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내린 덕분에 그래도 개운하게 맞은 7월이다. 대학 강의는 모두 마무리됐기에(성적처리가 아직 남은 곳도 있지만) 일정과 무관하게 '방학'이긴 하다. 독서시간도 그만큼 늘어났으면 싶지만, 결과는 두고봐야 하리라. '7월의 읽을 만한 책'을 골라놓는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715/87/cover150/893643392x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245/68/cover150/8993928347_1.jpg)
1. 문학
김미현 교수가 고른 책은 은희경의 <태연한 인생>(창비, 2012)이다. 은희경 소설의 애독자는 아니지만 "소설 속에 인용되고 있듯이 “이제부터는 쓸쓸할 줄 뻔히 알고 살아야 한다.”(허연, 「일요일」중에서) 최소한 이 소설을 읽으면 문학-연애-인생에서의 상실을 경험하게 될지언정 패배하지는 않게 된다."라는 소개를 보니, 역시나 '은희경 소설'다운 장편인 듯하다. 산문집 <생각의 일요일들>(달, 2011), 장정이 바뀌어 나온 데뷔작 <새의 선물>(문학동네, 2010)까지 패키지로 묶어도 좋겠다. 태연하게.
![](http://image.aladin.co.kr/product/1672/11/cover150/895862485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741/18/cover150/8993905339_1.jpg)
2. 역사
김기덕 교수가 고른 역사책은 강명관의 <그림으로 읽는 조선 여성의 역사>(휴머니스트, 2012)이다. "150여 점의 그림을 통해 조선 여성의 역사를 복원해 본" 책. 조선 여성사에 관한 책이 썩 많진 않은데, <조선 여성의 일생>(글항아리, 2010), <조선의 여성들, 부자유한 시대에 너무나 비범했던>(돌베개, 2004)와 같이 읽어봄 직하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255/89/cover150/8991195458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255/89/cover150/8991195466_1.jpg)
찾아보니 근현대 여성사 책도 세 권짜리로 작년에 나왔었다. <한국 근현대 여성사>(모티브북, 2011)이란 타이틀이다. 어찌된 일인지 전혀 기억에 없는 책이다. 세일즈포인트로 봐선 별로 주목받지 못햇던 듯하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720/36/cover150/896051217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68/72/cover150/8901088673_1.jpg)
3. 철학
김형철 교수가 고른 책은 스티븐 랜즈버그의 <경제학자 철학에 답하다>(부키, 2012). <발칙한 경제학>(웅진지식하우스, 2008), <런치타임 경제학>(바다출판사, 2005)의 저자가 쓴 신작이다. 원제는 '빅 퀘스천'. 경제학자가 철학적 문제들에 답하고자 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인 책. "철학자들이 경제학의 근거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연구하는 것은 아주 당연한 것이다. 그런데, 수학자 겸 경제학자가 철학적 질문을 던지고 연구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면서도 환영할 일"이란 평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782/65/cover150/895862506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788/59/cover150/8966184006_1.jpg)
맘 먹고 철학 입문서를 읽어보려는 독자라면 적절한 가이드로 삼을 만한 책도 몇 권 출간됐는데, 케임브리지대학의 고전철학 교수 사이먼 블랙번의 <철학을 낳은 위대한 질문들>(휴먼사이언스, 2012)가 대표적이다. 줄스 에반스의 <철학을 권하다>(길벗, 2012)도 요긴한 길잡이가 될 만한 책인데, 개인적으론 추천사를 쓰느라 미리 훑어볼 기회가 있었다. 이렇게 적었다.
"철학은 어떻게 삶을 바꾸는가? 습관을 통해서이다. 반복적인 훈련과 실천을 통해서 철학이 습관이 될 때 삶은 바뀐다. 철학이 우리 정신의 근육이 될 때 공동체적 삶도 바뀌어간다. <철학을 권하다>는 그 철학의 기본근육을 만들어주는 최적의 학당이요 도장이라 할 만하다."
덧붙여, 동시대 철학자들의 근황이 궁금하다면 <볼온한 철학자>(이후, 2012)를 통해 8인의 철학자와 만나볼 수도 있겠다. 지난주에 방한했던 슬라보예 지젝과의 인터뷰도 포함돼 있는데, 개인적으론 이달에 푸른역사아카데미에서 이 책을 교재로 한 강의(http://cafe.daum.net/purunacademy/8Bko/33)도 진행한다('산책'에 동참하고픈 분은 참고하시길).
