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사적인 독서>(웅진지식하우스, 2013)의 서문을 옮겨놓는다. 미리보기로도 읽어볼 수 있지만, 이 서재에도 걸어놓는 게 좋을 것 같아서다. 서문을 포함해서 목차의 제목들은 모두 편집자가 붙인 것이다. 여담이지만 책의 처음 가제는 <마담의 서재>였다. 아마 그렇게 결정됐다면 전혀 다른 표지가 나오지 않았을까 싶다...  

 

 

이 책은 일곱 편의 고전에 대한 강의를 묶은 책입니다. 대학 안팎에서 고전에 대한 강의를 여러 해 동안 해오고 있는데, 강의라고는 하지만 실상은 '독서'의 제안이고 권유입니다. 그렇다고 이 자리에서 독서의 가치를 새삼 강조하지는 않으려고 합니다. 책을 읽지 않는 무독서도 하나의 선택이고 그것이 삶의 신조인 분도 계시겠지요. 한편에 독서가가 있다면 다른 편에는 무독서가도 있을 법합니다. 제 관심은 무독서가가 아니라 독서가, 그리고 잠재적 독서가에 가 있습니다. 평소에 책을 좋아하고 독서를 즐기는 분이 독서가라면, 독서의 가치에 공감하고 책을 읽고 싶지만 어떻게 읽어야 할지 자신이 없거나 경험이 부족한 분들을 잠재적 독서가라고 부를 수 있을 것입니다. 예비 독서가라고 할까요. 이 강의는 그런 분들을 위한 독서의 시범 같은 것입니다.


잠재적 독서가는 물론이고 아무리 책을 남들보다 많이 읽는 독서가라 할지라도 모든 분야의 책을 두루 망라해서 읽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필독할 만한 고전에 한정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평생독서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그래서 길잡이가 될 만한 가이드북이 필요하고 로드맵이 필요합니다. 한정된 시간을 좀 더 유익한 독서에 할애하기 위한 방도이고 곁눈질이지요. ‘나는 이렇게 읽는다’라는 독서의 시범은 그런 용도로서 의의를 갖는다고 생각합니다. 자기 스타일의 독서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에서 참고해볼 수 있는 것이죠.


주로 문학고전 독서에 관심을 가진 분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하고 그것을 책으로 엮으면서 제가 고심한 것은 ‘규모’입니다. 이 책의 각 장은 대부분 두 시간짜리 강의를 풀어서 편집한 것입니다. 실제 강의한 내용에서 분량을 많이 덜어냈기 때문에 짐작으론 90분 강의 정도의 분량일 듯합니다. 이러한 시간상의 제약과 형식적 제약은 동시에 강의의 조건이기도 한데, 그 정도 분량 안에서 작가와 작품에 대해 요령 있게 소개하고 흥미를 부추김과 동시에 제 나름의 해석을 보태고자 했습니다. 이런 경우, 너무 간략해도 안 되고 너무 자세해도 곤란합니다. 너무 가벼워도 안 되고 너무 무거워도 안 됩니다. 너무 식상해도 안 되고 너무 생경해도 안 되지요. 그러면서 재미도 있어야 하고, 우아하면 더 좋습니다. 그래서 그런 결과를 얻었는지에 대해선 제가 판단할 수 없지만 적어도 그런 걸 염두에 두었다고는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사실 시범 조교의 역할은 절반만 보여주고 나머지 절반은 실제로 해보도록 보조하는 것이죠. 가령 자전거를 탈 때도 처음에는 누가 뒤에서 붙잡아주는 게 필요합니다. 몇 차례 그런 도움을 받게 되면 그 다음에는 스스로 탈 수 있게 되지요. 독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처음에는 어렵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길잡이가 될 만한 책을 읽고 도움을 얻게 되면 곧 스스로 책을 읽어나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번 읽었던 책이라도 다시 읽고서 새로운 발견을 하거나 더 깊은 이해에 도달할 수도 있습니다. 이 책이 그런 자극과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저로선 최선의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책의 제목은 <아주 사적인 독서>로 정했습니다. ‘사적인’이란 말이 여러 가지 뜻을 가질 수 있지만 여기서는 ‘남을 위한 독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한 독서’라는 의미로 쓰고자 합니다.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교양으로서의 독서는 ‘읽은 척 매뉴얼’을 참고하는 것으로도 충분합니다. ‘아주 사적인 독서’는 철저하게 자기 자신을 위한 독서를 가리킵니다. 나의 관심과 열망, 그리고 성찰을 위한 독서입니다. 그런 독서의 과정에서 우리는 고전과 나 사이의 사적이고 은밀한 관계를 각자 만들어나가게 됩니다. 강의에서 간간이 제가 작품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이나 견해를 서슴지 않고 제시한 것은 그런 ‘사적인 독서’의 일면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기도 합니다.


