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보다 긴 한 주가 지난 듯하다. 날도 더웠지만 정신없는 일정의 연속이어서 서재에 글을 거의 올리지 못했다. 돌볼 겨를이 전혀 없었는데, 일년에 한두 번 갖는 휴가 때도 이보다 오래 쉬지는 않았던 것 같다. 게다가 정신없게도 배송주소를 확인하지 않는 바람에 몇 개의 주문은 엉뚱한 주소로 날아가서 수습하느라 부산을 떨었다. 방금 전까지의 일이다. 정신을 좀 가다듬고 '컴백홈'하는 기분으로 이주의 책 리스트를 만들어놓는다. 제목은 '빅토르 최의 삶과 음악'을 다룬 책, 이대우 교수의 <태양이라는 이름의 별>(뿌쉬낀하우스, 2012)에서 가져왔다. 지난주에 주문한 책인데, 더위를 먹었는지 오늘에야 배송이 됐다. 빅토르 최의 삶에 대한 소개와 함께 그의 노래 가사들이 번역돼 있다. 나처럼 그의 음악을 좋아하는 독자들에겐 반가운 선물 같은 책. 표제가 된 노래는 http://www.youtube.com/watch?v=jQV5VXfKDYc&feature=relmfu 에서 들어보시길.

나머지 책 네 권은 과학책 두 권과 한국사 책 두 권이다. 마시모 파글라우치의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부키, 2012)는 사이비과학의 함정을 비판하고 해부하는 책. 최근 '시조새 논란'과 맞물려서 시의성까지 얻게 된 책이다. 데이비드 버스의 <진화심리학>(웅진지식하우스, 2012)은 재번역돼 나온 진화심리학 교과서. <마음의 기원>(나노미디어, 2005)라고 나왔던 책이다. 한성훈의 <전쟁과 인민>(돌베개, 2012)는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성립과 인민의 탄생'을 다룬 묵직한 책이다. "한국전쟁과 북한 연구의 개가"(박명림)라는 평가다. 그리고 케임브리지대에서 인류학을 가르치는 권헌익 교수의 <학살, 그 이후>(아카이브, 2012)는 베트남전의 전쟁 후유증 다룬 책으로 인류학 분야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기어츠상' 수상작이다. 언젠가 관련기사를 스크랩해놓은 적이 있는데, 입소문으로만 듣던 책이 번역돼 반갑고 기대된다...
 | 태양이라는 이름의 별- 빅또르 최의 삶과 음악
이대우 지음 / 뿌쉬낀하우스 / 2012년 6월
12,000원 → 10,800원(10%할인) / 마일리지 60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2월 25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