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을 충분히 잔 듯한데도 계속 눈이 감기는 휴일 낮이다. 여전히 맹위를 떨치고 있는 폭염과 관계가 있을까. 잠시 그런 생각을 하며 '이주의 발견'을 적는다. 사실은 '이주의 재발견'이다. 오래된 새책이기도 하니까. <잠 못 이루는 행성>(들녘, 2002)이란 제목으로 나왔던 어니스트 지브로스키의 <요동치는 지구 잠 못 드는 인간>(들녘, 2013)을 두고 한 말이다.

 

 

제목으로 내용을 짐작해볼 수 있는 책이다. 부제는 '참혹한 자연재해, 치열한 과학의 도전'. 2002년판의 부제는 '인간은 자연재해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가'였다. 원저는 1999년에 나왔다. 알라딘에는 2004년판이 뜨는데, 개정된 것 같진 않아 보인다. 저자는 물리학 박사이고, 이번에는 '어니스트 지브로스키 2세'라고 표기됐지만 풀네임을 적어준 것일 뿐 '어니스트 지브로스키'의 아들이 아니라 동일인이다. 어떤 내용의 책인가.

요동치는 지구로 인해 잠 못 드는 인간들을 위해 쓰여졌다. 우리가 알아야 할 자연재해와 재난과학에 대한 사실들이 충실하게 담겨 있다. 파괴적인 자연 현상들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한 우리들의 노력에 대하여 알아보며, 특히 근본적인 과학 탐구, 기술 혁신과 궁극적인 대중 정책들 간의 상호 작용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흥미진진한 사례들과 탁월한 문장력으로, 우리가 몰랐던 지구의 비밀과 거기에 도전하는 과학기술의 역사가 펼쳐진다.

지구가 '요동치는 행성'이란 사실이 자주 간과되기에 자연 재난에 대해 오히려 속수무책이었던 건 아닌가란 생각도 든다. 그런 의미에서 자연의 기본값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안정'이 아니라 '요동'으로.

 

최근 일본 열동의 화산활동이 다시 활발해지려는 조짐이 보인다 하고, 한반도도 안전지대는 아니라는 얘기가 나온다. 주기적이긴 하지만, 폭염이 끝남과 동시에 태풍이 몇차례 한반도를 스치고 지나갈지도 모를 일이다. 우리가 어떤 행성에 살고 있는지에 대한 사실확인 차원에서라도 한번쯤 읽어볼 만한 책이다. 열대야 때문에 고생한 이들이라면 더더욱...

 

13. 08. 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