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발견'은 찰스 클로버의 <텅 빈 바다>(펜타그램, 2013)이다. '남획으로 파괴된 해양생태계와 생선의 종말'이란 부제가 어떤 내용인지 짐작하게 해준다. "인간의 탐욕이 부른 바다의 황폐화를 다룬 논픽션"으로 "영국에서 환경 전문 저널리스트로 활동해온 전(前) '데일리 텔레그래프' 기자, 찰스 클로버가 전 세계 바다에서 벌어지는 수산물 남획의 실태와 남획이 불러온 해양생태계 파괴의 실상을 치밀한 취재와 조사를 통해 정면으로 드러낸 심층르포다."

 

 

'해양판 <침묵의 봄>'이란 <인디펜던트>의 평이 책의 성격을 잘 압축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지은이가 소개하는 한 연구에 따르면, 단적으로 1950년대에 해양에서 살았던 대어의 90%가 사라졌고, 세계의 어획량은 1988년부터 매년 77만 톤씩 감소해왔다. 이대로 간다면 우리가 지금 즐기는 생선을 우리 다음 세대가 맛볼 기회는 사라지고 말 것이다."

 

 

책의 메시지는 영화로도 제작됐다는데, 루퍼트 머레이 감독의 동명의 다큐가 그것이다. "전 세계 해양에서 벌어지는 남획이 초래한 결과의 불편한 진실"이란 평을 받았다고.

 

 

'불편한 진실'은 물론 지구 온난화 문제를 다룬 엘 고어의 환경리포트와 동명의 영화를 염두에 둔 표현이겠다. 그렇다면, '생선의 종말'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저자의 메시지는 이렇게 간추려진다.

-덜 포획한다. 포획 속도를 현재 속도의 절반 이하로 늦춘다면 바다가 다시 풍요로워질 것이며, 마침내 더 포획할 수 있을 것이다.

-생선을 덜 먹거나 낭비가 덜한 방식으로 잡은 생선을 먹는다.
-평소 자신이 먹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고 지속가능하지 않은 방식으로 잡은 생선은 거부한다.
-포획 대상을 까다롭게 선별하는, 낭비가 적은 어법을 선호한다.
-어부들에게 어획권 거래를 허용하되, 그에 따른 책임을 부여한다.
-공해와 집약적으로 어획되고 이용되는 바다의 50% 수역에 다랑어와 황새치 같은 대형어종의 회유지가 될 보호구역을 설치한다. 북해가 대표적인 예다.
-개체군 감소를 감시하는 지역 관할 어장기구에 공해상의 조업에 법을 집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200해리 이내의 수역에서는 조용한 민주주의 혁명을 조직해야 한다. 그리하여 시민들이 바다 전체에 대한 권리를 되찾아야 한다.

아무려나 이주에 나온 책 가운데서는 오시카 야스아키의 <멜트다운>(양철북, 2013)과 함께 필독해볼 만한 논픽션이다. 많이들 지적해온 바 있지만 국내에서도 이런 논픽션이 많이 나오면 좋겠다...

 

13. 09. 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