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소개된 저자의 책 가운데 눈에 띄는 책을 고르는 '이주의 발견'이다. 이번 주에는 에스더 M. 스턴버그의 <공간이 마음을 살린다>(더퀘스트, 2013). 검색해보니 저자도 <내면의 균형>이란 책에 이어서 두번째 책인 듯하니 '신진 저자'다. 그럼에도 '신경건축학'이란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가고 있다고 소개된다. <공간이 마음을 살린다>는 바로 그 신경건축학의 문제의식과 적용을 보여주는 책이다. 원제 자체가 <힐링 스페이스>(원서의 표지가 번역본보다는 '힐링'에 충실하군).

 

 

사실 공간이 바뀌면 마음도 달라진다는 건 우리의 일상적 경험과도 부합한다. 신경건축학은 그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려는 것으로도 볼 수 있는데, 소개는 이렇다.

스턴버그는 지금껏 감각, 정서, 면역체계를 둘러싼 복잡한 관계들을 밝혀낸 심리학과 뇌과학, 의학 연구의 역사로 우리를 끌어들인다. 그 첫머리에 나오는 한 가지 예는 바로 ‘창밖으로 자연 경관이 내다보이는 병실의 환자들이 창밖으로 콘크리트 벽만 바라봤던 환자들보다 빨리 나았다’는 1980년대 연구다. 쾌적한 풍경이 보인다고 해서 어떻게 병이 빨리 나을 수 있었을까? 저자는 감각의 뇌과학적 경이로움을 보여주는 일련의 장소와 상황들을 탐색하며 이 질문의 답을 찾아나간다.

정재승 교수는 추천의 글에서 "공간과 건축이 인간의 사고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건축을 탐색하는 학문"을 신경건축학이라고 정의했다. 누구에게 도움이 되는 책일까. 역시나 정재승 교수의 견해에 따르면, (1)건축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경험과 직관, 관습으로 축적되어 온 건축학적 전통이 실제로 그 안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결과를 일러주며, 건축학이 좀더 '증거 중심의 학문'으로 나아가는 길을 모색하게 해준다. (2)신경과학을 탐구하는 이들에게: 이 책은 뇌에 대한 이해가 건축학이라는 경이로우면서도 중요한 분야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놀라운 통찰을 제공해줄 것이다. (3)누구에게나: 이 책은 내 삶이 공간을 뇌와 마음, 힐링과 행복이라는 관점에서 다시 들여다보는 유익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자연스레 궁금해진 건 한국인의 대표 주거공간인 아파트를 신경건축학적 관점에서는 어떻게 바라볼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마침 박철수의 <아파트>(마티, 2013)도 지난주에 출간됐다. 박해천의 <콘트리트 유토피아>(자음과모음, 2011), 발레리 줄레조의 <아파트 공화국>(후마니타스, 2007)과 함께 묶어서 읽어볼 만한 책. 저자는 아예 한국을 '아파트단지 공화국'이라고 일컫는다.

 

우리야 으레 아파트에 사는 걸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지만, 외국인들은 하나같이 기이하게 여긴다(대단위 아파트를 많이 지었던 사회주의 시절 러시아도 우리만큼은 아니다). 그들에게는 보통 도시의 독신자들이 주로 거주하는 공간, 정도가 아파트에 대한 인상인 듯하다(그러니 결혼한 사람들이 아파트라는 몰개성적 공간에 거주한다는 게 이상하게 보이는 것. 우리는 땅값이 비싸다는 걸 고려해야 할까). 아무튼 중요한 건 경제성이나 생활의 편이성이란 이유 말고, 신경건축학적으로도 아파트란 공간이 살 만한 곳인지, 한번 생각해볼 만하다는 것...

 

그런 생각을 아파트 15층에서 적는다. 지금이야 적응이 됐지만 오래전 아파트 14층에 살 때 처음 몇 달 동안 '공간 스트레스'에 시달렸던 기억도 문득 떠오른다. 공중에서 수감생활하는 기분이었다...

 

13. 07. 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