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오래된 새책' 카테고리도 충전을 한다. 눈에 띄는 책 두 권 때문인데, 먼저 미국 철학자 알렉산더 네하마스의 <니체: 문학으로서 삶>(연암서가, 2013)이 다시 나왔다. 애초에 <니체, 문학으로서의 삶>(책세상, 1994)이라고 출간됐던 책으로 영어권의 대표적인 니체 연구서 가운데 하나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2519/33/cover150/899405435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44/cover150/8970130497_1.jpg)
믿기진 않지만 따져보니 거의 20년 전에 흥미롭게 읽은 책이고, 원서까지 구입했었다. 영원회귀에 대한 해석이 독창적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10/83/cover150/052022490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675/23/cover150/0691148651_1.jpg)
네하마스는 니체 말고도 고대 철학의 권위자인데, <삶의 기술: 플라톤에서 푸코까지 소크라테스적 성찰>, <오로지 행복의 약속>, <진정성의 미덕> 같은 책들이 대표적인 저작이다. <삶의 기술>은 갖고 있는 책이고, 나머지 책들은 이번에 구입하려고 한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2530/55/cover150/8937484129_1.jpg)
![](http://www.nomadbook.co.kr/shopimages/rhizome/0410070001112.jpg)
네하마스의 <니체>만큼 반가운 책은 밀란 쿤데라 전집판으로 다시 나온 <배신당한 유언들>(민음사, 2013). 오래 전에 <사유하는 존재의 아름다움>(청년사, 1994)으로 번역됐었다. 아, 이 또한 20년 전에 읽은 책이라니! 제목은 <배반의 약속>이라고 예고됐었는데, <배신당한 유언들>로 최종 낙착된 모양이다. 나는 주로 <배반당한 유언>이라고 부르던 책이다. 누가 배신/배반한 것인가? 원고를 모두 불태워달라는 친구 카프카의 부탁을 배신/배반한 막스 브로트가 대표적이다. 기억엔 쿤데라가 브로트를 맹비판했던가.
![](http://image.aladin.co.kr/product/2319/30/cover150/8937484110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042/28/cover150/8937484137_1.jpg)
쿤데라의 소설도 소설이지만 그의 일급의 에세이들도 나는 즐겨 읽는 편인데, 전집에 들어가 있는 건 네 권이다. 순서대로 하면 <소설의 기술>, <배신당한 유언들>, <커튼>, <만남> 순이다. 생각난 김에 따로 모아놓아야겠다. 영어본들도 다 구했었는데, 어디에들 가 있는지 확인도 해야겠고. <배신당한 유언들>이 당일배송이 안 돼 아쉬운데, 책은 내주에나 손에 들 듯싶다...
13. 0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