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이주의 저자'를 고른다. '막강 저자들'의 책이 나왔다고 했는데, 지젝과 바디우, 바우만 등의 신간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 국내서도 만만치 않아서 조정래, 유홍준, 고미숙 같은 스타급 저자들의 책도 작당한 듯이 한꺼번에 나왔다. 한꺼번에 다룰 수가 없어서 일단은 국내서 저자로만 꾸미도록 한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2794/28/cover150/896574402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794/33/cover150/8965744032_1.jpg)
조정래 선생의 신작은 모처럼 나온 대작이다. 규모와 분량이 모두 그렇다. 중국을 무대로 한 점이 가장 특징적인데, 소개는 이렇다.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의 작가 조정래 장편소설. 경제민주화의 청사진을 제시한 <허수아비춤> 이후 3년, 우리나라의 미래에 대한 작가적 고민이 중국을 비롯한 세계 경제에 대한 통찰과 전망으로 이어져 집필로 결실을 맺게 된 <정글만리>는 각권 당 원고지 1,200매로 구성되어 총 3,600매의 전 3권으로 완결되었다. 이는 90년대 초반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한 작가가 소련의 갑작스런 몰락과 달리 건재한 중국의 모습을 보고 중국을 무대로 소설을 써봐야겠다고 마음먹고 20여 년을 꾸준히 고민해 온 결과다.
<아리랑>과 <태백산맥>의 작가가 본 '중국 자본주의의 모든 것'에 눈길이 안 갈 수 없는데, 출간 즉시 베스트셀러에 진입했다니까 군말은 필요 없겠다. 읽어보는 수밖에.
![](http://image.aladin.co.kr/product/2861/43/cover150/893647230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861/44/cover150/8936472313_1.jpg)
예약판매에 들어갔던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일본편 1,2>(창비, 2013)도 담주에는 출간된다. 국내편의 마지막 권으로 제주도편이 출간된 게 작년 9월이었으니 거침없는 강행군이다. 아직은 계획에 없으나 일본에 갈 일이 생긴다면 제일 먼저 읽을 책일 듯싶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2691/72/cover150/8997969234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080/12/cover150/8998066025_1.jpg)
'고전평론가'이자 <열하일기> 가이드 고미숙의 기대작 <두개의 별 두개의 지도>(북드라망, 2013)도 예판이 끝나 바로 구입이 가능하다. 어제 주문했기에 정상배송이라면 오늘 받아볼 책인데, '다산과 연암 라이벌 평전1탄'이 부제다. 계속 이어진다는 뜻이겠다. 다산과 연암을 두 개의 별과 지도로 꼽은 것이지만 이 책이야말 다산과 연암을 읽는 친절한 '지도' 역할을 해주지 않을까 싶다. 평전으로는 <윤선도 평전>(한겨레출판, 2013)을 잇는 것인데, '고미숙식 평전'이 더 이어지길 기대한다...
13. 07.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