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감옥에서 다시 원고 감옥으로 이감해가는 중에 잠시 풍경을 내다보는 기분으로 페이퍼 하나를 적는다. 엊그제 새로 번역된 토마스 만의 <마법의 산>(세창출판사, 2013)을 구입했는데, 물론 그간에 <마의 산>이라고 번역된 작품이다. 개인적으로는 일역본 제목에서 온 <마의 산>이 평소에 좀 어색하다고 생각해온 터라 개명된 제목이 오히려 더 나아 보인다(영어본의 제목도 그냥 'The Magic Mountain'이다).
역자는 <마의 산>을 <마법의 산>이라고 옮기면서 그 이유를 이렇게 적었다(하권의 역자해설, 663쪽).
이제까지 독일어로 Zauberberg(영어로 Magic Mountain)는 '마의 산'으로 번역되어 왔다. 그러나 역자는 이 번역이 오류라고 생각하여 '마법의 산'으로 옮겼다. 마(魔)는 악마라는 뜻으로 오해될 소지가 많으며, 이렇게 되면 소설의 내용까지도 전도될 위험이 다분하기 때문이다. 토마스 만은 이 소설에서 무시무시한 산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자신도 자주 언급하였듯이 '연금술적인 신비'와 '마법'이 작용하는 산을 다루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단순했던 주인공이 정신적으로 성숙해지고 고양되는 소위 '교양소설' 내지 '발전소설'의 양상을 서술해 나간다.
시간을 내서 <마법의 산>으로 읽어보고픈 생각이 든다. 그렇게 새 번역본을 접한 김에 또 생각난 책은 얼마전에 첫 권이 나온 <잃어버린 시절을 찾아서>(펭귄클래식, 2013)다. 물론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새 번역본이다. 언제 완간되는지는 모르겠지만 표지만 보면 다섯 권짜리로 나오는 듯도 싶다. 민음사판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와 경합을 이룰 책(두 역자는 모두 프루스트 전공자이며, 김화영 교수의 번역본까지 가세하게 되면 언제가는 3파전이 벌어질지도 모르겠다. 원로 불문학자의 번역으론 김창석, 민희식 교수의 번역본도 있다).
역자는 '잃어버린 시간' 대신에 '잃어버린 시절'이라고 옮긴 이유에 대해서 이렇게 설명했다.
‘시간’이라는 것은 광대무변한 공간 속에 처한 무시무종의 질료세계에서 포착되는 물리적 이동 및 변화 현상을 기술하기 위하여 고안된 합의개념일 뿐, 즉 공간 및 그 속에서 부유하는 질료덩이들에 종속되는 개념일 뿐, 그 독립된 실체가 없는 일종의 허개념입니다. 따라서 ‘시간’이라는 것은 잃거나 되찾을 수 있는 그 무엇일 수 없습니다. 반면 ‘시절’이란 하나의 오성(감각 및 인지의 주체)이 이미 겪은 실존의 퇴적물이며, 그 ‘시절’은 오직 질료적 접촉에 의해서만 필연적으로 부활하는, 그리고 전적으로 주관적인 새로운 정서적 국면입니다. 물론 그 ‘시절’ 또한 엄밀히 말해 우리의 염원이나 의지에 따라 되찾을 수 있는 무엇은 아닙니다. 그것은 하나의 계시(쏘크라테스적 의미로써의 계시) 혹은 영감처럼 번개가 명멸하듯 우리를 스쳐갈 뿐, 따라서 그것을 ‘찾는다’ 하는 말은 그러한 계시에 귀 기울인다는 정도의 뜻을 가질 수 있을 듯합니다. 하지만 그렇다 해도 ‘시절’은 ‘시간’과 달리, 기다림이나 명상 혹은 모색의 대상일 수 있습니다. 여하튼 작품의 말미에서 주인공은 ‘잃어버린 시절(le temps perdu)’이 곧 ‘옛날(les jours anciens)’을 가리킨다고 명시적으로 밝히고 있습니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라는 번역어는 ‘롤랑의 노래’나 ‘니벨룽겐의 노래’, ‘음유시인’, ‘서사시’ 등처럼, 우리가 외래 문물을 받아들이던 초기에 오역된 숱한 말들 중 하나일 듯합니다.
그렇게 해명은 하고 있으나 개인적으론 동감하기 어렵다. '시간'이란 허개념이고 '시절'이 주관적, 정서적 국면을 지시하기에 <잃어버린 시절을 찾아서>라고 하는 게 옳다는 얘기지만, 이미 '잃어버린 시간'이란 말에 역사적, 문화적으로 축적된 정서적 국면이 내재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런 이질적인 개명으로 카뮈의 <이방인>을 <이인>(문학동네)이라고 옮긴 경우도 떠올려볼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역자의 깊은 주관적 소신을 반영하고 있지만, 나로선 모두 동의하기 어렵다.
이 두 가지 개명된 제목에 대해 각기 다른 느낌을 갖는 것은 나만의 주관 탓일까...
13. 0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