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적 작가 가운데 한 사람인 빅토르 펠레빈(빅또르 뻴레빈)의 소설 <오몬 라>(고즈윈, 2012)가 번역돼 나왔다. 1992년에 나온 책이니 소련 해체 직후에 출간됐던 작품. 러시아에서야 워낙 유명한 작가이고 미국 잡지 '뉴요커'에서도 '세계의 젊은 작가 6인'의 한 사람으로 꼽은 적이 있지만 한국에서는 거의 존재감이 없는 작가다.
아마도 <공포의 헬멧>(문학동네, 2006) 정도를 읽은 독자가 있을까(실은 나도 아직 읽지 않은 책이지만). 그것도 작가보다는 출판사 때문에 고른 독자가 더 많을 것이다. 사실 <오몬 라>는 이미 <달의 뒤통수>(경남대출판부, 2000)란 제목으로 번역된 적이 있다. '포스트모던한' 번역으로 무슨 내용을 담고 있는지는 본문보다 제목과 표지가 말해주는 책이었다. 새로 번역된 <오몬 라>의 책소개에 따르면 이런 내용의 소설이다.
막연히 '하늘에 대한 동경'에서부터 시작한 주인공 오몬의 어린 시절 꿈은 차차 '전투기 비행사'가 되고 싶은 열망으로 구체화된다. 그러다 우연히 '국민경제 달성 박람회장'에서 우주비행사가 그려진 모자이크화를 본 날, '우주비행사가 되어 달로 날아가고 싶은' 꿈을 가진 또래 친구 미쪽을 만난 것이 계기가 되어 '우주비행사'에 대한 꿈을 본격적으로 키워 나간다. 이 소설은 일견, 우주여행과 달에 대한 순수한 동경을 품은 소년이 우주비행사가 되기까지의 역경과 시련을 다룬 성장소설 같아 보인다. 하지만 주인공이 살고 있는 시공간은 한 개인의 꿈이, 그리고 그 개인의 성장과 인생 이야기가 오롯이 그 개인의 서사로 포괄될 수 있는 녹록한 시공간이 아니었다.
냉전 이데올로기가 위세를 떨치던 1960년대 쏘련, 그곳에서는 국가권력과 군부의 가이드라인과 추상적인 구호와 영웅화 작업 등으로 유지되는 국가 이데올로기가 개인의 사생활은 물론 운명까지도 공공연히 침식하며, 그러한 침윤으로 인한 상흔을 '숭고한 시대적 과업'이라고 대중에게 주입하는 시대였다. 그런 시대 분위기에서 주인공 오몬과 그의 친구 미쪽이 어린 시절부터 품은 '우주비행사 꿈'은 애초부터 개인의 순수한 꿈으로 남을 수 없는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상황은 '소박했던' 꿈에 '영웅적 위업'이라는 강요된 이데올로기가 덧씌워지는 순간부터 본격적으로 일그러진다.
역자인 최건영 교수에 따르면, 러시아 환상문학의 계보에도 속하는 펠레빈은 고골이나 불가코프, 그리고 스트루가츠키(스뜨루가츠끼) 형제의 뒤를 잇는 작가다. <세상이 끝날 때까지 아직 10억 년>(열린책들)의 저자가 스트루가츠키 형제다.
작가 자신은 '터보 리얼리즘'이란 용어를 사용한다고 하는데, 1992년 러시아 SF대회에서 그 자신이 명명한 용어라고. 호프만, 카프카, 고골, 불가코프, 마르케스 등의 작가로 이어지는 환상문학의 유산을 계승한 그룹을 지칭하는 말이라 한다. 그러니까 포스트모더니즘이면서 환상문학이면서 SF문학이고 터보 리얼리즘으로 분류되는 것이 펠레빈의 작품세계다. 대표작은 <벌레들의 삶>인데, 놀랍게도 <벌레처럼>(책세상, 1998)이란 제목으로 번역됐다가 절판된 책이다. 그의 신작들과 더불어 이 참에 다시 나오면 좋겠다...
12. 05. 20.
P.S. 표지의 작가소개를 보니 펠레빈은 불교에도 심취하여 이따금 한국의 절에서 동안거를 지내기도 한다고 한다. 오다가다 혹 이런 외모의 작가를 보시면 이 저명한 러시아 작가에 대해 아는 체를 해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