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저자'를 골라놓는다. 후보군이 많아서 몇가지 기준을 적용했는데, 세 권 이상의 저역서가 있고 뭔가 시의성이 있으면서 독자의 흥미를 끄는(이건 주관적이다) 저자. 가시권에 들어온 세 명이 뭔가 연결고리를 가지면서 대략 그런 기준을 충족시키다. 정치적 스펙트럼상 진보 좌파로 분류될 앤디 메리필드, 프랑코 베라르디 '비포', 그리고 이와사부로 코소(사부 코소)가 그들이다.

 

 

<마술적 마르크스주의>(책읽는수요일, 2013)라는 흥미로운 제목을 책을 낸 앤디 메리필드는 마르크스주의 도시 이론가로 <매혹의 도시, 맑스주의를 만나다>(이후, 2005)로 처음 소개됐었다. 벤야민에 관한 장을 흥미롭게 읽은 책이었는데(번역은 아쉬웠지만) 그 사이에 <당나귀의 지혜>(멜론, 2009)도 출간됐다는 걸 이번에 알았다. <마술적 마르크스주의>는 따라서 세번째로 소개되는 책이다. 저명한 마르크스주의자인 존 버거와 마셜 버먼이 추천사를 쓰고 있다는 점도 저자를 폼나게 하는데, 가령 우리의 버거 선생은 이렇게 썼다(앤디는 존 버거 연구서도 갖고 있다).

앤디 메리필드는 독창적이고 박식하며, 정치적으로 살아 있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책은 엄격한 말뜻 그대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메리필드의 책이라면 원서도 구입할 용의가 있다. <매혹의 도시, 맑스주의를 만나다>(원제는 <변증법적 도시이론>)는 구해서 읽은 기억이 난다(도서관에서 대출해서 읽었던가). 당나귀의 지혜라... 구미가 당길 수밖에 없는데, <마술적 마르크스주의> 서문에서 메리필드는 이렇게 적는다.

이 책은 마르크스주의와 불화를 일으키려고 한다. 마르크스주의를 전복하고, 새롭게 하고, 내부로부터 흔들려고 한다. 이 책은 환상적이고 몽환적인 마르크스주의를 과학적이고 근엄한 마르크스주의와 우호적으로 대립시켜, 그럼으로써 부르주아 사회의 범죄를 고발한다.   

참고로 <마술적 마르크스주의>는 작년에 가장 뛰어난 좌파 저작에 주어지는 '빵과 장미 상' 최종 후보였다고 한다.

 

 

 

두번째 저자는 이탈리아의 좌파 이론가 프랑코 베르르디 '비포'다. 주로 '비포'라는 애칭으로 불린다고 한다. 국내엔 지난해에 <노동하는 영혼>(갈무리, 2012)와 <봉기>(갈무리, 2012)가 연이어 번역됐고, 이번에 나온 <미래 이후>(난장, 2013)는 세번째로 소개되는 책이다(원서는 <노동하는 영혼>, <미래 이후>, <봉기> 순으로 출간됐다. 별 차이는 없지만). 역자 역시 이 세 권을 같이 읽기를 권하고 있다.  

 

 

그런데, 왜 '미래 이후'인가? 그것은 저자가 이탈리아의 '미래주의 선언'이 나온 지 100주년이 되는 2009년에 이 책을 썼기 때문이다. 마리네티의 미래주의 선언은 1909년 2월 5일에 발표됐다. 그 이후 100년의 시간을 더듬어보면서 비포는 이런 문제의식을 갖는다.

이 책을 쓰기 시작했을 때 나는 미래주의적 상상력이 소멸하고 미래가 없다는 감수성이 출현한 데 대해서 얘기하고 싶었다. 그렇지만 오늘날처럼 불안정성의 시대에 만연해 있는 우울한 상상력에 대해서도 얘기하고 싶었고, 이런 우울이 어떻게 전개되어갈지 생각해보면서 불안정성이 전 세계의 새로운 세대 사이에 퍼뜨려 놓은 이 질병(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도 찾아보고 싶었다.

<미래 이후>는 그런 탐색의 여정으로 읽을 수 있겠다.

 

 

 

그리고 사부. 영어 이름은 '사부 코소'이고 일어 이름은 '이와사부로 코소'이다. 아마도 '이와사부로'란 이름이 너무 길어서 '사부'로 줄인 것 같다. '뉴욕, 거리, 지구에 관한 42편의 에세이' <죽음의 도시, 생명의 도시>(갈무리, 2013)가 번역됨으로써 <뉴욕열전>(갈무리, 2010)과 <유체도시를 구축하라!>(갈무리, 2012)에 이어지는 3부작이 완결됐다. 그의 작업이 갖는 의의는 이렇게 간추려진다.

이와사부로 코소는 뉴욕 월가의 점거하라 운동, 후쿠시마 이후 일본의 탈핵운동 등 굵직굵직한 세계적 사건들에 직접 참여하면서 활발한 이론 활동을 해 왔으며, 현대 일본에서 가장 급진적인 국제적 사상가로 부상하고 있다. 코소는 지금까지 세 차례 한국에 초청되어 위크샵과 포럼 등을 가졌으며 국내의 사회운동, 도시사회학계와 공공예술운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번 책에서도 도시, 세계화, 거리, 아래로부터의 사회운동에 대한 새로운 사유를 제시하고 있다.
제목인 <죽음의 도시, 생명의 거리>는 “죽어가는 메트로폴리스, 살아오는 거리”라는 저자의 핵심 주장을 압축한 것이다. 저자는 오늘날 19세기의 파리, 20세기의 뉴욕 같은 고전적 의미의 메트로폴리스가 해체되고 있다고 말한다. 도시의 고정된 장소성은 관계로서의 도시, 운동으로서의 도시로 대체되었다. 본래 도시에서 도시로, 과거에서 미래로 끊임없이 운동하는 존재인 민중은 도시와 도시 사이에서 전혀 다른 형태의 삶정치적 도시를 창조해 내고 있다.

뉴욕을 배경으로 한 3부작을 쓴 사실에서 짐작할 수 있지만 저자는 1980년대 초부터 뉴욕에서 거주하고 있다. 사실 저자보다는 역자로 먼저 이름을 익히게 됐는데, 그때 이름이 가라타니 고진의 <트랜스크리틱>과 <은유로서의 건축> 등을 영어로 옮긴 '사부 코소'였다.

 

 

이 사부 코소가 '이와사부로 코소'란 걸 안 건 그리 오래 되지 않는다. 아마 <유체도시를 구축하라!>를 구입하면서부터인 듯하다. 외모만으로는 가라타니 고진의 명석한 영어 번역자를 연상하기가 좀 어려웠다! 

 

 

암튼 번역자로서뿐만 아니라 저자로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사부 코소의 신작도 21세기의 도시를 새로운 시각에서 사유할 수 있는 무기가 돼줄 것이다. 그러고 보니 앤디와 비포, 코소, 모두 동일한 문제를 사유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물론 그 때문에 셋을 같이 묶어놓은 것이긴 하지만...

 

13. 03. 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