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에 구입한 책 가운데 가장 부듯했던 건 크세노폰의 <소크라테스의 대화>(펭귄, 1990)이다. 펭귄클래식으로 나온 영역본. 소크라테스와 관련된 네 편의 글이 실려 있는데, <소크라테스의 변론>과 <소크라테스 회상>, <향연>, 그리고 <가정론>(<경영론>, <가정관리학>) 등이다. 유감스럽게도 이 네편은 현재 번역본을 구할 수가 없다. <소크라테스의 변론>은 번역이 없는 듯싶고, 나머지 세 편은 모두 절판됐다.

 

 

흔한 책이었던 <소크라테스 회상>(범우사)은 절판된 게 아니라 품절된 것인 듯싶은데, 아무튼 유일한 번역본이 현재 구할 수 없는 상태다. 다행히 지난주에 중고서로 구하긴 했는데, 판면을 보니 1976년에 초판 1쇄가 나왔고 내가 구한 건 2002년에 나온 3판 2쇄다. <크세노폰의 향연 경영론>(작은이야기, 2005)이란 것도 나온 흔적이 있는데, 한번도 구경해보진 못한 책이다. 동네도서관에서는 당연히 구할 수 없고 중고도 나와 있지 않다. 네 편의 대화편을 한 권짜리로 저렴하게 구할 수 있었던 영역본과 비교하면 상당히 유감스럽다. 설마 관심을 안 갖는 게 온당한 것일까?

 

 

 

흔히 '그리스의 군인, 역사가, 소크라테스의 문하생' 등으로 소개되는 크세노폰의 책으론 <그리스 역사>(안티쿠스, 2012)가 지난달에 출간됐고, <페르시아 원정기>(숲, 2011)도 천병희 선생의 번역으로 작년에 나왔다. <아나바시스>(단국대출판부, 2001)란 원제로 나왔던 책의 개정판이다.

 

 

 

<황금의 제국 페르시아의 창업자 키루스 대제의 역전의 방법>(코리아닷컴, 2009)도 절판되진 않은 책인데, 원제는 그냥 <키루스 대제>. 소개에 따르면,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고레스 대왕과 동일 인물인 키루스 대제는 용기와 지혜로운 리더십으로 이집트를 제외한 오리엔트를 지배했다. 그는 피정복지의 풍습과 가치를 존중하는 등 유화정책을 썼다. 특히, 자신이 정복한 사람들을 존경과 자애로 다스린 지도자로 널리 이름을 떨쳤다. 한 세기가 지난 후 키루스 대제를 존경했던 그리스의 역사가 크세노폰은 키루스 대제에 관한 대서사시를 기록했다." 그 '대서사시'가 리더십에 관한 책으로 탈바꿈해 나온 것.

 

덧붙여, <키루스의 교육>(한길사, 2005)도 학술명저번역 총서의 하나로 나왔다가 절판됐다. "크세노폰이 보기에 키루스는 바람직한 정치적 인간이다. 키루스는 현실을 주의 깊게 살피지만 현실에 사로잡히지 않는다. 그는 백성들의 자발적인 동의를 얻어 통치하며 공동체의 안정과 질서를 유지하고, 발전을 이룩한다. <키루스의 교육>은 이렇게 정치적으로 이상적인 인간을 역사소설의 형식을 빌려 설명한다." 말하자면 소크라테스와 키루스가 크세노폰의 '영웅'이었던 셈.

 

아무려나 당장은 아쉬운 게 크세노폰의 <경영론>이다. 홍기빈의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지식의날개, 2012)에서 '최초의 경제학 책'이라고도 불렀기 때문. <가정관리학>의 내용을 이렇게 요약했다. "크세노폰은 명예롭고도 미덕 넘치는 인간 행위의 유형을 전쟁 사령관, 폴리스 행정관, 농장 경영자의 세 가지로 제시한 바 있는데, 이 저작에서는 바로 훌륭한 농장 경영자란 어떤 사람인가를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있다."(62쪽) 영역본 제목이 '농장 경영자(The Estate-manager)'인 것은 그 때문이리라...

 

12. 04. 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