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시사IN(312호)에 실은 북리뷰를 옮겨놓는다. 휴버트 드레이퍼스와 숀 켈리의 <모든 것은 빛난다>(사월의책, 2013)를 읽고 적었다.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단테의 <신곡>과 허먼 멜빌의 <모비딕>까지 3000년에 이르는 서양 고전을 새로운 시각으로 되돌아보게 해주는 '올해의 책' 가운데 하나다. 리뷰에서는 풍부한 책의 내용 가운데 일부만 짚었다...

 

 

 

시사IN(13. 09. 07) 신들을 다시 만나는 방법

 

벌써 오래 전 영화이지만 쿠엔틴 타란티노의 걸작 <펄프픽션>(1994)의 한 장면을 떠올려보자. 조직원인 줄(새뮤얼 잭슨)과 빈센트(존 트래볼타)는 두목의 가방을 빼돌린 자들을 찾아가 응징하는데, 화장실에 숨어있던 한명을 놓친다. 무방비 상태인 둘에게 그가 은빛 매그넘 권총을 겨누고 여섯 발을 연달아 쏜다. 놀랍게도 줄과 빈센트는 한발도 맞지 않는다. 그를 마저 처치하고 난 줄은 이 사건에 심각한 충격을 받는다. 빈센트는 기막힌 행운이었다고 말하지만 줄이 보기엔 신이 개입한 기적이다. 당신이 보기에는 어떤가. 행운인가, 아니면 기적인가.

 

 

<모든 것은 빛난다>의 공저자인 두 철학교수의 말대로, “이 세속의 시대에는 아마도 빈센트의 태도가 더 표준적라고 말하는 편이 맞을 것이다.” 우리는 탈형이상학의 시대를 살고 있기에 그런 상황에서 경이나 감사의 감정에 압도되지 않는다. 기적을 목격했다고 믿은 줄은 조직에서 은퇴하지만 단지 요행이었을 뿐이라고 생각한 빈센트는 이후에도 두목의 뒤치다꺼리를 하다가 어이없는 죽음을 당한다. 타란티노의 블랙유머가 빛을 발하는 이 이야기를 그냥 웃어넘길 수도 있겠다. 하지만 저자들은 정색하고서 진지한 철학적 성찰 거리로 삼는다. 총알이 빗나간 게 신의 개입이라고 보는 줄의 관점을 호메로스의 세계와의 연관 속에서 조명한다.


그리스인들의 인간 이해에서 핵심은 삶에서의 탁월성이었다. 그런데 이 ‘탁월함’을 뜻하는 그리스어 ‘아레테’는 나중에 미덕(virtue)으로 번역됐지만 겸손이나 사랑 같은 기독교적 개념이나 의무의 준수 같은 스토아적 이상과 무관하다. 그것은 신들과의 올바른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감사와 경외의 느낌에 자신을 내맡기는 것”이다. “인간들은 누구나 신들을 필요로 하니까요”라는 게 그들의 세계관이었다. 즉 인간의 탁월한 성취를 그들은 인간의 공이 아니라 신의 특별한 선물이라고 보았다. 심지어 호메로스는 잠든다는 것조차도 우리가 맘대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닌 성스러운 행위로 간주했다. 한마디로 경이와 감사로 가득 찬 세계다.


하지만 니체의 말대로 “우리 스스로 신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오늘날은 어떤가. 저자들은 계몽주의가 형이상학적 개인주의를 받아들인 것이 서양사의 가장 극적인 전환이라고 말한다. 결과는 썩 좋아 보이지 않는다. 모든 일에 스스로 책임을 지는 자율적인 개인을 이상으로 내세우면서 우리는 우주에서 유일한 행동 주체가 됐다. 인간이 자기 실존의 핵심을 통제하기에 불충분한 존재로 파악한 호메로스와는 너무도 거리가 먼 관점이다.


저자들은 칸트의 자율적 인간이란 이념의 자연스런 귀결이 니체의 허무주의라고 본다. 이것은 일종의 막다른 골목이다. 우리의 통제를 벗어나는 모든 놀라운 일들에 대해서 닫혀 있기 때문이다. 가령 1999년 뉴욕 양키스의 2루수 척 노블락은 1루 송구에도 애를 먹으며 관중석으로 공을 던지기까지 했다. 호메로스라면 신들의 간섭이라고 불렀을 일이지만 우리는 개인의 책임으로만 귀속시킨다. 모든 게 그런 식으로 설명되면서 우리는 무거운 선택의 짐만 짊어진 채 경탄할 일이 아무것도 없는 단조롭고 지루한 세계에 살게 됐다. 어떤 출구가 있을까. 그나마 다행인 건 신들이 우리를 버린 게 아니라 “우리가 그들을 발로 걷어찬 것”이라는 점. 왜 우리는 신들을 버렸고 어떻게 다시 조우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면 <모든 것은 빛난다>는 우리가 드물게 만날 수 있는 기적을 보여줄 것이다.

 

13. 09. 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