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책'에는 빼놓았지만 이주에 나온 '서프라이즈'는 헤르만 브로흐의 <베르길리우스의 죽음>(시공사, 2012)이다. 브로흐의 작품으론 대표작 <몽유병자들>(열린책들, 2009)이 번역돼 있는데(초역은 1992년에 현대소설사에서 나왔었다), <베르길리우스의 죽음>은 말로만 전해지던 또 다른 대표작이다. 베르길리우스는 물론 서사시 <아이네이스>의 저자 베르길리우스다. 간략한 작품소개는 이렇다.
제임스 조이스, 토마스 만과 더불어 20세기 유럽 문학을 선도한 작가로 평가받는 헤르만 블로흐의 대표작 <베르길리우스의 죽음>은 로마의 대시인 베르길리우스의 마지막 순간을 통해 삶과 죽음, 예술과 인생의 관계를 재조명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황제의 생일 축연을 위해 그리스로 향했던 여행을 접고 항구도시 브룬디시움으로 돌아온 베르길리우스는 자신에게 남은 시간이 이제 얼마 남지 않았음을 직감하고, 자신의 대표작이자 로마 그 자체라 평가되는 <아이네이스>를 불태울 것을 결심한다. 아니, 그래야 함을 깨닫는다. 동료 시인 루키우스와 프로티우스는 작품의 탁월함을 들어 이를 제지하려 하고, 황제 아우구스티누스는 로마 제국이 상징하는 인간의 과업 자체를 부정하는 처사라며 반대 의견을 펼친다. 그들과의 논쟁을 통해, 이 로마의 대시인은 죽어 사라지고 마는 인간이 과연 창조라는 과업을 이루어낼 수 있는지, 지상에서의 삶과 인식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을지 되짚어 나간다.
소개를 보니, 그리고 기억을 더듬어보니 <베르길리우스의 죽음>은 한 차례 번역된 적이 있다. <베르길리우스의 죽음>(범한출판사, 1984)으로 나왔고 독문학자이자 문학비평가 김주연 교수가 옮긴 것이었다. 이번에 제자인 신혜양 교수와 함께 다시 번역해 펴낸 것. 여하튼 미뤄놓은 <아이네이스>의 독서까지 자극하는 출간이다. '세트'로 묶어서 읽어도 좋겠다(내년에 강의 목록에도 넣어봐야겠다). 오늘 책을 주문하면서 영역본도 같이 주문했다(영역본 <몽유병자들>까지 포함해서).
참고로 브로흐의 <몽유병자들>과 <베르길리우스의 죽음>에 대한 비평은 블랑쇼의 <도래할 책>(그린비, 2011)에서 읽을 수 있다...
12. 06.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