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배송받은 책의 하나는 '연구모임 사회비판과대안'에서 엮은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사월의책, 2012)이다. '사회비판총서'라고 새로 기획된 시리즈의 첫 권으로 <포스트모던의 테제들>(사월의책, 2012)과 같이 나왔다. 시리즈 책이란 점 때문에 같이 주문하긴 했는데, 사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만 나왔더라면 구입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건 같은 제목의 책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옹기장이, 2012)을 이미 갖고 있기 때문이다.


주문하기 전에도 두 책이 거의 '같은' 책이란 건 알고 있었지만 2년만에 같은 책이 다른 출판사에서 출간된다는 게 특이해서 무슨 '사연'이라도 있는 건가 싶었다. 같은 제목으로 검색은 되지만 두 책의 관계에 대한 설명은 책소개에 들어있지 않다(어떻게 해서 책을 다시 내게 됐다는 식의 얘기가 전혀 없다). 일반적으로 출판계약은 5년인 경우가 많은데, 계약이 파기된 것인지? 분명 먼저 책을 낸 출판사로선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일일 텐데, 양측간에 합의가 이루어진 것인지? 그런 사소한 흥미다.
사소하지 않은 건 같은 콘텐츠의 책이 서로 다른 두 출판사에서 출간돼 동시에 판매된다는 사실이 독자에게 공지되지 않은 일이다. 표지만 바뀌었을 뿐(거기에 편집 스타일만 바뀌었다) 내용은 거의 100% 동일한 책이 가격은 꽤 차이가 나는 이유가 순전히 '하드카바'이기 때문이라면 그 또한 허탈한 일이다. 흠, 자세히 보니 그밖의 차이도 없지는 않다. 가령 옹기장이판의 편집자 서문은 '사회 비판과 대안 모색의 이념'이란 제목을 갖고 있지만, 사월의책판에서는 그게 부제로 돌려지고 새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지적 전통'이란 제목이 붙여졌다. 아니, 그런데 순서만 보면 놀랍게도 이게 '새' 제목이 아니라 '옛날' 제목이다. 편집자 서문이 쓰인 날짜가 '2009년 9월 15일'로 돼 있기 때문이다. 옹기장이판에서는 '2010년 1월 15일'로 돼 있다. 내용은 똑같은 서문인데, 나중에 나온 책 서문이 전에 나온 것보다 먼저 쓰였다는 것도 미스터리하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이 아니라 '비밀들'이라고 불러야 하는 게 아닐까.


개인적으론 허버트 마르쿠제의 <에로스와 문명>에 대한 강의 때문에 프랑크푸르트학파에 대해 상기하고 예전에 사둔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도 다시 떠올리게 됐다(마르쿠제의 주저는 <이성과 혁명>, <에로스와 문명>, <일차원적 인간> 등이다). 그러다 결국 같은 콘텐츠의 책을 두 권 갖게 됐는데, 새로 나온 책의 표지가 마음에 들긴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좀 희한한 일이어서 몇자 적었다. 딴은 두 권이 같은 내용의 책이란 걸 독자는 알 권리가 있다는 생각도 들고...
12. 04. 07.


P.S. 마르쿠제에 대한 소개로 가장 간명한 것은 손철성 교수의 <허버트 마르쿠제>(살림, 2005)이다(<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의 마르쿠제 편도 손 교수의 글이다). 80-90년대만 하더라도 적잖게 나와 있었지만 마르쿠제의 책들은 현재 주저 몇 권만 남아있는 상태다. 얇은 책으론 <해방론>(울력, 2004) 정도.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동녘, 2000)는 두어 차례 나왔었지만 현재는 모두 절판됐다...