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주말판에서 '로쟈의 번역서 읽기'를 옮겨놓는다. 오랜만에 차례가 돌아왔는데, 막상 아이템을 고르는 건 쉽지 않아서 고심 끝에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에 대해 한번 더 의견을 적었다(<데미안>에 대한 기본 생각은 <로쟈의 세계문학 다시 읽기>(오월의봄, 2012)에 수록돼 있다). 요즘 새번역본이 계속 더해지고 있어서 새롭게 작품을 만나는 독자들에게 참고가 될까 싶어서다.
한겨레(13. 01. 19) 살육이 영혼의 발산?…데미안을 대하는 서먹함
헤르만 헤세의 독자들에겐 반가운 일일 테지만 연초부터 헤세의 작품이 앞 다투어 출간되고 있다. 1962년에 세상을 떠났기에 사망 50주년까지 보호받는 저작권이 작년에 만료됐고 올해부터는 저작권 없이도 출판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유난히 국내에서 많이 읽히는 <데미안>과 <수레바퀴 아래서>를 필두로 여러 작품이 새 번역본을 얻었고 앞으로 더 얻을 전망이다.
이미 많은 번역본이 나와 있지만 개인적으로 새 번역이 궁금했던 작품은 <데미안>이다. 중학생 때 <수레바퀴 아래서>를 읽고서 십대 시절 ‘내 인생의 책’으로 꼽기도 했지만 <데미안>과는 좀 서먹한 관계였고 성인이 돼 다시 읽어도 사정은 나아지지 않았다.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트려야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신의 이름은 압락사스”(전영애 옮김·민음사)라는 유명한 구절을 읽어도 주인공 싱클레어처럼 ‘깊은 생각’에 빠지진 않았다. 신의 이름이 ‘아프락사스’(안인희 옮김·문학동네)나 ‘아브락사스’(김재혁 옮김·고려대 출판부)로 바뀌어도 신에 대해서나 그 새에 대해서 모르는 건 싱클레어나 우리나 마찬가지다. 게다가 서문에서 헤세는 우리가 서로를 이해할 수는 있지만 자신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건 오직 자신뿐이라고 했으니 욕심은 금물이다.
<데미안>의 핵심 메시지는 서문에 나오듯이 “모든 사람의 삶은 제각기 자기 자신에게로 이르는 길이다”(안인희)일 것이다. 그럴듯한 주장이지만 불편한 것은 1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쓰인 이 작품에서 주인공의 자기발견이 전쟁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싱클레어는 인간이 이상을 위해 사는 경우가 극히 드물지만 전장에서는 많은 사람이 이상을 위해서 죽을 수 있다는 걸 발견한다. 다만 그 이상은 각자가 자유롭게 선택한 이상이 아니라 공동의 이상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차츰 시간이 지나면서 생각이 달라진다. 획일화된 공동의 위험 속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운명의 의지에 다가가는 게 보였기 때문이다. 바로 옆에서 많은 이들이 죽어갔는데, 그들의 증오와 분노가 대상과는, 곧 적과는 무관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럼 무엇인가.
“피비린내 나는 이들의 과업은 단지 영혼의 발산, 즉 자체 분열된 영혼의 발산이었으며, 이 영혼이 날뛰고 죽이고 섬멸하고 죽고자 했던 까닭은 새로 태어나기 위함이었다.”(김재혁) 곧 싱클레어는 전장에서의 죽음을 거대한 새가 알을 깨고 나오려는 몸부림으로 본다. 알은 세계이기에 세계는 부서져 산산조각이 나야 했다. 그렇다면 세계에 대한 투쟁의 기회로 전쟁보다 맞춤한 것은 없으리라. 이것을 전쟁에 대한 긍정적인 의미부여로 읽는 것은 과도한 해석일까.
아이러니한 것은 헤세 자신이 반전론자였다는 점이다. 서문에서도 그는 “지금은 각각 하나하나가 자연의 단 한번뿐인 소중한 시도인 인간들을 무더기로 총으로 쏘아 죽이고 있다”고 적었다. 이것이 조금이라도 비판적 의미를 갖는다면, 전장에서의 살육을 새로 태어나기 위한 영혼의 발산으로 보는 관점과 양립하기 어렵다. “오늘날에는 인간이 대체 무엇인지 아는 사람이 드물다”면서 헤세는 스스로도 “나 자신이 무언가를 안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했다. 헤세에게 너무 많은 걸 물어보는 것은 욕심일 듯하다.
13. 0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