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간경향(1042호)에 실은 북리뷰를 옮겨놓는다(주간경향에 싣는 마지막 리뷰다). 최근에 나온 미야자키 하야오의 <책으로 가는 문>(현암사, 2013)을 서평감으로 골랐는데, 미야자키 하야오에 대해선 신작 영화도 개봉되고 해서 관련 인터뷰가 많이 올라오고 있다. 여름에 나온 <미야자기 하야오: 출발점> <반환점>도 가을에 시간을 내어 읽어보려고 한다...

 

 

 

주간경향(13. 09. 10) 책 한 권을 잘 만나면 어린이 인생이 바뀐다

 

오랜만에 어린이 책을 손에 들었다. 전에 읽은 책이 기억나지 않을 만큼 오랜만이다. 일본 애니메이션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의 <책으로 가는 문>(현암사). 애니메이션을 즐겨보는 건 아니어서 개인적으로 미야자키 하야오에 대해 특별한 기억을 갖고 있는 건 아니다. 그럼에도 TV만화 <미래소년 코난>을 보고 자란 세대이니만큼 빚이 없는 건 아니다. 게다가 ‘거장’이 고른 어린이 책 목록에 대한 관심도 이 얇은 책에 대한 독서를 부추겼다.

정확하게 말하면, ‘어린이 책에 관한 책’이다. 이와나미 소년문고 400여권 가운데 50권을 골라서 추천사를 쓰고 미야자키 자신의 어린 시절 독서경험 등을 덧붙였다. ‘이와나미 소년문고’는 1950년에 창간됐다고 하는데, 일본의 대표적 아동문학 총서인 듯싶다. 1941년생인 미야자키도 1950년대 언제쯤 이와나미 문고를 읽기 시작했다고. 하지만 책을 아주 많이 읽은 건 아니라고 한다. 어린이문학과의 본격적인 만남은 대학에 가서 이루어진다. 만화연구회에 들고 싶었지만 그런 게 없어서 들어간 동아리가 어린이문학연구회였다. 그는 거기서 ‘읽지 않으면 안 된다’는 각오로 책을 읽는다. 당시엔 교양에 대한 강박관념이 아직 남아 있어서 ‘이 정도는 읽어야 한다’는 책 목록이 죽 늘어서 있었다. 하지만 너무 어렵고 난해한 책들의 틈바구니 속에서 고생하다가 자신의 기질에는 어린이문학이 맞는다는 걸 비로소 발견한다.

미야자키가 생각하는 어린이문학의 의미란 무엇인가. 흥미로운 정의를 내리는데, 그에 따르면 “어찌할 도리가 없다, 이것이 인간이라는 존재다”라고 인간에 대해 엄격하고 비판적인 문학과는 달리 어린이문학은 “살아 있어 다행이다. 살아도 된다”는 응원을 보내는 문학이다. 그 밑바탕에 있는 태도는 ‘다시 해볼 수 있다’는 긍정이다. “아이들에게 절망을 말하지 마라”는 뜻이라고 그는 덧붙인다. 평소에는 허무주의나 염세주의를 입에 달고 다니는 사람일지라도 눈앞에 아이들을 두고서 ‘너희들이 태어난 건 다 쓸데없는 일이야’라는 식으로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한다. 즉 경계하는 마음을 갖게 되는 것이다. “아이들이 주위에 없으면 그런 마음을 금방 잊어버리지만, 제 경우는 이웃에 보육원이 있으므로 내내 그렇게 생각할 수밖에 없습니다”라는 고백이 거장다운 유머다.

어린이란 어떤 존재인가. 미야자키가 보기에는 무엇보다도 부모의 보호가 필요한 존재다. “때가 올 때까지 아이는 제대로 부모의 보호 아래 있어야 합니다”라는 게 그의 지론이다. 곧 부모를 불신하고 서둘러 성장하는 것보다는 의존하는 게 더 낫다. 인생수업을 거쳐서 어른으로의 성장과 자립을 중요시하는 독일식 교양소설과 어린이문학은 그래서 다르다. 의존을 인정하지 않으면 아이의 세계를 이해할 수 없다고까지 미야자키는 단언한다. 그가 보기에 아이는 현명해지는 만큼 또 몇 번이고 바보 같은 짓을 할 수 있으며, 아이에게는 거듭 바보 같은 짓을 할 권리가 있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계를 구성하는 세계관이 어떤 것인지 짐작하게 해주는 대목이다.

‘책에 관한 책’이니만큼 저자의 독서론도 눈여겨볼 만한데, 일단 미야자키는 책을 아무리 놓아두어도 아이들은 읽지 않는다고 한다. 책을 주변에 쌓아두면 자연스레 아이의 손이 갈 거라는 기대는 순진하다는 게 그의 경험담이다(많은 부모가 동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뭔가 거장다운 비책을 기대한 독자라면 좀 맥 빠진 답변이지만 미야자키는 책을 읽는다고 다 좋은 것도 아니지 않으냐고 말한다. 무슨 효과 때문에 책을 읽히는 건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대신에 더 없이 중요한 건 ‘역시 이것’이라고 할 만큼 아주 소중한 의미를 갖는 책 한 권을 만나는 일이라고. 그렇게 만난 책 한 권이 아이들의 인생을 바꾸게 될 것이다. 그가 추천한 50권의 어린이 책은 그 후보도서로서 의미를 갖는다고 할까. 우리 아이들의 책장에 그런 책이 꽂혀 있는지 살펴볼 일이다.

13. 09. 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