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달 책&(416호)에 실은 주제별 도서 소개를 옮겨놓는다. 주제는 '협동조합'으로 골랐다(지면에 소개된 책에 몇 권 더 얹었다). 관련서들이 많이 나와서 고른 것인데, 작년이 '세계 협동조합의 해'였다는 건 책을 펼쳐보고서야 알았다. 주변에서 성공사례도 많이 나오면 좋겠다. 책과 관련한 협동조합은 어떤 게 가능할까...

 

  

 

책&(13년 3월호) 사람 더하기 사람! 협동조합

 

2012년은 UN이 정한 ‘세계 협동조합의 해’였다. 그에 부응하여 국내에서도 작년 12월 1일부터 협동조합기본법이 발효됐다. 이에 따라 금융‧보험업을 제외하면 5인 이상의 구성원으로 자유롭게 협동조합을 설립할 수 있다. 협동조합이란 말을 주변에서 부쩍 자주 듣게 되는 배경인데, 협동조합이란 과연 무엇이며 어떤 점에서 자본주의의 대안이라는 평가까지 받는 것일까. 목마른 자가 우물을 파듯이 궁금한 자가 책을 펼치는 법이다. 이달에는 협동조합에 관한 책들을 몇 권 둘러보기로 한다. 


김기섭의 <깨어나라! 협동조합>(들녘, 2012)이 출발점으로 적당해 보이는 책이다. “21세기는 바야흐로 협동조합의 시대”라는 시대인식 하에 저자는 오늘날 협동조합이 왜 주목받고 있으며 어떤 전망을 갖고 있는지 안내한다. 이 협동조합의 기원은 무엇인가. 우리에게도 두레와 계 같은 전통이 있었듯이 사회적 협동은 어떤 형태로든 존재해왔다. 협동조합의 역사를 살필 때는 영국의 로치데일을 먼저 떠올리게 된다. 맨체스터 인근의 작은 마을인 로치데일에서 1844년 세계 최초로 ‘로치데일 공정 선구자 조합’이라는 이름의 협동조합이 설립됐기 때문이다.


당시 산업혁명의 절정기였던 영국에서는 소규모 작업장 대신에 대규모 공장들이 들어서면서 생산력이 급속도로 발달했지만 대다수 노동자들의 삶은 극도로 피폐해졌다. 하루 평균 17시간씩 일하고, 아이들과 여성은 새벽 3시부터 밤 10시까지 19시간을 일해야 했다. 대부분의 자본가들은 노동자들을 멸시했고 노동조건은 개선되지 않았다. 그런 상황에서 로치데일의 협동조합은 노동자들의 자구책으로 만들어졌다. 1인당 1파운드씩의 출자금을 걷어서 조합의 점포 문을 열었지만 처음엔 너무 형편없어서 마을 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노동자들의 신뢰와 노력 덕분에 설립 10년 후에는 조합이 50배로 늘어났고 출자금도 400배로 불어났다. 그 이전에도 협동조합은 많이 있었지만 로치데일만큼 성공을 거둔 곳은 없었다. 로치데일 모델의 성공 비결을 저자는 “노동자들이 생산과 분배와 교육의 영역에서 스스로가 필요한 것을 스스로의 힘으로 제공하는 공동체를 건설하고자 했다는 사실”에서 찾는다.


사례가 있으니 협동조합의 정의에 대한 이해도 보다 용이하겠다. ICA(국제협동조합연맹)은 이렇게 정의한다. “협동조합은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하는 사업체를 통해, 그들 공통의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 필요와 염원을 충족하고자 자발적으로 결합한 사람들의 자율적인 결사체이다.” 저자는 이 정의에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믿음, 존엄한 인간의 상호자조에 대한 신뢰, 그리고 상호자조에 의해 형성되는 경제 민주주의에 대한 확신에 그 철학적 뿌리를 두고 있다고 말한다. 


협동조합의 역사와 정의, 그리고 철학에 대해 일별했다면 바로 현장을 둘러보는 것도 좋겠다. 현직 언론인 3인이 쓴 <협동조합, 참 좋다>(푸른지식, 2012)가 가장 유익한 현장 안내서다. 이탈리아와 덴마크, 뉴질랜드 등 우리보다 앞서가고 있는 나라들의 협동조합 현장을 직접 찾아서 그들의 경험담과 성공비결을 전해 듣고, 한국의 협동조합 현주소를 점검해본 다음, 협동조합의 대가들과 가진 인터뷰도 보탰다. 게다가 협동조합기본법의 내용과 의미도 부록으로 실었으니 협동조합 가이드북으로는 최적이다. 저자들은 비영리기업임에도 협동조합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쟁력을 갖는 이유를 조합원의 충성심과 공동 행동, 그리고 원가 경영에서 나온다고 짚었다.

 

 


흔히 세계 협동조합의 메카로 이탈리아의 볼로냐, 스페인의 몬드라곤 등을 꼽는데, 한국에도 내세울 만한 곳이 있을까. 저자들은 한국의 협동조합 메카로 강원도 원주를 지목한다. 원주에서는 2003년에 원주협동조합협의회가 조직됐고 2009년에는 ‘원주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로 진화했다. 이 네트워크에 소속된 회원이 무려 3만 5천여 명으로 원주 인구의 11퍼센트에 이른다. 협동조합원이 되면 먹을거리를 사고 아플 때 치료받고 필요한 돈을 빌리는 일을 모두 이 네트워크 안에서 해결할 수 있다. 아직 그 규모가 지역 총생산의 0.36퍼센트에 머물고 있기는 하지만, 조합원들의 꿈은 원주를 언젠가는 한국의 몬드라곤으로 만드는 것이다. 스페인 바스크의 소도시 몬드라곤의 협동조합 복합체는 스페인에서 10위 안에 드는 대기업으로 성장해 전 세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협동조합의 성패는 조합원들의 열의와 실천에 달려 있는 만큼 협동조합 운영 지침과 실무에 관한 책들도 나와 있다. 에드가 파넬의 <협동조합, 그 아름다운 구상>(그물코, 2012)은 협동조합과 관계된 일을 일생 동안 해온 저자가 자신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협동조합 운영의 여러 가지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 그리고 김용한, 하재은의 <새로운 대안경제, 협동조합 시대>(지식공감, 2012)는 협동조합 설립과 운영에 관한 실무를 담고 있는, 말 그대로 ‘실무서’다. 학술적인 성격의 책으로는 존스턴 버챌의 <사람중심 비즈니스, 협동조합>(한울, 2012)이 있는데, 성공회대 대학원 협동조합경영학과 교수와 학생들이 우리말로 옮겼다. 대학 교재용 책으로, 협동조합을 ‘조합원소유 비즈니스’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13. 03. 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