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주 처음 소개되는 저자 가운데 한 명을 골라 '이주의 발견'으로 묶어놓는다('이주의 뉴페이스'라고 할까. 카테고리는 '로쟈의 전투'다). 지난주에는 생각만 품고 있다가 미처 실행하지 못했는데, 오늘은 다시 생각난 김에 바로 적는다. 물론 눈길을 끄는 책이 있어서다. 카렌 호의 <호모 인베스투스>(이매진, 2013).

 

 

저자나 제목(원제)가 드러나지 않아서, 좀 궁리를 했는데 외외로 쉽게 찾을 수 있었다. 첫번째로 조합해본 'Karen Ho'가 저자의 이름이라서. '미네소타 대학의 인류학과 교수'라고만 소개된다.

 

 

<호모 인베스투스>라는 제목보다는 '투자하는 인간, 신자유주의와 월스트리트의 인류학'라는 부제, 특히 '월스트리트의 인류학'이란 말이 책의 내용을 잘 집약해준다. 소개는 이렇다.

천문학적인 연봉과 말쑥한 정장, 주당 110시간 고된 노동과 해고 뒤 15분 내 책상 빼기. <호모 인베스투스>는 월스트리트 투자 은행 직원들의 이런 모순된 아비투스가 형성되는 과정을 분석해 세계 금융 시장의 호황과 불황이 생산되는 원리를 밝히고 있다. 캐런 호는 1997년부터 3년 동안 정장 한 벌로 지하철 에프선을 타고 다니며 인류학의 불모지인 투자 은행으로 달려갔다. 화이트칼라 착취 공장과 투자 은행 직원의 채용과 해고, 노동 조건과 보수 체계, 위계적인 공간과 옷차림 등을 분석했고, 정리 해고를 이윤 증대와 동일시하는 주주 가치가 혁명이라고 불릴 만큼 지배적인 힘을 갖게 된 역사와 이 과정에 월스트리트가 기여한 방식을 정리했다.

 

원제는 청산하다는 뜻의 'Liquidated'. 번역본이 제목으로 '호모 인베스투스'란 신조어를 고안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그런 줄도 모르고 처음엔 'Homo investus'를 검색했다). 역자는 국제문제 전문 번역가 유강은 씨.(알라딘엔 '유강'이라고 오기됐다). 

 

 

 

한편, '월스트리로 간 인류학자'라는 설정 때문에 떠올리게 된 책은 수디르 벤카테시의 <괴짜 사회학>(김영사, 2009)이다. 도시 빈곤층에 대한 연구를 위해 현장조사를 하다가 갱단에까지 들어가게 된 사회학자의 경험담을 그리고 있는 책.  

수디르 벤카테시는 가난한 사람들이 사실상 주류 사회로부터 분리된 책 힘겨운 삶을 살아가야 하는 최하층 도시 거주지역의 축도인 시카고의 공영 주택단지로 들어갔다. 그후 10년 동안 마약판매 갱단과 함께, 매일 총에 맞아 죽을 수 있는 위험을 감수하며, 그들의 생활상을 관찰하고 연구를 한다.

이름으로 봐서는 미국사회 비주류 학자가 학계에 진입할 수 있는 방법이 '몸으로 때우는 거' 아닌가란 인상도 들게 한다. 사정이야 어떻든 흥미로운 인류학/사회학 보고서를 읽을 수 있다면 독자로선 나쁠게 없는 일이다. 벤카테시의 책 가운데는 도시 빈민의 지하경제를 다룬 것도 눈길을 끈다. 마저 번역되면 좋겠다...

 

13. 06. 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