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서재 방문자가 300만명을 넘어섰다. 확인해보니 200만명을 돌파한 지 1년 10개월만이다. 추세로 봐서는 3년쯤 뒤에 500만명까지 가게 될 듯싶다. 서재활동의 반응 지표라고 할 만한 것이 즐찾과 방문자 수 정도인지라, 서재활동에 대한 기념과 회고도 보통 그에 따르게 된다. 방문자 수는 균일하지 않지만 평균적으론 하루엔 2천명선을 넘어섰다. 어떨 때는 부담이고 어떨 때는 부듯함이다. 부담/부듯함에 답하는 의미에서 '이주의 고전'이란 걸 연재하려고 한다. 다른 건 아니고, 매주 쏟아지는 책 가운데 고전으로서 주목할 만한 책들을 따로 언급하려는 것이다. 보통은 다시 번역돼 나온 책들이기에 '오래된 새책' 카테고리에 넣으려고 한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258/88/cover150/893746315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8/cover150/8972433047_1.jpg)
이번주에 다루려는 아이템은 사르트르의 희곡과 올콧의 선정소설이다(20세기 프랑스 철학자와 19세기 미국 여성작가는 물론 아무 상관이 없다. 책이 같이 나왔을 뿐이다). 먼저, 사르트르의 희곡선으로 <닫힌 방. 악마와 선한 신>(민음사, 2013)이 세계문학전집의 하나로 나왔다. <악마와 선한 신>은 <악마와 선신>이란 제목으로 더 친숙한데, 여하튼 사르트르의 대표 희곡에 속하는 두 작품이다. "사르트르의 희곡들 중 가장 성공적인 작품이라는 평가와 함께 오늘날까지 세계 각지에서 상연되고 있는 '닫힌 방'과 사르트르가 자신의 희곡 중 가장 아끼는 작품이라고 알려진 '악마와 선한 신'이 수록된 사르트르 희곡선."
사르트르의 작품 가운데는 소설 <구토>를 강의에서 다룬 적이 있고, 그의 희곡들도 관심권에 계속 놓아두고 있었지만 마땅한 번역본이 없던 터였다. <무덤 없는 주검>과 <더러운 손> 등이 서문문고로 나와 있는 정도. 그래서 몇달 전에 영역본 하나를 구했는데, 이번에 나온 <닫힌 방>도 포함돼 있다. 기회가 되면 강의에서 다뤄보고 싶다(카뮈의 희곡들과도 비교해보고).
![](http://image.aladin.co.kr/product/480/23/cover150/8976417062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35/67/cover150/8991965369_1.jpg)
번역자 지영래 교수는 사르트르 전공자로 사르트르의 플로베르론을 다룬 연구서 <집안의 천치>(고려대출판부, 2009)와 번역서 <사르트르의 상상력>(기파랑, 2008)을 펴낸 바 있다. 한편, 사르트르 드라마에 대한 참고자료로는 여러 종류의 자료와 회견들을 옮긴 <상황극>(영남대출반부, 2008)이 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249/30/cover150/8954622593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980/84/cover150/8901116979_1.jpg)
<작은 아씨들>의 작가 루이자 메이 올콧의 소설집 <가면 뒤에서>(문학동네, 2013)도 이번에 나왔다. '선정소설'이란 분류가 눈길을 끄는데(성장소설이 아니라!), "가명 내지 익명으로 발표했던 올컷의 대중소설들은 한동안 묻혀 있다가 1940년대부터 발굴되기 시작했고, 1980년대에 여성주의 운동과 맞물리며 큰 주목을 받았다"고 한다. 이번에 소개되는 건 스릴러 네 편. "관계의 섹슈얼리티적 측면과 낭만적 사랑 신화, 성별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흥미진진하게 빚어낸 '가면 뒤에서, 또는 여자의 능력', '어둠 속의 속삭임', '수수께끼'와 해시시를 삼킨 후 통제되지 않는 자아를 경험하는 젊은 연인의 일화를 담은 '위험한 놀이'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15/95/cover150/068815132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53/48/cover150/1557423679_1.jpg)
생각난 김에 펭귄클래식에서 나온 <작은 아씨들>도 구입했다(중학생인 아이가 혹 관심이 있을까 싶어서). <작은 아씨들>의 작가가 과연 '가면 뒤에서' 무슨 소설을 쓴 것인지 한번 알아봐야겠다...
13. 10.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