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주말판에서 '로쟈의 번역서 읽기'를 옮겨놓는다. 최근에 강의에서 읽은 게 계기가 돼 살만 루슈디의 <한밤의 아이들>(문학동네, 2011)을 다뤘다. 방대한 이야기를 품고 있는 작품이어서 핵심 주제 가운데 하나인 '한밤의 아이들 VS 인디라 간디'만을 글감으로 삼았다. 영화화된 <한밤의 아이들>도 조만간 볼 수 있었으면 싶다... 

 

 

 

한겨레(12. 12. 08) 독재권력에 절제당한 신생 인도의 가능성

 

살만 루슈디에게 세계적 유명세를 치르게 한 작품은 이슬람교를 부정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이란의 종교지도자 호메이니로부터 파트와(사형선고)를 받은 <악마의 시>이지만, 그를 영어권의 대표적 작가로 떠오르게 한 작품은 그보다 먼저 쓴 <한밤의 아이들>이다. 영문학의 대표적 문학상인 부커상을 세 차례나 수상한 이 전례 없는 소설 덕분에 루슈디는 일약 ‘거장’의 반열에 오르게 된다.

 

시작은 단출했다. 1975년 첫번째 장편소설을 출간하면서 받은 인세로 루슈디는 인도를 여행하면서 봄베이(지금의 뭄바이)에서 보낸 어린 시절에 관한 자전소설을 구상했다. 하지만 바로 그해 인도의 초대 총리로 17년 동안 통치했던 자와할랄 네루의 외동딸 인디라 간디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독재권력을 장악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이후 인도는 1977년까지 ‘어둠의 시대’를 통과하게 되는데, 그러한 환경에서라면 개인의 삶과 역사가 분리될 수 없다는 통찰이 자연스레 얻어질 만하다.

 

루슈디는 새 소설의 주인공 살림 시나이를 영국의 오랜 식민지였던 인도가 독립국가로 새롭게 탄생한 1947년 8월15일 자정에 똑같이 태어난 것으로 설정함으로써 이러한 통찰을 정면으로 밀어붙인다. “나는 불가사의하게 역사에 손목이 묶여버렸고 나의 운명은 조국의 운명과 하나로 이어져 불가분의 관계”가 되었다는 게 살림의 말이다. 그렇게 하여 마치 역사에 수갑이 채워진 것처럼 살림의 개인사는 인도의 역사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으며 전개된다. 루슈디의 두번째 소설 <한밤의 아이들>의 탄생이다.

 

 

그런데 왜 ‘한밤의 아이들’인가? 열번째 생일을 맞은 살림은 1947년 8월15일 자정부터 1시 사이에 자신을 포함해 모두 천 명하고도 한 명의 아이가 태어났다는 걸 알게 된다. 그 가운데 420명이 영양실조와 여러 질병 등으로 사망하고 581명의 아이들이 살아남았다. 이 아이들은 모두가 자정이 선물한 특별한 능력을 갖고 있어서 어떤 아이는 거울 속으로 들어갔다가 나올 수도 있고, 어떤 아이는 몸의 크기를 마음대로 늘이거나 줄일 수도 있었다. 저마다 변신과 비행, 예언, 마법의 능력을 보유한 가운데, 살림이 가진 초능력은 사람들의 머릿속과 가슴속을 들여다볼 수 있는 능력이었다. 살림을 통해서 서로의 존재를 알게 된 한밤의 아이들은 협회까지 결성하게 된다. 그들의 초능력은 신생국가 인도의 잠재적 역량을 비유한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한밤의 아이들은 비상사태 속의 계엄 하에서 불순한 음모를 꾸미는 집단으로 내몰려 모두 체포돼 희망을 절제당한다. 살림과 마찬가지로 국가와 나를 동일시하면서 “인디아는 곧 인디라, 인디라는 곧 인디아”라고 생각한 간디 여사에게 한밤의 아이들은 경쟁자이자 흉악한 범죄자 집단으로 치부된 것이다. 새로운 인도의 가능성은 ‘한밤의 아이들’과 함께 열렸다가 그렇게 닫힌다.

 

12. 12. 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