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초에 '사라진 책들' 가운데 하나로 언급했던(http://blog.aladin.co.kr/mramor/6079979) 한국사학자 마르티나 도이힐러의 <한국사회의 유교적 변환>(아카넷, 2003)이 드디어 다시 나왔다. <한국의 유교화 과정>(너머북스, 2013). '신유학은 한국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나'가 부제다. 수집 목록에 있던 책이 재출간돼 반갑다. 어떤 책인가.
![](http://image.aladin.co.kr/product/3222/77/cover150/8994606238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5/25/cover150/8957330194_1.jpg)
‘한국학의 대가’ 스위스인 마르티나 도이힐러가 내놓은 역작. 15~16세기 당시 사회에 신유학(성리학)의 도입과 정착이 지속적으로 강력히 추진된 동기는 무엇이었으며, 신유학이 사회 구조에 미친 영향은 어떠했는가에 대한 공백을 메운 최초의 본격 시도였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업적으로 평가받는 책이다. 20여 년이 걸린 마르티나 도이힐러의 역작은 약 150여 종이나 되는 사료와 290여 편의 각종 저작을 인용한다. 특히 사회인류학과 교류하면서 친족, 조상 숭배, 가계계승, 상속, 결혼, 상장례 등 6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고려 초기에서 조선 후기까지 한국의 역사를 통찰하는 가운데 매우 중요한 사실에 도달한다. 1392년 조선의 건국세력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추진된 유교 사회로의 전환이 이후 약 250년에 걸쳐서 점진적으로 완성되었고, 그 결과 17세기 중반에 이르러 조선의 양반 사회가 적장자 중심의 문중 사회로 재편성되었다는 결론을 내린다. 이렇게 재구성된 조선 사회는 고려시대의 사회 구조와 확연히 달랐고, 유교사상이 중국 사회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지만 한국에서는 세계 다른 어느 나라에서도 보기 힘들 정도로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쟁론의 대상이 될 만한 주장을 치밀하게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국외 한국사 연구의 주요 성과 가운데 하나라는 점에서 재출간의 의의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국내 학자들의 주장과는 어떻게 대비가 되는지는 따로 관련 논문이나 서평을 찾아봐야겠다(이런 정보의 품앗이도 필요하다). 여하튼 월요일부터 건질 만한 책이 여럿 눈에 띄는데, 일단 '오래된 새책'부터 적었다...
13.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