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의 '문화와 세상' 칼럼을 옮겨놓는다. 낮에 어렵사리 아이템을 잡아서 쓴 것인데, 생각해보니 대선 전에 쓰는 마지막 칼럼이다. 자연스레 변화에 대한 기대를 담았다. 최소한 '청춘이 절망하는 나쁜 사회'와는 결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그러자면 물론 청춘들 자신의 적극적인 투표참여가 필요하다. 이제 20일 남았다. <현시창>(알마, 2012)와 같이 읽어볼 만한 책도 골라놓는다.

 

 

 

경향신문(12. 11. 30) 나쁜 사회가 만든 청춘의 절망

 

“행복한 가정은 서로 엇비슷하지만 불행한 가정은 제각각의 이유로 불행하다.” 톨스토이의 소설 <안나 카레니나>의 유명한 서두다. 어디 가정에만 적용되랴. 사회나 국가도 비슷해 보인다. 이렇게 말하는 건 어떨까. 좋은 사회는 서로 엇비슷하지만 나쁜 사회는 제각각의 이유로 나쁘다. 오늘의 한국사회를 나쁜 사회라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한두 가지가 아니겠지만 그중 하나가 ‘청춘의 절망’이다. 현역 기자가 쓴 우리시대 ‘벼랑 끝’ 청춘들에 대한 취재보고서 <현시창>에 저자가 붙인 서문의 제목이 ‘청춘이 절망하는 나쁜 사회’다. 제각각의 이유로 불행했던 한국 현대사이니만큼 우리 시대 불행의 절대치가 유난한 건 아니겠지만 그 성격을 특징짓고자 할 때 ‘청춘의 절망’을 우선순위로 꼽을 만하다. ‘현실은 시궁창’의 줄임말 은어로 ‘현시창’이란 말이 입에 오르는 것만 보아도 절망의 수위를 짐작할 수 있다.

그냥 ‘현실은 시궁창’이라고만 하면 현실에 대한 치기어린 냉소 정도로만 치부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 문구는 원래 가수 에미넴의 “꿈은 높은데 현실은 시궁창”이란 가사에서 따온 것이라 한다. 그걸 줄여서 ‘꿈높현시’라고도 부른다고. 사실 ‘현시창’이란 현실 인식이 나이의 많고 적음에 따라 달라지는 건 아닐 것이다. 하지만 ‘꿈은 높은데’라는 말과 대구를 이루는 ‘현실은 시궁창’은 오롯이 청춘의 현실을 떠올려준다. “지금까지도 힘들었는데 앞으로가 더 힘들 것 같아요”라고 하소연하는 게 그 현실이다.

<현시창>에서 저자는 오늘을 사는 청춘들의 힘겨운 사연을 노동, 돈, 경쟁, 여성 등의 키워드에 따라 분류했는데, ‘일터의 배신’을 다룬 첫 장의 첫 번째 사례가 2011년 7월 일산의 한 이마트 매장에서 냉동기 점검 작업을 하다가 누출된 냉매 가스에 질식사한 서울시립대생 황승원씨다. 안타까운 사건으로만 잠시 기억되고 말았을 일이지만 기자는 황씨의 여동생을 만나 그의 스물두 해 짧은 인생 이야기를 들었다. 낯설지 않은 사례다. 아버지의 사업실패로 가정형편이 어려워져 황씨는 학원도 제대로 못 다니며 독학으로 고입, 대입 검정고시를 통과해야 했다. 어렵게 한 사립대학 호텔경영학과에 진학했지만 800만원 가까운 등록금이 너무 부담이 됐다. 두 학기 등록금 1000여만원이 고스란히 빚이 됐고, 결국 장학금을 받고도 학교를 그만둘 수밖에 없었다. 황씨는 수능을 봐서 등록금이 훨씬 적은 서울시립대에 다시 입학한다. 하지만 학자금 대출은 군대에 갔다 온 뒤에도 그의 발목을 붙잡았다. 복학하기 전에 대출금을 갚기 위해 냉동설비 수리업체에 취업한 그는 사고 당일 야간작업을 나갔다가 변을 당했다. 그것으로 끝이 아니었다.

 

사고 진상 규명이 늦어져 가족들은 병원 냉동고에 보관돼 있던 그의 주검을 사망 40여일 만에야 발인했다. 그러고도 유족에겐 학자금 대출이 그대로 남았다.사고사만 제외하면 황씨의 경우는 우리 주변에서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는 청춘의 초상이다. 높은 등록금과 구직난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게 그들의 시궁창 현실이다. 한두 사람이 겪는 불운이라면 개인적인 문제겠지만 한 세대가 통째로 겪는 불행이라면 사회적 문제다. 당연한 말이지만 사회적 문제는 개개인의 분발이 아닌 사회적 처방과 해법을 요구한다.

 

“알바해서 학자금 대출부터 갚을 거야”라는 소박한 꿈이 좌절된 자리에서 우리가 회복해야 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에 대한 새로운 꿈이다. 아니 불가능하다고 치부되는 것에 대한 꿈이다. 지난 대선의 공약이기도 했던 반값등록금은 왜 도입되지 않고 불가능한 것으로 도외시됐는가? 마음의 부담을 절반으로 줄여주겠다는 공약이었다고? 시립대의 사례에서 알 수 있지만 문제는 의지이고 결단이다. 이번 대선이 우리가 ‘현시창’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12. 11. 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