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간경향(1010호) 실은 북리뷰를 옮겨놓는다. 인문학자 김영민의 <당신들의 기독교>(글항아리, 2012)가 내가 고른 책이다. 언론에서 많이 다룬 책이어서 중복의 감이 없지 않지만, 여하튼 내가 갖고 있는 책 몇 권 가운데서는 가장 흥미롭게 읽었다. 구체적인 사례들을 다루어서인지도 모르겠다... 

 

 

 

주간경향(13. 01. 22) 한국기독교 어긋남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인문학이란 세속의 어긋남에 대한 관심이기에 그 노동을 ‘어긋냄’이라고 일컫는 인문학자 김영민의 <당신들의 기독교>(글항아리)는 기독교에 대한 어긋냄의 산물이다. <세속의 어긋남과 어긋냄의 인문학>에 적은 그의 표현으로는 “어긋남의 구조를 통새미로 알면서도, 그 두루 아는 것을 죽인 채 외려 모난 일을 찾는 것”이 어긋냄이다. 기독교의 어긋남의 구조에 대해서 통새미로 아는 그이지만 목소리를 높이지 않고 한국 기독교의 ‘모난 일’들을 들추며 10명의 신자에 대한 스케치와 함께 인문적 성찰을 포개놓는다.

등장인물이나 사건은 온전한 사실도 허구도 아니며 취지에 맞게 재구성해 놓았다고 미리 밝히고 있지만, 책을 관통하는 건 구체적인 사례들이 보여주는 리얼리티의 힘이다. 가령 “A는 기독교인이다. 그는 적어도 지난 10년간 한 차례도 주일 대예배에 빠진 적이 없으며, 40대의 문턱을 넘어서면서부터 십일조가 성에 차지 않아 십이조(十二組)를 한 지도 7년째에 접어든다”거나 “B는 기독교인이다. 그녀는 교회 권사직에다 봉사부장까지 맡아 충량하고 열성스럽게 신앙생활을 하는 70대 노파다. 노령에 이르러서도 기세가 등등한 그녀에게는, 젊어 청상(靑孀)이 된 채 남자의 눈치를 볼 필요 없이 궁핍하지만 당당하게 살아온 전력이 온몸에 서슬 퍼렇게 드러난다” 같은 구체적 서술은 현실감을 전달한다. 물론 ‘독실한’ 신자들만 등장하는 건 아니다. 목사이면서 대학에서 성서를 강의하는 성서학자이지만 동시에 강남의 룸살롱을 제집 드나들듯 하는 소문난 오입쟁이 C 등도 ‘기독교인’이다. 이들이 모여서 얼추 한국 기독교인의 총체적 신앙생활을 구성한다. 저자가 이름 붙인 바로는 ‘당신들의 기독교’다.

무엇을 어긋내고자 하는가. 몇 가지 어긋남의 지점이 있다. 먼저, 사유(공부)의 부재. 한국의 개신교인들은 공부를 매개로 신앙과 신념에 이르는 것이 아니라 믿음을 얻은 뒤에 그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신학을 동원한다. 신앙의 ‘주체화’에 이르는 노역이 신앙의 알짜이지만 그것이 생략되거나 부족한 것이 ‘당신들의 기독교’다. 그리고 가족주의. 예수의 급진성은 그의 탈가족주의, 곧 “네 가족을 버리고 내게로 오라”는 메시지에 담겨 있지만, “21세기의 한국 개신교회는 예수의 첫닭울이와 같은 메시지를 까마득히 잊은 채” 가족주의라는 이데올로기만을 강박적으로 붙들고 있다고 저자는 일갈한다. 거기에 자본과의 결탁도 빼놓을 수 없다. “국가는 대자본의 현실을 돕는 안전망이자 심지어 여리꾼 노릇을 하고, 종교는 자본의 성취와 번영에 대해 뒷북을 치며 축복”하고 있는 것이 한국의 현실이다. 즉 ‘카이사르냐 예수냐’가 아닌 ‘카이사르=예수’가 자본주의 시대 기독교의 정식이 돼버렸다.

‘당신들의 기독교’는 초기 교회와 같은 ‘절실한 약자들로 구성된 희망의 공동체’가 아니라 자신들의 사적 욕망을 ‘소망’이라 부르면서 사회적 강자와 부자들이 자본제적 세속의 성취와 권리를 합리화하고 정당화하는 종교다. 예수의 이름으로 예수를 부인하는 꼴이라고 할 수 있을까. 저자는 “기독교인이라는 이름은 마치 예수를 잡아먹은 허깨비들의 장송곡처럼” 들린다고까지 말한다.

그렇다면 무엇이 ‘당신들의 기독교’와 단절할 수 있는 길인가. 저자는 쓰레기통의 파리떼처럼 번성하는 신자가 아니라 제자의 길을 따르는 것이라고 말한다. 제자란 “타자성의 소실점을 향해 몸을 끄-을-고 다가서는 검질기고도 슬금한 노력”이다. 그것이 ‘예수의 희망’이다. 물론 불가능에 가까운 희망이다. 예수의 제자로 자기 십자가를 짊어지는 생활양식의 실천을 오늘날 더는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모래밭에 숨은 바늘을 돼지 뒷다리로 찾아내는 것만큼이나 어려운 노릇”이 되었다는 게 저자의 토로다. 하지만 예수의 삶 자체가 그런 불가능한 꿈을 지핀 삶이 아니었던가. 그의 삶과 ‘당신들의 기독교’가 어디에서 어긋나고 있는지 우리 자신의 모습을 다시금 되돌아보게 된다.

 

13. 01. 16.

 

 

 

P.S. 최근에는 무함마드와 이슬람 관련서들을 모으면서 덩달아 예수와 기독교에 관한 책에도 눈길을 주게 됐는데, 오늘 탐을 내고 있는 책은 한스 큉의 저작들이다. 특히 방대한 분량의 <그리스도교>(분도출판사, 2002)와 <한스 큉의 이슬람>(시와진실, 2012)이 욕심을 내게 한다. '당신들의 기독교'가 아닌 기독교의 본질과 이슬람의 본질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라도 절판되기 전에 구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