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능한 일이긴 하지만, 만약 이번주에 휴가를 간다면 가방에 제일 먼저 챙겨넣을 책은 <아듀 데리다>(인간사랑, 2013)다. 데리다의 죽음에 부친, 그를 추모하는 철학자들의 글모음으로 우리에게도 친숙한 지젝, 랑시에르, 바디우 등의 추모사도 포함돼 있다. 편자는 코스타 두지나.

 

 

사실 데리다 자신이 '추모사' 전문이었기에, 코스타 두지나는 서문 격의 글에서 '데리다의 추모사'를 데리다적 스타일로 해명한다. <아듀 데리다>란 번역본 제목이 예고됐을 때, 나는 데리다가 쓴 <아듀>인 줄 알았는데(레비나스를 추모하는 책이다), <아듀 데리다>(2007)가 따로 있었다. 아마도 오래전에 복사라도 해두었을 성싶은데, 지금 원본을 따로 찾을 수 없다(하드카바 원서는 너무 비싸서 구하기 어렵다). 그래서 당장 읽는다면 번역본으로만 읽어야 하는데, 다행히 번역이 좋은 편이다.

 

 

뒷표지에는 지젝이 데리다에게 보내는 추모사, '차연으로의 복귀를 청하는 호소'에서 한 대목이 실렸는데(아무래도 국내에선 지젝이 대세 철학자인지라) 이런 대목이다(어디선가 읽은 적이 있다).

데리다와 내가 한 배를 타고 있음을 발견한 지금, 관계를 조정하고 때늦은 연대감을 표명할 때가 된 듯하다. 데리다의 작품들과 씨름하는 많은 페이지들을 썼고, 이제 데리다의 인기가 시들해지는 지금이 어쩌면 데리다가 차연이라고 부른 것과 내 작품의 친연성을 지적함으로써 그에 대한 기억에 경의를 표할 때인 듯하다. 생애 마지막 20년 동안 데리다는 해체가 과격하면 할수록 어떻게 그것이 해체의 내적 조건, 즉 정의에 대한 메시아적 약속에 더 의존할 수밖에 없는지 강조했다. 이 약속이야말로 바로 데리다적인 신념이 대상이다. 데리다의 궁극적인 윤리적 원칙은 이 신념만큼은 환원 불가능하며 '해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데리다는 온갖 종류의 역설을 허용할 수 있다.

데리다와의 오랜 불화를 접고 '때늦은 연대감'을 표명하고 있는 추모사. 차연(데페랑스)으로의 복귀를 호소하는 글답게 지젝은 마지막에 데리다의 차연을 이해하지/수용하지 못하는 것이 얼마나 바보 같은 짓인지를 그답게 설명한다.

 

라캉의 말처럼 욕동의 진짜 목적은 목표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주변을 끊임없이 맴도는 것이다. 처음으로 성관계를 가진 어느 바보에 대한 유명한 음담패설에서 여자는 그에게 무엇을 할지 정확하게 말해준다. "내 다리 사이에 이 구멍이 보이지? 그것을 여기에 넣어, 이제 깊숙이 밀어넣어, 이제 빼, 밀어넣어, 빼, 밀어넣어, 빼..." 잠깜만'하고 바보가 여자에게 물었다. "결정을 해! 넣어 아니면 빼?" 바보가 미처 알아채지 못한 것은 바로 미결정 그 자체, 반복되는 망설임 속에서 만족을 얻는 욕동의 구조이다. 다시 말해서 바보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데리다의 차연이다.

두 철학자와 동시대를 살았고, 살고 있다는 사실에 감사한다...

 

13. 07. 07. 

 

 

 

P.S. 짐작에 지난 일년 정도 기간에 구입한 데리다 관련서들이다. 베누아 페터즈의 전기 <데리다>는 결정판 전기라 할 만한 분량을 자랑하는데 평도 좋다(놀랍게도 저자는 비평가이면서 만화작가이자 소설가이다). 데리다의 독자라면 필수 소장 아이템. 읽는 건 '휴가' 때나 가능하다는 게 문제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