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시사IN(308호)에 실은 북리뷰를 옮겨놓는다. 앤서니 보개트의 <무성애를 말하다>(레디셋고, 2013)를 읽고 적었다. 이 주제로는 처음 나온 책이라 관련자료들에 대한 정보도 요긴한데, 번역본에는 누락된 듯싶어 아쉽다. 원서의 보급판이 나오길 기다려야 할 모양이다. 무성애에 관한 또다른 읽을 거리로는 <보스턴 결혼>(이매진, 2012)이 있다...

 

 

시사IN(13. 08. 10) 또 하나의 커밍아웃

 

무성애? 궁금증과 함께 의문을 품으며 손에 들 만한 책이 앤서니 보개트의 <무성애를 말하다>(레디셋고)이다. 과문했던 것인가 하면 딱히 그렇지도 않다. 무성애란 성 범주가 등장한 게 2000년부터라고 하고, 2004년에야 최초의 방대한 표본조사가 이루어졌다. 개념으로서 무성애가 탄생한 것은 10여년밖에 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이성애, 동성애, 양성애에 이어서 제4의 성적 취향이라고 할 무성애는 과연 무엇이고 무성애자는 어떤 사람인가.


먼저 무성애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겠다. 저자에 따르면 “남성이나 여성, 혹은 양성 모두에 대해 성적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 무성애다. 아무도 사랑하지 않는다는 것인가? 그렇지는 않다. 아니 모호하다. 무성애라고 해서 로맨스가 결여된 것은 아니며 성적 매력과 로맨틱한 매력은 다르다고 하기 때문이다. 섹스와 로맨스는 서로 관계가 있지만 불가분의 관계는 아니라는 것이다. 성적인 매력을 느끼지 않는다고 해서 신체적 흥분을 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 성 경험 자체만으로는 어떤 사람이 무성애자인지 아닌지 판별할 수 없다. 무성애를 결정하는 것은 성행위의 결핍이 아니라 욕망의 결핍이다.  


인간이란 종은 분명 유성생식에 의해 진화돼왔는데, 무성애가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아직 분명한 메커니즘이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뇌세포의 형성과정과 성적 취향이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무성애는 유성생식을 하는 다른 동물에서도 나타난다. 숫양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암양에게 성적 매력을 느끼는 숫양이 55.6%인데 반해서 암양과 숫양 어느 쪽에도 성적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무성애 숫양이 12.5%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성애 숫양(22%)보다는 낮지만 동성애 숫양(9.5%)보다는 높은 비율이다. 인간의 경우는 어떤가. 2004년의 조사로는 1%가 무성애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무시할 수 있는 비율은 아니다. CNN의 인터넷 여론조사에서는 약 11만 명의 응답자가 가운데 6%가 자신을 무성애자라고 답하기도 했다.


무성애자는 대략 70%가 여성이라고 한다. 몇 가지 요인이 있다. 여성은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이 낮아서 자위 욕구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타인에 대해 지속적으로 성적 매력을 느끼는 빈도도 낮다. 또 성애에 대해 상대적으로 유연하기 때문에 남성보다 사회적‧문화적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발기는 명확한 반면에 질의 반응은 미묘한 데서 알 수 있듯이, 남성이 성애에 있어서 목표 지향적인 데 비해 여성의 욕망은 좀더 모호한 것도 관계가 있다.


이렇게 무성애자의 존재를 인정하게 되면 여러 가지 곤란한 질문과 맞닥뜨리게 된다. 무성애 남성은 이성애 남성보다 덜 남성적인가, 혹은 무성애 여성은 이성애 여성보다 덜 여성적인가 따위 질문이다. 대다수 무성애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남성, 여성으로 규정하지만, 대략 13% 정도는 남성 혹은 여성으로 규정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한다. 아예 성애가 관심 밖의 일이기 때문에 동성애자들처럼 적극적으로 자신의 성적 정체성을 주장하지는 않지만' 정당한 정체성을 인정받기 위한 무성애 운동도 생겨났다. 무성애 웹사이트 에이븐을 통해서 “자신을 발견했다”는 무성애자도 늘고 있다. 저자는 성적 소수자로서 무성애자의 권리에 대한 요구와 투쟁이 이제 막 시작된 것 같다고 말한다. 우리의 성을 이해하는 것이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것이라면, 무성애는 인간 이해의 새로운 확장이자 도전이라 할 만하다.

 

13. 08. 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