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권우의 <여행자의 서재>(동녘, 2013) 서문을 읽다가 귄터 베셀의 <집안에 앉아서 세계를 발견한 남자>(서해문집, 2006)란 책을 발견했다. 뒤늦은 발견이었는지(책의 표지는 본 기억이 있음에도) 이미 절판됐고 중고서적들에도 나와 있지 않다. 어떤 책인가.

 

독일의 언론인 귄터 베셀이 제바스티안 뮌스터가 쓴 <코스모그라피아>에 얽힌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다룬 책입니다. 문제의 인물 제바스티안 뮌스터는 발품 팔아 세계를 돌아다니기보다는 탐험가들이 기록한 글을 "듣고, 읽고, 쓰고, 기록하고 그리고 분류"해서 "자신의 손가락으로 전 세계를 묘사"한 <코스모그라피아>를 완성했습니다.(...) 책으로 온 세상을 떠돌아다닐 만용을 부린 저는, 말하자면 콜럼버스나 마젤란보다는 제바스티안 뮌스터에 가까운 사람인 셈입니다.(5쪽)

<코스모그라피아>란 책이 궁금해서 잠시 손가락품을 팔았다. 김상근의 <세계지도의 역사와 한반도의 발견>(살림, 2004)에 설명이 좀 나와 있다(아래는 네이버의 지식백과에서 가져왔다).

 

유럽의 세계지도 제작사(製作史)에서 세바스찬 문스터(Sebastian Munster, 1488~1552)는 프톨레미의 세계관을 반영한 16세기의 마지막 지도 제작자라고 할 수 있다. 하이델베르크와 튀빙겐대학에서 수학한 프란치스코 수도회 소속 사제였던 문스터는 원래 히브리어를 가르치는 대학 강사였으나, 1529년 바젤대학으로 옮기면서 루터의 종교개혁에 심취한 인물이었다. 바젤대학에서 개신교로 개종한 문스터는 1540년 48개의 목판 지도를 포함한 프톨레미의 『지리학』을 출간하였으며, 1544년에는 독자적인 『코스모그라피아(Cosmographia)』를 출간하여 16세기 중엽에 최고의 지리학자로 명성을 쌓게 되었다.

문스터의 『코스모그라피아』는 16세기 후반의 세계지도 제작의 최고봉이라고 할 수 있는 아브라함 오르텔리우스의 1570년판 『세계의 무대(Theatrum Orbis Terrarum)』가 출간될 때까지 약 25년간 유럽을 대표하는 세계지도였다. 아래 지도는 문스터에 의해 제작된 아시아 전역의 지도인데, 여전히 프톨레미의 세계관과 마르코 폴로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지도의 역사적 의미는 지도 제작사상 최초로 아시아 대륙(Asia Major)을 유럽 대륙과 인접한 극동 지역(Asia Minor)으로부터 분리시켜 표현했다는 것이다. 프톨레미의 세계관을 담고 있는 문스터의 『코스모그라피아』의 아시아 부분은 전반적으로 왜곡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오른쪽 귀퉁이에 '미지의 땅'이라는 표현을 구체적으로 기록함으로써, 동아시아에 대한 지리학적 정보 부족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신대륙의 발견이 이미 반세기 전에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는 여전히 미지의 땅으로 남아 있음을 볼 수 있다. 한반도는 아직 그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고등학교 때 세계사와 지리는 선택과목이어서 둘 중 하나만 들어야 했다. 내가 선택한 건 세계사였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세계지도'는 정확히 세계사와 지리가 겹치는 부분이면서 그 사각지대가 아닌가 싶다. '세계지도'란 주제에 대해 얼마간 관심을 갖게 돼(그렇다고 수집가는 아니다) 관련서들에 흥미가 있는데, 귄터 베셀의 책이 절판된 게 유감스러워 페이퍼로 적는다.

 

 

세계지도와 관련한 책으론 제러미 블랙의 <세계지도의 역사>(지식의숲, 2006), 지도에 대한 상식을 풀어주는 <지도로 보는 세계지도의 비밀>(이다미디어, 2010), 그리고 아서 제이 클링호퍼의 <세계지도에서 권력을 읽다>(알마, 2012) 등을 더 참조할 수 있다.  

 

 

예전에 한번 주제로 다룬 적이 있지만 조선시대 세계지도에 대해선 오상학의 <조선시대 세계지도와 세계인식>(창비, 2011)을 비롯해 손에 꼽을 만한 책들이 나와 있다. 그리고 최근에 나온 책으론 또 다른 형태의 세계지도라 할 '지구의'에 관한 책 센다 미노루의 <지구의의 사회사>(푸른길, 2013)과 미치광이 지도광들의 이야기, 켄 제닝스의 <맵헤드>(글항아리, 2013)도 눈길을 끄는 책이다. 하지만 당장은 제바스티안 뮌스터에 대한 책이 궁금하다. 재간되길 기대한다...

 

13. 10. 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