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에 실린 북리뷰를 옮겨놓는다. 이번주에 나온 브룩 원렌스키 랜포드의 <에덴 추적자들>(푸른지식, 2013)이 리뷰감이었다. 창세기에 등장하는 에덴이 어디에 있는지 설명하려고 했던 여러 학자, 지식인, 혁명가 등을 소개하고 있는 책으로 광범위한 자료조사와 재기 넘치는 필체가 결합된 수준 있는 논픽션이다.

 

  

 

중앙일보(13. 09. 28) 에덴은 있다! 낙원을 향한 그들의 열망

 

이 책은 창세기에 나오는 에덴이 실재한다고 믿고 찾아 나선 각양각색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 논픽션이다. 책을 읽다가 에덴동산에 대한 ‘상식’은 뭔지 궁금했다. 마침 최근에 나온 크리스틴 스웬슨의 『가장 오래된 교양』이 생각나 펼쳐봤다. 하나님이 아담과 이브를 창조했다는 에덴이 지구 어디에 있었는지는 예로부터 적잖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그 중 일부의 사람들은 발 벗고 찾아 나서기까지 했다. 바로 ‘에덴 추적자들’이다.

 



하지만 우리가 GPS로 찾을 수 있는 어떤 장소가 아닌 이상 에덴의 위치에 대해선 정확히 알기 어렵다. 『가장 오래된 교양』의 저자는 그럼에도 “성서 본문에 있는 잘 알려진 지명들을 근거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에덴이 오늘의 이라크에 있었다고 믿는다.”

‘에덴 추적자들’은 그 정도 추정에는 만족하지 못한 사람들이다. 일단 창세기의 묘사가 구체적이면서도 모호하다. “에덴에서 강 하나가 흘러나와 그 동산을 적신 다음 네 줄기로 갈라졌다”라며 네 강줄기의 이름으로 비손과 기혼, 티그리스, 유프라테스를 차례로 거명한다. 오늘날에도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은 터키에서 시작해 이라크를 지나 페르시아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문제는 오늘날엔 존재하지 않는 비손강과 기혼강이 어디에 있었는지 아무도 모른다는 것이다.

 

기사 이미지

 

여기서 크게 두 파가 나뉜다.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을 기준으로 삼는 사람들은 기혼강과 비손강도 그 근처에 있다고 믿는다. 강이 아니라 샘이나 운하가 아니었을까 추정하는 사람도 있다. 반면 비손강과 기혼강에 더 초점을 맞추는 사람들은 오랜 세월이 지나는 동안 강 이름도 바뀌었을 것이기에 성서에 나오는 이름에 집착하면 안 된다고 본다. 창세기에 나오는 강 이름이 그저 ‘세상에서 가장 큰 네 강’을 가리킬 뿐이라는 1세기 로마시대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의 말을 좇게 되면 에덴은 반드시 중동에 있을 필요가 없다.

비손강은 갠지스강으로, 기혼강은 나일강으로 이름이 바뀌었을 수도 있다면, 에덴은 말 그대로 지상 어딘가에 있는 곳이다.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심지어 에덴이 실제 장소일 수도 있고 은유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난감한 일이지만 에덴은 우리 마음속에 있다는 말로도 들린다.

이런 에덴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많은 흥미로운 사례 가운데 저자는 감리교 목사이면서 보스턴대 학장이었던 윌리엄 워런을 먼저 소개한다. 1859년 다윈의 진화론이 등장하면서 독실한 기독교인들은 인간이 원숭이와 다를 바 없다는 충격적인 주장에 맞서고자 각오를 단단히 한다. 강연 때마다 서두에 “혹시라도 모인 사람 중에 자신을 동물이라고 믿는 사람이 있다면, 그 동물이 사람이 될 때까지 토론을 미루는 것이 좋겠습니다”라고 일침을 놓던 워런도 그런 투사였다. 비교신화학을 전공했지만 진화론자들을 개종시키기 위해 워런은 과학의 언어를 배워서 창세기의 내용을 입증하고자 했다.

그가 주장한 에덴 후보지는 북극이었다. 당시 북극은 탐험가들의 손길이 닿지 않아 아직 미지의 지역이었고 워런의 ‘에덴 북극설’은 대중의 북극 환상에 편승한 것이기도 했다. 그가 1985년에 펴낸 『낙원을 찾다!』에는 북극을 중심에 놓은 고대 세계의 지도까지 수록했고 많은 독자들이 그에게 지지를 보냈다. 하지만 북극이 정복되고 북극 열병이 사그라지면서 그의 에덴 북극설도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혀졌다.

워런보다 좀더 신빙성 있는 주장을 내놓은 학자들도 물론 있었다. 『낙원을 찾다!』에 추천서를 써주기도 한 영국 옥스퍼드의 아시리아학 교수 아치볼드 세이스도 그 중 한 명이다. 어학에 탁월한 재능이 있었던 그는 고대 바빌로니아의 쐐기문자에 대한 독해를 바탕으로 에덴이 ‘좋음’이란 뜻의 고대 도시 에리두 근처에 세워진 동산으로 추정했다.

플랜테이션 농장 비슷한 곳으로 농장 가운데 특별한 나무가 있었다고 하며, 세이스는 이에 근거해 성서에 나오는 지식의 나무는 소나무, 생명의 나무는 야자과식물이라고 주장했다. 기혼강과 비손강은 고대의 인공 운하였을 거라는 게 그의 견해다. 그는 노아의 홍수가 실제로 있었던 재앙이며, 에덴동산 이야기도 사실에 근거한 이야기로 믿었다.

에덴 찾기는 기본적으로 진화론과 과학의 도전에 맞서 신의 창조론을 방어를 위한 성격을 띤다. 1991년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47%가 여전히 지구와 사람을 신께서 아주 특별하게 창조했다고 믿는다. 그들에게 창세기에 대한 문자 그대로의 믿음은 신앙의 지표다. 창조론과 진화론의 대립 속에서 화해를 모색한 한 과학교사의 말은 왜 여전히 에덴이 관심사가 되고 있는지 시사해준다.

진화론을 안 믿는다는 건 지구가 편평하다고 믿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하지만 동시에 그는 신앙이 아이들을 망치는 게 아니라 삶에 아름다움을 더해준다고 믿는다. 과학과 신앙 사이에서 머뭇거리는 독자들에게 흥미진진한 이야기들과 함께 사색의 정원으로 인도하는 책이다. 아, 파라다이스란 말은 원래 페르시아어로 담이 둘러진 정원을 뜻한다고 한다.

 

13. 09. 28.

 

 

P.S. 에덴에 대한 가장 자세하면서도 강력한 문학적 묘사는 물론 밀턴의 <실낙원>에서 읽을 수 있다. 조신권, 이창배 교수의 번역본이 나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