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갓길에 우편함에서 <월간 에세이>(10월호)를 들고 왔다. 지난 여름에 '에세이'를 청탁받고 쓴 글이 이달에 실렸기 때문이다. 카뮈의 <시지프 신화>에 대해 짧게 적은 글을 찾아서 옮겨놓는다.

 

 

 

월간 에세이(13년 10월호) 좋은 에세이, 좋은 시도

 

에세이란 말의 출처는 프랑스어 ‘엣세’다. 흔히 <수상록>으로 번역된 몽테뉴의 책 <엣세>가 내가 알기론 ‘에세이’의 기원이다. 고유명사가 장르를 가리키는 보통명사로 전환됐다고 할까. ‘엣세이에’(시도하다)란 동사에 근원을 두고 있는 말이어서 내게 ‘에세이’는 뭔가를 시도한 결과물을 떠올려준다. 이 ‘시도’는 책임으로부터는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내 식대로 구별하면 그게 ‘기획’과의 차이다. ‘시도’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마다하지도 않는다. 주사위를 던져서 원하는 숫자가 나올 확률이라고 해도 좋겠다. 반복해서 던지면 분명 한번은 원하는 숫자가 나오기 마련이다. 하지만 대개 시도는 시도 자체에서 의의를 찾는다. “좋은 시도였어!”라는 격려의 말이 보통 그런 뜻을 함축한다.


프랑스어에 기원을 두어서인지는 몰라도 에세이란 장르에서 내가 연상하는 책은 몇 권의  프랑스 책이다. 프랑스인 저자가 쓴 책들 말이다. 중학교 때 라디오방송에서 들은 몇 가지 내용이 흥미로워서 처음 구입했던 <수상록>을 제쳐놓으면 내가 읽은 에세이의 서두에 오는 건 알베르 카뮈의 <시지프 신화>다. 짐작엔 대학 1학년 때 읽은 책이다. ‘에세이’란 말이 자주 ‘수필’이란 한국어로도 번역되지만 <시지프 신화>를 수필로 부르긴 어려울 것이다. 수필이란 말이 연상시키는 부드러움과는 전혀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우리말 대응어를 찾자면 이 경우 에세이는 시론(試論)에 가깝다. ‘시험 삼아 해본 주장’이라고 해야 할까.


<시지프 신화>에서 카뮈는 이 시론을 철학과도 구별한다. 자신은 부조리의 감수성을 제시하려고 하는 것이지 이 책이 ‘부조리의 철학’은 아니라고 미리 일러준다. 물론 그런 철학은 이제까지 경험해보지 못했다고 하니까 아직 등장하지 않았다. 아마도 카뮈가 철학이란 말로 염두에 둔 것은 제대로 된 규모의 논증이 아닐까 싶다. 시론은 그러한 규모나 엄밀성에서 자유롭다.

 

사실 <시지프 신화>의 전체적인 구성이 잘 짜여 있다기보다는 적당히 구색을 맞췄다는 인상을 준다. 얼핏 체계적인 듯 보이지만 필연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체계적이기도 하다. 가령 첫 번째 파트인 ‘부조리의 추론’이 비교적 정연한 데 비하면 ‘부조리한 인간’과 ‘부조리한 창조’라는 나머지 두 파트는 엉성하다. ‘부조리한 인간’의 세 절이 각각 ‘돈후안주의’와 ‘연극’, 그리고 ‘정복’인 것은 말 그대로 부조리한 조합이다. 부조리란 테마를 부조리한 방식으로 다룬다고 하면 역설적이지만 말이 안 되는 건 아니다.

 


“참으로 진지한 철학적 문제는 오직 하나뿐이다. 그것은 바로 자살이다”라는 구절로 시작한 카뮈의 에세이는 시지프 신화에 대한 재해석으로 마무리된다. 카뮈는 자살이 부조리에 대한 올바른 대응이 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럼 뭔가? 반항이다. ‘긍정’이란 이름을 가진 특이한 반항이다. 그 반항의 모델이 바로 그리스 신화 속 시지프이다. 거대한 바위를 산정까지 굴려 올리는 무용한 노동을 무한히 반복하는 게 신들이 시지프에게 내린 형벌이다.


하지만 중요한 건 그 노동이 아니다. 카뮈의 관심을 끄는 건 정상에서 굴러떨어진 바위를 다시 밀어올리기 위해 터벅터벅 내려오는 시지프의 걸음이다. 잠시 동안의 휴식은 시지프에게 ‘의식의 시간’이다. 무얼 의식하는가. 자신의 노동과 그 결과 사이의 부조리이다. 이 부조리를 의식하되 긍정하고 다시금 바위에 몸을 밀착하는 것이 시지프의 반항이다.

 

그러니 시지프에게 감동적인 것은 노동 자체가 아니라 그 무용성에 대한 의식이다. 바로 그럴 때 “시지프는 자신의 운명보다 더 우월하다. 그는 그의 바위보다 더 강하다”라고 카뮈는 적었다. 나는 이 문장을 쓸 때 카뮈가 의기양양했으리라고 상상한다. 말 그대로 좋은 에세이, 좋은 시도다.

 

13. 09. 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