마담 보바리>에 관한 것이고, 나는 이후로도 종종 강의에서 이 작품을 다루고 있는데, 주로 김화영 교수가 옮긴 민음사판을 쓰던 참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341/47/cover150/890116107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2/31/cover150/893746036x_2.jpg)
어떤 경우에도 고전은 여러 종의 번역본으로 읽는 게 유익하다고 믿는 쪽이어서(<동물농장>이나 <노인과 바다>처럼 100종 안팎의 책이 나와 있으면 또 문제는 다르지만) 새 번역본이 반갑다. 두 종의 번역본이 추가되고 있는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만큼이나. 이건 <마담 보바리>를 위해서도 좋은 일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35/41/cover150/014044912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44/22/cover150/0192840398_1.jpg)
개인적으로는 며칠 전에 펭귄판 영어본 <마담 보바리>를 구한 참이었다. 영어본도 서너 종 갖고 있는데(하긴 영어본으로도 다수의 번역본이 나와 있다), 즐겨 찾게 되는 건 펭귄판이나 옥스포드판이다. 강의를 위해선 노튼판도 요긴하다. 주요 비평문들이 발췌돼 있기 때문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225/0/cover150/3662430988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886/41/cover150/9154135087_1.jpg)
영화 버전으론 빈센트 미넬리 감독과 클로드 샤브롤 감독의 <마담 보바리>가 유명한데, 각각 제니퍼 존스와 이자벨 위페르가 주연을 맡았다. 이자벨 위페르를 좋아하지만 마담 보바리에는 제니퍼 존스의 이미지가 더 잘 맞아 보인다. 만화 버전으론, 번안이지만, 포지 시먼스의 <마담 보베리>(세키콜론, 2009)가 있다. <마담 보바리>를 현대를 배경으로 하여 재구성한 그래픽 노블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57/29/cover150/895220390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674/25/cover150/8971994843_1.jpg)
그렇다 하더라도 이 세계문학사의 걸작에 대한 읽을거리/볼거리로는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참고할 만한 연구서도 아주 드문 상황이다(간단하게 다룬 . 오영주의 <마담 보바리>(살림, 2005)가 가이드북이지만, 줄거리가 '리라이팅'으로 포함돼 있어서 전체적으론 분량이 많지 않다. 김화영 교수의 <프랑스 현대소설의 탄생>(돌베개, 2012)도 <마담 보바리>를 다루지만, 민음사판의 작품해설과 거의 내용이 같다. 좀더 많은 연구서나 해설서가 출간되기를 기대한다. 마담 보바리를 위하여...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1122/pimg_753748153928415.jpg)
13. 1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