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을 먹으러 나가기 전 막간에 몇 자 적는다. 책에 관해서라면 언제나 이야깃거리가 많지만, 짧게 끝낼 수 있는 걸로 '슈테판 츠바이크'를 골랐다. 다른 이유에서가 아니라 그의 '평전 시리즈'(세창출판사, 2013)가 이번주에 나오기 시작했기 때문에. 각각 톨스토이, 도스토옙스키, 니체에 관한 평전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2422/26/cover150/895586172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422/27/cover150/8955861737_1.jpg)
그렇다고 새로 나온 책들은 아니다. 짐작엔 통째로 나온 것을 분권해서 이미 여러 번 '우려먹은' 것이다. 편의성을 고려하면 낱권으로 들고 다니는 게 나쁘진 않고, 표지도 제법 그럴 듯하지만.
![](http://image.aladin.co.kr/product/366/68/cover150/895586090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66/68/cover150/8955860919_1.jpg)
아직 같이 판매되고 있는 책 가운데, <천재, 광기, 열정 1,2>(세창출판사, 2009)가 원 소스로 보인다. 작가들에 대한 평전으로('전기소설'로도 불린다) 1권은 톨스토이, 도스토옙스키, 니체, 클라이스트, 그리고 2권은 발자크, 디킨스, 스탕달, 카사노바를 다룬다. 모두 8명이니까 이들이 전부 시리즈에 포함된다면 최소 8권의 책은 나오는 셈이 된다. <천재, 광기, 열정>도 원래는 한 권짜리 <천재와 광기>(예하, 1993)가 분권된 것이다(벌써 20년 전에 읽은 책이군!). 원 독일어본이 어떤 형태인지 모르겠지만 여하튼 국내에 처음 소개된 건 이 한 권짜리였다. 지금은 물론 절판됐는데, 문호들의 삶을 적당한 규모로 묘사하고 정리하는 츠바이크의 솜씨에 감탄했던 기억이 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29/82/cover150/898705839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8/69/cover150/8991071244_2.jpg)
이후에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만 따로 묶어서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자연사랑, 2001)라고 나온 적이 있다. 지금은 절판됐는데, 강의할 때 편하게 참고하려고 구입했다가 오탈자가 너무 많아서 실망한 책이었다. 번역은 똑같지만 옮겨서 타이핑하면서 오히려 조악하게 된 판본이다. 그리고 <츠바이크가 본 카사노바, 스탕달, 톨스토이>(필맥, 2005)는 카사노바, 스탕달, 톨스토이, 셋을 묶은 책. 번역자는 다른 걸로 돼 있는데, 이 책은 안 갖고 있어서(아니 갖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번역이 얼마나 다른지는 모르겠다. 츠바이크의 평전이 다시 나온다면 짐작엔 몽테뉴의 평전 <위로하는 정신>(유유, 2012)이 좋은 반응을 얻어서이지 않을까 싶다. 미완이라 하더라도 나름 '얇은 평전'의 대가다운 모습을 보여주니까.
![](http://image.aladin.co.kr/product/14/60/cover150/897184219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1/84/cover150/9788987913179.jpg)
그렇다고 얇은 것만 있는 건 아니다. <발자크 평전>은 분량이 좀 되는데, 아쉽게도 둘다 절판된 상태다. 발자크는 '얇은 발자크'와 '두꺼운 발자크'가 있는 셈인가. 나는 한 종을 구했었지만 어느 박스 속엔가 들어가 있기에 지금은 손에 들 수 없다. <발자크 평전>도 '평전 시리즈'에 포함된다면 반갑겠다. 참고로 영어판도 구미에 맞게 몇 명씩 모아놓는데, <발자크, 디킨스, 도스토예프스키>란 타이틀이 눈에 띈다. 아마도 '얇은 발자크'일 것이다...
13. 0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