![](http://image.aladin.co.kr/product/1699/83/cover150/898563593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609/44/cover150/899668757x_1.jpg)
4. 정치/사회
마인섭 교수가 추천한 책은 조은의 <사당동 더하기 25>(또하나의문화, 2012)다. 사회학자가 참여관찰과 질적 연구 방법론을 동원해 기술한 "불량 주거지에 거주하는 한 빈민 가족의 가난한 삶의 기록"이다. 지난 4월의 읽을 만한 책으로 골라놓은 적이 있지만, <벼랑에 선 사람들>(오월의봄, 2012)과 <가난의 시대>(동녘, 2012)도 같이 읽을 만한 책으로 한번 더 불러다놓는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766/84/cover150/899271727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687/95/cover150/8997186264_1.jpg)
빈곤과 함께 관심을 가져볼 만한 테마는 '20대'이다. <88만원 세대> 이후 하나의 트렌드를 이루고 있는 쪽인데, 최근에 20대 사회학을 다룬 몇 권 더 나왔다. 리처드 세서터텐 등의 <20대=독립은 끝났다!>(에코의서재, 2012)와 로스 펄린의 <청춘 착취자들>(사월의책, 2012) 등이 거기에 속한다. 국내서로는 <청춘을 반납한다>(인물과사상사, 2012)에서 우리시대 20대의 목소리를 들어볼 수 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677/55/cover150/8962603500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755/24/cover150/8950937859_1.jpg)
5. 경제/경영
경제/경영부터는 한참 쓴 걸 날려버리고 다시 쓴다(아무래도 더 짧게 쓰게 된다). 박원암 교수가 고른 책은 아비지트 배너지 외, <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이다>(생각연구소, 2012). 제목을 반복하자면, 가난한 사람들의 행동이 나름 합리적이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책. 빈곤의 경제학 외 요즘 트렌드를 이루는 건 경제학의 빈곤을 주제로 한 책들인데, 최근에도 존 퀴긴의 <경제학의 5가지 유령들>(21세기북스, 2012)와 이브 스미스의 <이콘드>(21세기북스, 2012)가 출간됐다. <이콘드>의 부제는 '탐욕경제학의 종말'. 말 그대로 '종말'이 범람하는 시대를 살고 있는데, 새로운 희망을 과연 찾을 수 있을까. 지젝의 말대로, "파국적이지만 심각하진 않아..."라는 게 우리의 (대책없는) 대응 자세일까...
![](http://image.aladin.co.kr/product/1731/58/cover150/895862501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106/41/cover150/8983719605_1.jpg)
6. 과학
김웅서 위원이 추천한 책은 이강영 교수의 <보이지 않는 세계>(휴먼사이언스, 2012)다. 작년에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한 (사이언스북스, 2011)의 저자가 연이어 쓴 물리학 안내서이다. 월터 르윈의 <나의 행복한 물리학 특강>(김영사, 2012)와 같이 읽어보면 좋겠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737/53/cover150/899163659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539/30/cover150/8994015442_2.jpg)
7. 예술
이주은 교수가 추천한 책은 모처럼 음악책이다. 카트린 마십의 <음악의 모험>(한길아트, 2012). 올해 음악학 분야의 관심도서로 몇 권 나온 게 있었는데, 같이 언급할 수 있게 돼 반갑다. 존 파웰의 <과학으로 풀어보는 음악의 비밀>(뮤진트리, 2012)와 크리스티안 레만의 <음악의 탄생>(마고북스, 2012)가 기억하고 있던 책 두 권이다. 좋은 세월을 만나면 모아서 읽어봐야겠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729/37/cover150/899681905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706/40/cover150/8994418385_1.jpg)
8. 교양
내가 고른 교양서는 후베르트 필저의 <최초의 것>(지식트리, 2012)이다. 직립보행부터 시작하여 18가지 '최초의 것'에 관한 우리의지식을 업데이트 시켜주는 책이다. 브라이언 페이건의 <크로마뇽>(더숲, 2012), 그리고 스펜서 웰스의 <판도라의 씨앗>(을유문화사, 2012)과 같이 읽으면 독서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656/19/cover150/899658348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402/33/cover150/8993928371_2.jpg)
9. 실용
손수호 위원이 고른 책은 오영욱의 <그래도 나는 서울이 좋다>(페이퍼스토리, 2012)다. '오기사'란 필명으로 더 유명하다는 저자의 건축 에세이. 소개에 따르면, "오영욱 글의 특징은 건축에 대한 엄숙주의나 근본주의에 빠지지 않고 쿨하다는 것이다. 이 책 또한 거대도시 서울을 흔적, 장소, 집합, 기호, 상징, 미학, 기억, 상상 등 8개의 키워드로 가볍게 읽어낸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639/46/cover150/896564044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788/91/cover150/8965640474_1.jpg)
10. 현대 일본사상
내가 고른 주제는 현대 일본사상이다. 더 구체적으론 1970년대생 비평가들의 작업이 관심거리인데, 가라타니 고진과 아사다 아키라 이후의 스타 아즈마 히로키의 책 <게임적 리얼리즘의 탄생>(현실문화연구, 2012)과 <일반의지 2.0>(현실문화, 2012)가 연이어 출간된 게 계기. 동갑내기로 역시나 프랑스 현대철학이 주전공인 사토 요시유키의 <권력과 저항>(난장, 2012)도 같이 읽어볼 수 있겠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847/75/cover150/893247166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761/66/cover150/8937416301_1.jpg)
전체적인 그림은 사사키 아쓰시의 <현대 일본사상>(을유문화사, 2010)을 참고할 수 있다. 덧붙여 아사다 아키라의 <도주론>(민음사, 2012)도 재출간된 김에, 절판된 <구조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원제는 '구조와 힘')도 다시 나오면 좋겠다.
12. 07. 01.
![](http://image.aladin.co.kr/product/1621/17/cover150/8937462842_1.jpg)
P.S. '7월의 읽을 만한 고전'으로는 도스토에프스키의 <죄와 벌>(민음사, 2012)을 고른다. 작품의 배경이 7월 초순이라 언제나 7월이면 한번쯤 떠올리게 되는 작품이다. 얼마전 새 번역본이 나온 것도 좋은 이유가 되겠다. 물론 다시 읽을 만한 이유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205/68/cover150/915140608x_1.jpg)
지난주엔 러시아 영화 <죄와 벌>(1969)도 DVD로 구입을 했기에 오랜만에 다시 한번 보게 될 듯하다. 자막이 없긴 하지만 유튜브 버전(http://www.youtube.com/watch?v=q5s1WVYd0kE)으로도 보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