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에 검정을 통과한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한국일보에 실린 박찬승 한양대 사학과 교수의 인터뷰에서도 비슷한 시각을 읽을 수 있다. 무엇이 문제인지 쟁점에 관한 대목을 발췌해놓는다(전문은 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1309/h2013091520320984330.htm 참조). 박찬승 교수는 근대사 전공자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돌베개, 2013), <마을로 간 한국전쟁>(돌베개, 2010), <민족, 민족주의>(소화, 2010) 등의 저자다. 

 

 

-교학사 교과서 근현대사 부분을 읽어보고 어떻게 느꼈나.

 

"첫 인상은 '미스'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 이회영 등 6형제가 만주에서 신민회를 조직한 것처럼 썼다거나, 포츠담선언 날짜가 잘못됐다든지, 애치슨 선언과 미군 철수 시기가 뒤바뀌어 있다. 교과서 검정에서는 사실 오류를 제일 먼저 본다. 검정을 거친 교과서인데도 '팩트'에 오류가 많다는 데 놀랐다. 문장이 잘 안 읽힌다. 고등학생 수준에 맞게 써야 하는데 너무 전문적이거나 고유명사 단체 이름 같은 게 한 페이지에 너무 많아 굉장한 학습 부담을 준다. 교과서는 집필에 10개월, 검토에 10개월 걸린다. 필자들이 다 모여 한 줄 한 줄 놓고 이야기를 한다. 나도 교과서 필진으로 참여했을 때 1년 가까이 매주 주말을 반납했다. 교학사 교과서는 그런 시간 투자를 안 하고 급히 쓴 것처럼 보인다."

 

-교학사 교과서는 사실 오류뿐 아니라 식민사관, 친일 미화, 이승만 띄우기 등 여러 지적이 나왔다. 무엇이 가장 문제인가.

 

"사실 오류와 의도적인 왜곡처럼 보이는 부분이다. 다른 여러 교과서에도 5ㆍ16혁명공약을 실었는데 이 교과서만 '민정 이양'을 천명한 6항이 빠져 있다. 적절하지 않은 지문이나 질문도 많다. 명성황후 시해 사건 대목에서도 '민비'를 죽일 수밖에 없었다는 사건 가담 일본인의 글을 소개하면서 왜 일본이 이렇게밖에 할 수 없었을까 생각해보라는 질문을 던진다. 시해범의 입장을 이해하라고 받아들이라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다.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에서 국내 문화운동, 실력양성운동 비판하는 대목을 인용하면서 이런 주장이 타당할까 하고 묻는다.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하도록 유도하는 듯 하다. 또 구한말 조선의 유생들은 학문 수양에만 힘쓰고 망국의 책임을 반성하지 않았다고 했다. 의병을 일으킨 유생이 숱하고 자결한 사람은 내가 확인한 것만 70명이 넘는다. 선조들이 무책임했던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것은 자기 비하다. 대한민국 역사에 자긍심을 갖도록 하기 위해 썼다면서 이런 자기 폄하적인 부분이 있다."

 

-교학사 교과서 필자인 이명희 공주대 교수는 이 교과서가 식민지 근대화론이라는 비판에 대해 "우리 민족의 내적 발전을 강조하려고 했다"고 반박한다. 그렇게 보이나.

 

"일제의 수탈을 언급하고 물산장려운동을 강조하는 등 식민지 근대화론처럼 비치지 않으려고 신경을 쓴 건 사실이다. 하지만 비판 받을 여지가 있는 부분도 있다. 예를 들면 시간 관념의 변화는 근대의 당연한 현상인데 일제 지배 이후라는 표현을 붙여 일제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게 한다. 그런 건 일제 지배로 만들어졌다기보다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과 언론 계몽 같은 것의 역할이 큰 것이다. 일본인 농장주가 수리조합을 만들고 저수지를 잘 축조해 선진적인 농장 운영을 했다는 대목에서도 그들이 간척사업을 위한 공유수면 매립 허가를 특혜로 받았다거나 수리조합에 대한 농민들의 반대 투쟁을 언급하지 않는다. 그냥 일본 사람 대단하다고 느끼게만 써놨다. 그렇게 균형 잡히지 못한 점이 아쉽다."

 

-이 교수는 이승만을 강조했다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이승만에 대한 일반의 잘못된 관념을 바로잡기 위한 거라고 설명한다.

 

"교과서 저자가 자기의 생각을 주입하겠다는 자세는 잘못이다.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학계에서 통용되는 상식적인 이야기를 정리해 학생에게 전달한다는 관점에서 써야 한다. 저자가 특정한 목적의식을 갖고 쓰면 편향될 수밖에 없다. 안창호는 초기 임정에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도 임정 부분에서 한 번도 거론되지 않는다. 그에 반해 이승만은 도처에서 언급되고, 사진도 가장 많이 나온다."

13. 09. 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