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간경향(992호)에 실은 북리뷰를 옮겨놓는다. 도올의 <사랑하지 말자>(통나무, 2012)를 대상으로 삼았는데, 이미 많은 리뷰와 인터뷰가 나온 터라 뒷북성이 됐다(책의 자세한 내용은 프레시안에 실린 저자 인터뷰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30120826153431 를 더 참고하시길 '나꼼수'의 최근 호외도 도올과의 인터뷰를 다루고 있다). 그래도 물론 현 시점에서 매우 요긴한 책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주간경향(12. 09. 11) 청춘을 향한 도올의 부르짖음

 

고전 번역가이자 학술운동가인 도올 김용옥의 <사랑하지 말자>에는 ‘도올 고함(苦喊)’이란 부제가 붙어 있다. ‘크게 부르짖는 소리’가 아니라 ‘고통스럽게 부르짖는 소리’라고 할까. ‘서막’에서 그가 내비친 고통의 바탕은 4대강을 파(破)하는 것으로도 모자라 “모든 갯벌을 파하고, 모든 산을 파하고, 모든 논밭을 파하고, 모든 촌락을 파하고, 모든 인민의 삶의 터전을 파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서씨동물농장’에 대한 절망과 탄식이다. 젊은 학동과의 문답 형식으로 구성된 책에서 저자는 그럼에도 자포자기 대신에 희망을 말한다. 희망의 근거는 이 세계를 변혁시킬 힘을 아직 ‘우리’가 갖고 있다는 긍정적 믿음이다. 반항과 거역과 항거의 주체로서 ‘우리’를 가리키는 말이 ‘청춘’이다. 편집자들이 뒤바꾼 순서라고는 하지만 책이 ‘청춘’이란 장으로 시작하는 것은 그래서 온당하다.

 

<중용>의 말을 빌려서 도올은 청춘을 “중(中)에서 화(和)로 가는 끊임없는 발(發)의 과정”이라고 정의한다. 조화는 끊임없이 새로운 조화로 대체되는데, 그러한 ‘조화의 조화’를 만들어내는 계기가 끊임없는 불화(不和)이다. 이 불화를 가리키는 말이 곧 청춘이다. 청춘의 불화가 없으면 모든 문명은 활력을 상실하며 청춘의 모험이 없는 문명(文明)은 문명이 아니라 문암(文暗)이다. 문명의 부패다. 현 정권 하의 한국이 바로 그런 경우이며, 청춘의 실종이 낳은 결과다. 하지만 애초부터 그렇지는 않았다. 지난 20세기 한국사는 청춘의 역사였기 때문이다. 3·1운동에서 광주학생운동을 거쳐 4·19혁명과 군사독재정권 타도에 이르기까지 줄기차게 이어진 ‘학생문화의 정의로운 투쟁’은 다른 나라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다.

 

하지만 이 ‘정의감의 찬란한 역사’가 이명박 정권 하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청춘의 모험’을 억압하는 세력이 득세하면서 한국의 청춘들이 쪼그라들었기 때문이다. 도올은 삼성전자 이건희 회장이 고려대학교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기 위해 방문했을 때 시위를 벌인 학생들에 대해 학교측이 징계를 내린 사건을 “대한민국 청춘이 금권에 순응하는 항복을 선언한”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본다. 그때부터 대한민국의 청춘은 무조건 쫄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도올은 청춘들이 그러한 무기력에서 벗어나 자존감을 되찾고 다시금 사회적 불의에 대한 투쟁에 나설 것을 독려한다. “조선의 역사를 뒤흔들 수 있는 유일한 주체세력”이 바로 우리의 청춘들이기 때문이다.

 

이번 대선은 그 청춘들이 억눌린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체제의 압박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현재로선 그 체제 상부 권좌의 성격을 바꾸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런 맥락에서 책은 ‘역사’와 ‘조국’에 이어 ‘대선’이란 장을 배치했다. 도올이 보기에 2012년 대선의 승자는 이미 박근혜로 결정돼 있다. 그가 ‘오늘의 승자’다. 문제는 그 승리가 이미 도를 지나쳤다는 것이다. 지난 총선에서 여권의 승리가 오히려 박근혜의 대선행보에 독이 될 것이라는 게 도올의 판단이다. 결과적으론 이명박 정권에 대한 심판이 대선으로 미뤄지게 됐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자동적으로 야권에 승산이 있는 건 아니다. “우리 민족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할 수 있는 획기적 전기”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안철수나 야당 후보나 ‘무아(無我)’의 실천이 필요하다는 게 도올의 주문이다. 대의를 위해서 뭉칠 때만이 승리의 가능성은 현실이 될 수 있다.

 

“젊은 사람들에게 쉽게 읽혀야 한다는 압박감” 속에서 집필했다는 저자는 ‘청춘’에서 ‘대선’까지의 네 장은 필독해주기를 당부한다. 거기에 보태자면 뒷부분의 ‘종교’와 ‘사랑’ ‘음식’에 관한 장도 일독의 가치가 있다. 기독교에 대한 비판과 “기독교와 더불어 한국인의 심령을 갉아먹기 시작한” ‘사랑’이란 말에 대한 비판은 대선주자들에 대한 평이나 대선 전망보다도 더 흥미롭고 유익하다.

 

12. 09. 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