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의 '문화와 세상' 칼럼을 옮겨놓는다. 어제 낮에 급하게 보내놓고 지방에 강의를 다녀 오니 이 시간이다. 데스크에서 붙인 제목이 '미래는 이미 여기 와 있다'이다. 안철수 후보가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언급한 SF작가 윌리엄 깁슨의 말로 유명한데, 나는 나대로 그 말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지난주 시사IN에도 윌리엄 깁슨에 관한 기사가 실렸는데, 한국어로 번역된 작품이 단 두 개라고 했다. 하지만 <뉴로맨서>(황금가지, 2005)와 <아이도루>(사이언스북스, 2001)에 이어서 최근에 <카운트제로>(황금가지, 2012)가 번역돼 나왔다. 나는 <뉴로맨서>(열음사, 1996)를 갖고 있지만, 어디에 보관돼 있는지 알 수 없기에 아무래도 황금가지판으로 다시 구해야 할 듯싶다. 아무튼 현재 한국어로 읽을 수 있는 윌리엄 깁슨의 책은 그렇게 세 권이다.

 

 

 

경향신문(12. 10. 05) ‘미래는 이미 여기 와 있다’

 

무엇이 사람을 움직이는가? 자본주의적 인간관에 충실하자면 물론 ‘돈’이라고 해야겠다. 조금 고상하게 말하면 ‘인센티브’가 우리를 움직인다. 어떤 행동을 하도록 부추기는 자극이 인센티브다. 인간을 경제적 동물, 곧 ‘호모 이코노미쿠스’로 정의하는 인센티브 만능론자들은 아예 인센티브를 통해서 인간을 얼마든지 주조할 수 있다고까지 믿는다.

 

‘파블로프의 개’ 실험에 영감을 받은 과거 행동주의 심리학자들도 적절한 보상과 강화를 통해서 인간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었다. 가령 책을 잘 읽지 않는 학생들에게도 현금으로 보상하면 자연스레 독서로 유인할 수 있다는 식이다. 심부름을 하거나 착한 일을 할 때마다 아이에게 용돈을 주는 것도 이와 비슷한 사례다. 우등생과 선행 학생은 인센티브를 통해서 그렇게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일까?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의 저자 마이클 샌델은 그런 식의 금전적 보상이 독서나 선행 같은 ‘재화’의 가치를 변질시킨다고 말한다. 독서나 선행의 가치가 ‘돈’으로 환원될 것이고, 그럴 경우 자발적인 독서나 선행이 갖는 의미와 만족감 또한 훼손될 수밖에 없다. ‘행위와 인센티브’라는 보상체계가 우리를 어떤 행위의 주체가 아닌 단순한 수행자의 위치로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실상 호모 이코노미쿠스라는 정의 자체가 인간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것이기도 하다. 인간은 이기적 본성을 갖고 있는 존재이지만 동시에 주체적인 존재이고자 한다.

 

인간의 주체성에 대한 옹호가 철학자들만의 레퍼토리인 것은 아니다. 미래학자 다니엘 핑크가 <드라이브>란 책에서 소개한 연구에 따르면, 인센티브가 오히려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지루한 반복적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사람들을 독려할 때는 인센티브가 꽤 유용하지만 지적 도전을 수반하는 업무에는 오히려 역효과를 냈다. 자신의 성취가 금전적 가치로 환원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라고 해야 할까. 현대 수학의 최대 난제 가운데 하나였던 ‘푸앵카레 추측’을 푼 공로로 2006년 국제수학자연맹이 필즈 메달을 수여하기로 결정했지만 이를 거부한 러시아 수학자 페렐만의 사례도 떠올릴 수 있다. 그는 이후에 미국의 한 수학연구소에 의해 100만달러의 상금이 걸린 ‘밀레니엄 상’ 수상자로도 선정됐지만 그 역시 거부했다. “나의 증명이 확실한 것으로 판명됐으면 그만이며 더 이상 다른 인정은 필요 없다”는 것이 그의 고집스러운 생각이었다.

 

예외적인 성취와 예상 밖의 수상 거부로 화제를 모으긴 했으나 페렐만의 경우가 이해 불가능한 사례인 것은 아니다. “돈으로 살 수 없는 것은 없다”는 식의 자본주의적 사고와 경쟁을 통한 이익의 극대화라는 자본주의의 모토가 통하지 않는 영역이 있다는 것만 인정하면 된다. “인간의 욕망에는 끝이 없다”는 말은 자본주의적 주술이다.

 

지난 6월 말 방한했던 철학자 슬라보예 지젝은 기본적인 생존을 위한 필요를 어느 정도 충족시키게 되면 사람들은 공산주의적이라고밖에 할 수 없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금전적 보상에 따라서가 아니라 자신의 능력에 따라서 사회에 기여하는 것이 그가 말하는 공산주의적 방식이다. 물론 어느 정도가 ‘생존을 위한 필요’인지에 대해서는 각자의 판단이 다를지 모른다. 고정적인 직장을 갖고 있지 않은 페렐만은 도심 외곽의 방 2칸짜리 낡은 아파트가 재산의 전부였다. 그 이상은 사치라고 생각하는지도 모른다. 개인적으로 나는 아무 때나 온수로 샤워할 수 있는 집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초등학교 때의 꿈이었지만 그런 아파트에 산 지 십 수년째다. “미래는 이미 여기 와 있다. 아직 퍼지지 않았을 뿐”이라는 말의 실감이다. 각자의 꿈이 이루어진 곳에서 그 꿈을 널리 공유하고 확산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주체적 삶이 아닐까.

 

12. 10. 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