이 책에서 다룬 작품은 <햄릿>부터 <돈키호테>, <파우스트>, <석상손님>, <마담 보바리>, <주홍글자>, <채털리 부인의 연인>까지 일곱 편입니다. 모두 ‘욕망’의 문제를 다룬 작품이라는 게 공통점입니다. 처음에는 그런 순서로 목차를 짜려고 했지만 주인공의 성별에 따라 각각 남성 편(<햄릿>, <돈키호테>, <파우스트>, <석상손님>)과 여성 편(<마담 보바리>, <주홍글자>, <채털리 부인의 연인>)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되자 ‘레이디 퍼스트’의 정신에 따라서 여성 편을 앞에 배치했습니다. 어떤 장을 먼저 읽을지에 대한 판단은 전적으로 독자의 몫이지만 제가 권장하고 싶은 것은 ‘여성 편’을 순서대로 읽거나 ‘남성 편’을 순서대로 읽는 것입니다. 가장 유명한 서양문학 고전들에 나타난 여성적 욕망과 남성적 욕망이 어떤 것인지 일람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면 저로선 기쁘겠습니다

 

짐작에 푸슈킨의 <석상손님>이 다소 생소할지 모르지만 가장 대표적인 <돈 후안> 텍스트로 고른 것이고, 그렇게 따지면 너무도 유명한 작품들만 모아놓은 셈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실상 이 작품을 모두 읽은 독자는 그리 많지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너무도 유명하지만 아무도 안 읽는 책’이 고전이라는 말이 그래서 농담만은 아닙니다(어떤 고전 가이드북은 아예 제목이 <아무도 읽지 않는 책>입니다!). 아무래도 ‘고전’이란 말 자체가 ‘남들은 좋다지만 나와는 무관한 책’, ‘괜히 남들 따라 읽느라고 고생하는 책’이란 인상을 심어주는 게 아닌가도 싶습니다. 그래서 ‘고전에 대한 강의’도 덩달아 ‘나와는 무관한 강의’란 애꿎은 누명을 덮어쓸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강의에서, 그리고 이 책에서 저는 고전을 최대한 우리 가까이에 갖다놓고 싶었습니다. 가까이 갖다놓는다는 게 집 현관에 갖다놓거나 부엌에 갖다놓는다는 뜻이 아닙니다. 작품이 갖는 보편성을 발견한다는 의미입니다. 그 발견은 자기 발견의 구문으로 이루어집니다. ‘나는 햄릿이다’, ‘나는 돈키호테다’, ‘나는 보바리다’라는 식입니다. 이런 작품들을 읽으면서 우리는 각자가 자기 안의 햄릿과 돈키호테와 파우스트와 돈 후안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어쩌면 그 배합비율까지도 예민하게 의식할 수 있게 될지도 모릅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이 주인공들이 바로 근대인의 전형적 초상이기 때문입니다. 사정이 그렇다면 이 작품들은 남들의 이야기가 아니라 나의 고뇌와 욕망과 광기와 탄식의 이야기입니다. 저는 그것이 고전이 갖는 현재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칫 진부해보일지도 무르는 주인공들의 물음에 나의 물음이 포개질 때, 고전 독서는 시간이 남아돌 때나 가능한 독서가 아니라 필수적인 독서의 의미를 갖게 될 것입니다. 고전 강사, 곧 '고전을 읽어주는 사람'으로서 제가 기대하는 바이기도 합니다

 

이 책에 수록된 강의는 대부분 제가 개인적으로 6년째 진행해오고 있는 책사랑 강좌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책사랑은 고전 애독자들의 자발적인 독서모임입니다. 매학기 16주씩 커리큘럼을 짜고 매주 수요일 오전에 함께 고전을 읽는 강좌를 지속해온 것이 저에겐 독서의 또 다른 자극이 됐고 공부의 밑거름이 됐습니다. 부족한 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강의에 참석해준 회원들께 이 자리를 빌려서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녹취된 강의를 풀어서 초고를 만들고 편집자로서 책의 꼴을 만들기 위해 애쓴, 게다가 더디게 진행된 교정 작업을 인내해준  박혜정 편집자에게도 특별한 감사를 표합니다. 책과 함께 할 수 있었기에 저에겐 모두가 좋은 인연입니다.  

 

13. 02. 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