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간 소식을 뒤늦게 알고 어제 직접 서점에 가서 구입한 책은 <나보코프의 러시아 문학 강의>(을유문화사, 2012)다. 여러 번 언급한 적이 있는 책이고 번역중이라는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그래도 예고없이 책이 나와 반갑고 놀라웠다. <롤리타>로 작가로서 명성과 부를 거머쥐기 전까지 이 망명작가는 미국 웰즐리대학과 코넬대학에서 러시아문학과 서양문학을 강의했는데, 각각의 강의록이 책으로 나온 바 있다(<문학강의>는 확인을 해봐야 알겟지만 <러시아문학 강의>는 사후에 나왔다). <돈키호테에 관한 강의>까지 포함하면 나보코프 문학강의 '3종 세트'쯤 된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783/85/cover150/893247195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17/6/cover150/0156027763_1.jpg)
이 강의들은 물론 모두 러시아어로도 번역돼 있는데, 이번에 나온 <러시아문학 강의>는 러시아어 번역학 전공자가 러시아어본과 일어본도 참고하여 영어본을 옮긴 것이다. 나보코프의 강의에서 특징적인 것은 톨스토이에 대한 예찬인데, 언젠가 <안나 카레니나>를 다룬 자리에서 언급한 적이 있지만 그는 톨스토이를 가장 위대한 소설가로 꼽는다. 직접 인용하면 이렇다.
톨스토이는 러시아의 가장 위대한 소설가다. 전 시대의 푸시킨, 레르몬토프 등은 논외로 하고, 러시아의 위대한 산문작가들의 순위를 매겨본다면 이렇다. 1위 톨스토이, 2위 고골, 3위 체호프, 4위 투르게네프. 마치 학생들의 석차를 매기는 것 같다. 지금쯤 도스토옙스키와 살티코프가 내 사무실 앞에서 항의하려고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르겠다.(265쪽)
때문에 그의 강의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작가가 톨스토이이고 작품으론 <안나 카레니나>다. <안나 카레니나> 외 <이반 일리치의 죽음>을 더 다루고 있는데, 그럼에도 <전쟁과 평화> 같은 다른 작품에 대한 해설이 없는 것은 좀 아쉽다. 요컨대 <러시아 문학강의>는 그 자신 러시아문학의 거장이기도 한 나보코프의 개성이 잘 반영돼 있는 '편향적인' 문학강의다. 때문에 러시아문학 독자뿐 아니라 나보코프 독자에게도 흥미를 끌 만한 책이다. 그의 문학관을 살펴볼 수 있는 유익한 기회를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게다가 강의에 덧붙여 책에는 '러시아 작가, 검열관, 그리고 독자'와 '속물과 속물근성', '번역의 예술' 같은 글들도 포함돼 있어서 여러 모로 유익하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248/68/cover150/899195825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30/80/cover150/8984988634_1.jpg)
말이 나온 김에 러시아문학 개설서로서 같이 읽어볼 만한 책을 한번 더 꼽자면, 문학사 가운데는 미르스키의 <러시아 문학사>(써네스트, 2008)가 가장 자세하다. 번역본도 여러 차례 판을 바꿔가며 출간된 책이다. 그리고 이젠 절판된 책이 돼버렸는데 이사야 벌린의 <러시아 사상가>(생각의나무, 2008)도 러시아문학 '깊이 읽기'를 위한 필독서이다. 니콜라스 르제프스키 편, <러시아 문화사 강의>(그린비, 2011)는 좀더 넓은 맥락에서 러시아 문학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해주는 입문서이다. 모두 전공서적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수준 높은 독자들에겐 '교양서'로서 손색이 없다. 각 국가별로 이런 '교양서' 목록을 챙길 수 있으면 좋겠다...
12. 07. 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