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달 책&(419호)에 실은 '로쟈의 주제별 도서소개'를 옮겨놓는다. 주제는 '디지털 치매'인데, '로그아웃' 혹은 '디지털 다이어트'의 필요성을 다룬 책들을 같이 골랐다. '디지털 치매'에 대해서는 만프레드 스피처의 <디지털 치매>와 함께 (따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니콜라스 카의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청림출판, 2011)이 기본서이다.

 

 

 

책&(13년 6월호) 디지털에도 다이어트가 필요하다

 

컴퓨터와 스마트폰, 비디오게임, 텔레비전과 없는 생활을 상상할 수 있을까. 세대가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점 어려워질 법한 상상이다. 길지 않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미디어는 우리의 일상을 근본적으로 바꾸어놓고 있다. 기술혁신이 가능하게 만든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이라고 박수를 치며 환영해야 할까. 그럴 수만 있다면 문제는 간단하다. 하지만 스마트한 일상의 도래와 함께 우리의 뇌는 점점 퇴화하고 있다는 것이 디지털화된 세상의 불편한 진실이다. 무엇이 문제이고 어떤 대책이 필요한가.


먼저 독일의 뇌과학자이자 정신의학자 만프레드 슈피처의 <디지털 치매>(북로드, 2013)의 경고에 주의를 기울여보는 게 좋겠다. 사실 디지털 치매에 대한 경고는 멀리에서 찾을 것도 없다. “세계적으로 정보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의 의사들은 이미 5년 전에 기억력 장애와 주의력 결핍 장애는 물론, 감수성 약화를 겪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점점 늘고 있다고 발표했다”는 게 저자의 인용이기 때문이다. ‘디지털 치매’란 말의 원산지가 한국인 셈이다.


교육당국에서는 흔히 ‘교실에서의 디지털 혁명’을 주창하면서 전자교과서를 사용하는 ‘교과서 없는 교실’이 미래의 학교인 것처럼 얘기하지만 저자의 생각은 다르다. 컴퓨터 중독과 인터넷 중독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현실에서, 아이들을 새로운 미디어에 적응시키려고 하는 것은 마치 알코올과 니코틴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길러주기 위해서 유치원에서부터 이에 노출시켜야 한다고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디지털 환경에 일찍 접근하는 것이 왜 디지털 치매를 유발할 정도로 부정적인가. 그것은 우리 뇌의 신경세포가 학습을 통해서만 효과적으로 기능하지만, 디지털 환경은 이에 필요한 자극과 부하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복사하기와 붙이기가 읽기와 쓰기를 대신하고 뇌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우드에 옮겨놓는 식이라면, 스마트해지는 환경과 정확히 반비례하여 우리는 ‘머리를 쓰지 않는 똑똑한 바보’가 되어갈 뿐이다.


존 팰프리와 우르스 가서의 <그들이 위험하다>(갤리온, 2010) 역시 디지털 시대의 그늘을 폭로하는 책이다. 아니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디지털 세대’의 그늘을 염려하는 책이다. 어떤 세대인가. “지하철에서 아이팟으로 음악을 들으며 미친 듯이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를 날리는 십대 소녀”와 “모든 종류의 비디오 게임은 물론, 키보드 타이핑 속도에서도 도저히 당해낼 재간이 없는 여덟 살 난 꼬마”가 바로 새로운 세대, ‘디지털 네이티브’다. 디지털 혁명은 분명 세상을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변모시켰지만 자칫 길을 잃을 수도 있다는 게 저자들의 우려다. 표류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사생활을 보호하며 필요한 정보를 취사선택하는 일이 디지털 네이티브에게 떠안겨진 과제다.


가령 교육에 한정하자면 디지털 네이티브의 문제는 정보 부족이 아니라 정보 과부하이다. 매년 1인당 6톤의 책에 해당하는 정보가 쏟아져 나오는 디지털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아야 하는 일상은 분명 인류가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것이다. 저자들은 아이들이 이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과 함께 멀티태스킹을 하지 않고 집중할 경우 멀티태스킹을 했을 때보다 효율성을 더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다. 어떻게 하면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하지 않고, 한 가지 일에 집중할 수 있는지 배우는 것이 디지털 네이티브에게는 오히려 더 중요한 공부다. 더불어 디지털 세계를 벗어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뇌만 둔해지는 것이 아니라 생활도 정신없이 흘러간다면 말이다.

 

 


<두 남자의 미니멀 라이프>(책읽는수요일, 2013)의 공저자 조슈아 필즈 밀번의 적절한 비유를 인용하자면, “사탕을 먹는 게 죄악이 아니듯, 인터넷을 하는 것은 죄악이 아니다. 하지만 다른 음식은 입에 대지도 않고 오로지 사탕만 먹는다면 그건 문제다.” 그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자는 목적이 분명할 때만 인터넷을 한다는 원칙을 세운다. 집에서까지 인터넷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에 인터넷 회선을 끊은 그는 유튜브 동영상, 영화 예고편, 우스운 사진 등을 보며 자신도 모르게 흘려보냈던 시간을 되찾는다.


독일의 저널리스트 알렉스 뮐레의 <달콤한 로그아웃>(나무위의책, 2012)의 주제도 ‘인터넷 없이 생활하기’와 ‘진짜 인생 되찾기’다. 하루 평균 60-80통의 이메일을 받고, 50통을 보내는 전형적인 인터넷과 이메일 중독자였던 저자는 6개월간 인터넷을 끊는 실험을 해보기로 하고 그 과정을 일기로 적어나간다. 여느 중독과 마찬가지로 처음엔 금단 현상으로 고통 받았지만 아날로그적 삶의 ‘평온한 느낌’을 회복하는 데는 성공한다. 그리고 디지털 세상을 다스리는 내면의 힘은 그런 금단의 경험을 통해서 길러진다는 것을 깨닫는다. 수잔 모샤트의 <로그아웃에 도전한 우리의 겨울>(민음인, 2012) 역시 한 가족이 6개월간 전자 매체의 플러그를 뽑은 경험담이다. 무엇을 배웠을까? 저자가 얻은 십계명 가운데 제1조는 “따분함을 두려워하지 말지니라”이다. 하긴 따분함이 없다면 우리의 뇌는 아무런 흥미로운 것도 고안해내려고 애쓰지 않을 것이다. 정작 우리가 경계해야 할 것은 온갖 재미와 정보로 인해 심심하거나 따분하지 않은 삶이라고 해야 할까.

 

13. 06. 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