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제2회 박경리문학상 수상자로 러시아작가 류드밀라 울리츠카야가 선정됐다는 소식을 접했는데, 작가가 수상을 위해 방한했다.
관련기사를 보니 25일에 입국하여 기자간담회를 갖고 어제는 고려대에서 특별강연을 한데 이어서 오늘은 오후 3시에 원주 백운아트홀에서 시상식에 참석한다(시간을 보니 얼마 남지 않았군).
사실 국내에 번역된 작품이 없어서 수상소식이 좀 의아하긴 했는데, 이번 방한에 맞춰 두 권이 출간됐다. 작품집 <소네치카>(비채, 2012)와 장편소설 <쿠코츠키의 경우>(들녘, 2012)다(<쿠코츠키의 경우>는 2001년 러시아 부커상 수상작이다). 기자간담회에서 그녀는 러시아어로 번역된 박경리 선생의 <김약국의 딸들>을 읽고서 이런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제 소설(메데야와 그녀의 아이들)과도 많은 공통점을 찾았어요. 미망인이 딸을 하나 키우지만 집은 항상 사람들로 북적인다는 얘기죠. 다른 시대, 다른 장소를 산다고 해도 인간이 가진 본질적인 마음은 통한다는 것을 또 한 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녀가 언급한 <메데야와 그녀의 아이들>은 이번에 나온 <소네치카>에 수록돼 있다. 전부터 읽어보고 싶었던 작품인데 예기치 않은 번역본이 나와 반갑다. 사실 국내 출판계에서 울리츠카야는 낯선 이름이 아니지만 현대 러시아 작가들에 대한 국내 독자들의 반응이 미지근한 편이어서 계속 보류돼 왔었다.
울리츠카야와 함께 당대 러시아의 대표적 여성 작가로 꼽히는 타티야나 톨스타야와 빅토리야 토카레바의 작품은 이미 몇 권 소개돼 있다. 극작가이기도 한 페트루셉스카야도 소개되면 좋겠다.
아무튼 번역된 러시아문학에 한정하자면 올해는 <오몬 라>(고즈윈, 2012)와 < P세대>
(문학동네, 2012)가 번역된 빅토르 펠레빈과 울리츠카야의 해로 기록될 것이다. 작품만 고르자면 물론 플라토노프의 <체벤구르>(을유문화사, 2012)가 번역된 해로 기억될 것이지만...
12. 10.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