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오전의 일정 삼아 '이주의 책'을 골라놓는다. 종잡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갈래의 책들이 출간돼 한참 궁리해보다가 이번 주에는 역사 관련서들을 고르기로 했다. 미야지마 히로시의 <일본의 역사관을 비판한다>(창비, 2013)를 제외하고도 묵직한 책들이 몇 권 더 나왔기 때문이다. 사회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의 책들이 유력한 후보였지만, 과학 쪽은 지난 주에 고른 적이 있기 때문에 다른 기회를 보기로 했다.
먼저 타이틀로 고른 책은 패멀라 카일 크로슬리의 <만주족의 역사>(돌베개, 2013)와 테오도르 몸젠의 <몸젠의 로마사1>(푸른역사, 2013)다. 패멀라 카일 크로슬리는 국내에 <글로벌 히스토리란 무엇인가>(휴머니스트, 2010)로 처음 소개된 바 있는데, 알고 보니 저명한 중국사학자 조너선 스펜스의 제자다. 책은 '아시아의 민족(The Peoples of Aisa)' 총서의 하나로 나온 것이어서 <청제국의 역사>가 아닌 <만주족의 역사>가 됐다. 원제는 그냥 <만주족>이다. 마크 엘리엇의 <만주족의 청제국>(푸른역사, 2009) 같은 책이 같이 읽어볼 만하지 않을까 한다. 몸젠의 <로마사>는 독일을 대표하는 고전문학자이자 역사학자의 대표작으로 돼 있는데, 흥미롭게도 그는 이 책으로 몸젠은 1902년 노벨문학상까지 수상한다. "역사 연구서가 문학상을 받았다는 점은 <로마사>가 가진 의미, 즉 <로마사>가 역사 연구서를 넘어서는 인문학적 교양의 결실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되새기게 한다." 몇 권짜리로 완간된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번에 일단 첫권이 나왔고, 곧 서구 로마사의 고전 하나를 한국어로도 읽을 수 있겠다. 겸하여 영국이 자랑하는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 쇠망사>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누가 설명해주면 좋겠다.
세번째 책은 몸젠만큼 유명한 역사학자 하위징아의 <역사의 매력>(길, 2013)이다. <문화사의 과제>(아모르문디, 2006)과 같이 묶을 수 있을 듯한데, 1부에서는 역사의 이론과 방법에 대해, 그리고 2부에서는 문화와 문화사의 과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문화사가로서 하위징하의 이념과 방법에 대해 일러줄 듯하다. 네번째 책은 미술사학자 이은기 교수의 <욕망하는 중세>(사회평론, 2013). '미술을 통해 본 중세 말 종교와 사회의 변화'가 부제다. 국내서라는 점이 특이한데, 저자는 <르네상스 미술과 후원자>(시공사, 2002), <서양미술사>(공저, 미진사, 2006) 등의 저작을 갖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다섯번째 책은 라나지뜨 구하와 함께 대표적인 서발턴 연구자로 알려진 빠르타 짯떼르지의 <민족주의 사상과 식민지 세계>(그린비, 2013)다. 인도 민족주의의 세 국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담고 있다. 민족주의와 식민지는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은 주제이기에 뭔가 배울 만한 대목이 있을 듯싶다...
| 몸젠의 로마사 1- 로마 왕정의 철폐까지
테오도르 몸젠 지음, 김남우.김동훈.성중모 옮김 / 푸른역사 / 2013년 3월
20,000원 → 18,000원(10%할인) / 마일리지 1,000원(5% 적립)
|
|
| 민족주의 사상과 식민지 세계
빠르타 짯떼르지 지음, 이광수 옮김 / 그린비 / 2013년 3월
24,000원 → 21,600원(10%할인) / 마일리지 1,200원(5% 적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