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타는 금요일' 밤에 '이주의 저자'를 미리 골라놓는다. 이미 내주의 저자들까지 꼽아놓고 있을 정도로 주목할 만한 저자들의 책이 연이어 나오고 있어서 '이주의 책'보다 먼저 다룬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067/90/cover150/896090167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7/47/cover150/893100446x_1.jpg)
제일 먼저 꼽을 저자는 미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실비아 플라스. 영국의 계관시인 테드 휴스(휴즈)와의 결혼과 자살 등, 생애 자체도 큰 화제가 됐던 대표적 여성 시인의 전집이 출간됐다. <실비아 플라스 시 전집>(마음산책, 2013). 남편 휴스의 편집이다. 언젠가 방대한 분량의 <실비아 플라스의 일기>(문예출판사, 2004)를 도서관에서 발견하고 놀란 적이 있는데, 이번 전집 출간도 놀랍다. 개인적으론 시집 <거상>(청하, 1990)을 들춰본 기억이 전부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058/3/cover150/896090166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79/96/cover150/8931006268_1.jpg)
가장 먼저 소개됐던 건 그녀의 유일한 소설 <벨 자>(고려원, 1981)인데, 이번에 <시 전집>과 함께 같이 나왔다. 새 번역본인가 했는데, 문예출판사에서 나왔던 공경희 씨 번역본이 출판사를 옮겼다. "억압적이고 가부장적인 20세기 중반의 미국사회를 조명한 작품"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30/pimg_753748153892101.jpg)
문득 <실비아>에서 주연을 맡았던 배우 기네스 펠트로가 떠오른다. 요즘은 뜸한 듯한데, 한때 헐리우드 영화의 단골 주연배우이지 않았나. 오랜만에 보니 반갑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059/45/cover150/600065577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084/8/cover150/8992355920_1.jpg)
두번째 저자는 철학자 마크 롤랜즈. 베스트셀러 <철학자와 늑대>(추수밭, 2012)로 이름을 널리 알린 그의 신작 <철학자가 달린다>(추수밭, 2013)가 이번주에 나왔다. <동물의 역습>(달팽이, 2004)와 <SF 철학>(미디어2.0, 2005)로 처음 소개됐지만 국내에서는 <철학자와 늑대>를 통해 존재감을 갖게 된 저자다. <철학자와 늑대>가 부제대로 '괴짜 철학자와 우아한 늑대의 11년 동거 일기'였다면, 신작은 "중년의 철학자가 42.195km를 완주하는 동안 달리기와 관련된 기억에 삶의 의미를 대입하고 해석하고 사유하는 과정을 유려한 문체로 그려 보인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119/79/cover150/897013789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3/89/cover150/8956990093_1.jpg)
달리기에 관한 책이라고 하니까 하루키의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문학사상사, 2013)와 함께 토르 고타스의 <러닝>(책세상, 2011), 조지 쉬언의 <달리기와 존재하기>(한문화, 2003) 등도 관련서로 떠올리게 된다. 흠, 달리기는 아직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에 속하진 않는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059/54/cover150/895769168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030/54/cover150/8961961438_1.jpg)
그리고 끝으로 진중권. 이미 봄에 한번 <서양미술사> 완간을 계기로 이주의 저자로 꼽은 적이 있는데, 놀랍게도 이번주에도 세 권이 나왔다. <네 무덤에 침을 뱉으마>(개마고원, 2013), <현대미학강의>(아트북스, 2013)와 <앙겔루스 노부스>(아트북스, 2013). 그나마 모두 개정판이라는 게 놀라움을 좀 눅여준다. '극우 멘털리티 연구'를 표방하는 <네 무덤에 침을 뱉으마>의 개정판 서문에서 저자는 이렇게 적었다.
사실 이 책은 오래 전에 폐기됐어야 한다. 물론 극우 멘털리티는 사회가 존속하는 한 사라질 수 없지만, 그것이 사회의 주류 담론에까지 영향을 끼치는 상황은 분명 정상적인 것이 아니다. 그 비정상성이 역설적으로 이미 15살이나 된 이 책의 연명을 도운 셈이다.
예전 유행어로는 '대략 난감'이라고 할까. 여하튼 15년 전이나 지금이나 별로 나아진 게 없다는 사실에 대한 자각은 그닥 달콤하지 않다. ''박통 시즌2'에 다시 보는 극우 비판의 정수!'라고 하면 과연 웃어야 할까, 울어야 할까...
13. 0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